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egidal: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20/07/23 08:48] 최문정 |
doc:negidal: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21/02/17 23:01] (현재) 최문정 [분석적 조어의 전형적인 구조] |
||
|---|---|---|---|
| 줄 4: | 줄 4: | ||
| - 구체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조어 표지가 있다. 예를 들어 ‘있다, ‘짓다’, ‘만들다’, ‘냄새나다’ 등. | - 구체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조어 표지가 있다. 예를 들어 ‘있다, ‘짓다’, ‘만들다’, ‘냄새나다’ 등. | ||
| - | 어형 wordforms - Приращивание | + | - 어형 wordforms - Приращивание |
| - | непроизводный 또는 파생어 어간에 접미사를 첨가 | + | - непроизводный 또는 파생어 어간에 접미사를 첨가 |
| - | 파생접미사 뒤에는 형태표지가 붙는다. 단어의 맨 끝에는 어형변화표지 | + | - 파생접미사 뒤에는 형태표지가 붙는다. 단어의 맨 끝에는 어형변화표지 |
| ###### 접미사 표지가 첨가되는 순서 | ###### 접미사 표지가 첨가되는 순서 | ||
| 줄 17: | 줄 17: | ||
| ##### 분석적 조어의 전형적인 구조 | ##### 분석적 조어의 전형적인 구조 | ||
| + | |||
| - 명사류: | - 명사류: | ||
| + | |||
| - (1) locative construction. 명사 어간 (격어미 없는). 필요시 수와 소유표지 + 후치사(3인칭 단수 격-소유 형태) | - (1) locative construction. 명사 어간 (격어미 없는). 필요시 수와 소유표지 + 후치사(3인칭 단수 격-소유 형태) | ||
| 줄 34: | 줄 36: | ||
| }}} | }}} | ||
| - | - 동사 | + | ##### 동사의 조어법 |
| - (1) 부정구문: 부정Neg 동사(서법 정형) 또는 정형 + 본동사(현재분사) | - (1) 부정구문: 부정Neg 동사(서법 정형) 또는 정형 + 본동사(현재분사) | ||
| - (2) 양상구문: 본동사(분사형태) + be 동사 (활용형) | - (2) 양상구문: 본동사(분사형태) + be 동사 (활용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