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enets:4_ss:42_np:42_np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nenets:4_ss:42_np:42_np [2016/06/16 14:31]
유현조
doc:nenets:4_ss:42_np:42_np [2019/03/29 16:17] (현재)
유현조
줄 1: 줄 1: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ture+#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네네츠어의 명사구는 핵이 가장 뒤에 위치한다. ​ 네네츠어의 명사구는 핵이 가장 뒤에 위치한다. ​
 부가적인 요소에는 한정사, 소유주, 비소유 명사 부가어, 성질 형용사, 양화사가 있다. 부가적인 요소에는 한정사, 소유주, 비소유 명사 부가어, 성질 형용사, 양화사가 있다.
  
 +## 한정사
  
 +##### 한정사의 어순
  
 +소유주가 있을 때 형용사는 소유주와 명사 사이에 위치하지만 한정사는 소유주 앞에 위치한다.
  
 +{{{eg>​nene1249 (Nikolaeva2014:​141)
 +Wera-h ŋarka ti 
 +Wera-GEN big reindeer
 +베라의 큰 사슴
 +}}}
  
 +{{{eg>​nene1249 (Nikolaeva2014:​141)
 +tʹuku° Wera-h ti
 +this Wera-GEN reindeer ​
 +이 베라의 사슴
 +}}}
  
  
-- 명사 핵과 수식어의 어순 +## 소유 ​구성
-  - 지시사 +
-  - 수사 +
-  - 형용사 +
-  - 속격어 +
-  - 관계절 +
-- 수량명사 +
-  - 양사 사용 여부 +
-  - 수사, 양사, 명사의 어순 +
-  - 수사 '​1'​ 생략 가능 +
-  - 양사의 기타 기능 +
-  - 양사의 결합 가능성: 지시사 등 +
-- 전치사구,​ 후치사구 등도 여기에 포함+
  
 +##### 대명사 소유주
 +
 +대명사 소유주는 소유 인칭 어미와 일치하며 대개의 경우 대명사는 사용되지 않는다. ​
 +소유 인칭 어미가 소유주의 인칭과 수를 표시한다.
 +다음 예에서 1인칭 쌍수 대명사 mənʹih는 필수적이지 않다.
 +
 +{{{eg>​nene1249 (Nikolaeva2014:​143)
 +mənʹih wenʹaku-nʹih ​
 +we.DU dog.PL-1DU
 +우리 둘의 개들
 +}}}
 +
 +##### 어휘적 소유주
 +
 +소유주아 어휘 명사일 때에는 소유 인칭 어미가 필수적이지 않다. ​
 +다음에서 ti '​사슴'​에는 소유 인칭 어미가 결합하지 않았다. ​
 +
 +{{{eg>​nene1249 (Nikolaeva2014:​143)
 +tʹuku° Wera-h ti
 +this Wera-GEN reindeer
 +이 베라의 사슴
 +}}}
 +
 +##### 소유 인칭 어미의 결합 여부와 소유주 명사의 통사적 위치
 +
 +어휘 명사에 소유 인칭 어미가 결합하여 te-da '​그의 사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소유주에 해당하는 어휘 명사의 통사적 위치가 다름을 다음 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
 +{{{eg>​nene1249 (Nikolaeva2014:​143)
 +Wera-h tʹuku° te-da 
 +Wera-GEN this reindeer-3SG ​
 +베라의 이 사슴
 +}}}
 +
 +
 +##### Predestinative 소유 구성
 +
 +predestinative 소유 구성은 일반 소유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
 +{{{eg>​nene1249 (Nikolaeva2014:​150)
 +Wera-h ŋəno-d° ​
 +Wera-GEN boat-PRED
 +베라를 위한 보트
 +}}}
 +
 +### 속성 수식어
 +
 +성질, 수,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 수사, 동사의 굴절형 등이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
 +##### 수식어와 피수식 명사의 수의 일치
 +
 +수식어와 명사의 수의 일치 표시는 부가적이다. 일부 화자는 의미적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
 +수식어에 복수 표지가 붙었을 때는 개별적인 특성이고 복수 표지가 붙지 않았을 때는 집단적 특성이라는 것이다.
 +
 +{{{eg>​nene1249 (Nikolaeva2014:​152)
 +ŋarka-q ti-q 
 +big-PL reindeer-PL
 +큰 순록들
 +}}}
 +
 +##### 수식어의 수 일치 표시의 한정성
 +
 +복수 명사를 수식할 때 수식어에 붙는 복수 일치 표지는 일종의 한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복수 일치 표지가 없을 때에는 총칭적 해석을 가진다.
 +
 +{{{eg>​nene1249 (Nikolaeva2014:​152)
 +mūno-ta noxa-q ​
 +make.noise-IMPF.PART polar.fox-PL
 +울부짖는 북극여우들 (일반적인 의미)
 +}}}
 +
 +
 +{{{eg>​nene1249 (Nikolaeva2014:​152)
 +mūno-ta-q noxa-q ​
 +make.noise-IMPF.PART-PL polar.fox-PL
 +울부짖는 북극여우들 (특정한 집단을 지칭)
 +}}}
 +
 +##### 양화 형용사의 어순
 +
 +양화 형용사들은 의미적으로는 양화사나 한정사와 유사하나 복수나 쌍수 표지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형용사와 유사하다.
 +어순에 있어서 한정사와는 다르며 형용사처럼 행동한다. 소유주 명사가 있을 때 소유주 뒤 피수식 명사 앞에 결합한다.
 +
 +- sʹan° ‘how many, how much; some’
 +- tʹanʹo ‘few, little’
 +- xǝnʹaŋi° ‘what, which’
 +- xurka ‘what kind’
 +- xusuwey° ‘each, every, all kind of’
 +- ŋǝmkexǝw° ‘some’, ​
 +- xurkaxǝrt° ‘any, no kind’, ​
 +- xurkarʹi ‘any, any kind’, ​
 +- sʹan°xǝwa ‘some, a few, several’
 +
 +
 +
 +### 양화사
 +
 +양화사들은 일반적으로 핵의 앞에 위치하나 일부 일반양화사들은 명사구 주변에서 유동 현상을 보인다.
 + 
 +
 +##### 일반양화사 mal°h
 +
 +일반양화사 mal°h는 '​모두'​ 또는 '​온'​의 의미를 가진다. '​모두'​의 의미로 사용될 때 피수식 명사에 복수형 표지가 붙는다.
 +
 +{{{eg>​nene1249 (Nikolaeva2014:​159)
 +mal°h wenʹaku xade-yǝ-n°
 +all dog.PL.ACC kill-PL.OBJ-1SG ​
 +‘I killed all the dogs.’
 +}}}
 +
 +##### 일반양화사 mal°h의 어순
 +
 +일반양화사 mal°h은 명사구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
 +
 +{{{eg>​nene1249 (Nikolaeva2014:​159)
 +nʹīnaq mal°h mǝlʹe° mǝq°leyǝ-d°q ​
 +companion.PL.1PL all already collect-REFL.3PL ​
 +우리 친구들 모두 벌써 모였다.
 +}}}
 +
 +
 +{{{eg>​nene1249 (Nikolaeva2014:​160)
 +tʹedah mǝnʹaq ​ mʹaq-naq ​     tʹer°-q ​    ​xada-naq ​           xaw°na ​ mal°h ​  ​toxodǝnǝ°-q ​
 +now    we      tent-GEN.1PL ​ content-PL ​ grandmother-GEN.1PL except ​  ​all ​   study-3PL
 +이제 우리들 집안은 우리 할머니 빼고 모두 공부한다.
 +}}}
  
doc/nenets/4_ss/42_np/42_np.146605507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6/16 14:31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