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enets:2_wordclass:31_pro:31_pro [2016/02/21 21:44] 127.0.0.1 바깥 편집 |
doc:nenets:2_wordclass:31_pro:31_pro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
| + | - 인칭대명사, 인칭정대명사, 무인칭정대명사, 지시대명사, 의문대명사, | ||
| + | - 부정대명사(negative), 부정대명사(indefinite) | ||
| + | - 인칭대명사와 인칭대명사의 곡용은 없음 | ||
| + | - 인칭대명사의 대격: 어간 si’’// (sid//)에서 만들어지는 인간소유 형태이다. | ||
| + | - 같은 어간에서 생격도 만들어지고, 이는 주로 후치사와 결합한다. | ||
| + | - 처소격의 의미로 인칭대명사와 후치대명사의 결합 형태가 사용된다. | ||
| + | - 인칭대명사는 기본격(주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 ||
| + | - 인간소유, 인간목적 형태와 결합하여 소유의미를 나타낸다. | ||
| + | - manja’’ nisjava’’ - 우리 아버지 | ||
| + | - 동사의 인칭형과 결합하여 직접적인 인칭의미로 사용된다. | ||
| + | - manja’’ tova’’ - 우리는 왔다. | ||
| + | - 3인칭 대명사를 비롯한 모든 인칭대명사는 불활동체를 가리킬 수 없다. | ||
| + | - 불활동체를 가리키기 위해서는 인칭대명사 대신 지시대명사를 쓰거나 같은 명사를 반복한다. | ||
| + | - 때로 이 경우 후치대명사가 쓰이기도 한다. | ||
| + | - 인칭정대명사 형태는 인칭대명사 형태와 마찬가지로 만들어진다. | ||
| + | - 무인칭정대명사, 지시대명사, 의문대명사, 부정대명사, 부정대명사는 명사와 똑같이 곡용한다. | ||
| + | - 부정대명사(indefinite)는 의문대명사에 접미사 -х//ва를 붙여서 만들고 | ||
| + | - 의문대명사는 접미사 -х//рт를 붙여서 만든다. | ||
| + | - 부정대명사(negative)는 대개 부정 동사와 함께, 부정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
| + | - 모든 대명사(의문대명사 포함)가 격뿐 아니라, 수에 따라 변화하고, 인간소유, 인간목적 형태를 가진다. | ||
| + | - Tikar mal’tsja? 이게 네 사슴가죽 웃옷이냐? | ||
| + | |||
| + | - 이외에도 인칭재귀대명사도 있다. 방언에 따라 다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