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ganasan:2_wordclass:23_verb:23_verb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nganasan:2_wordclass:23_verb:23_verb [2016/02/22 22:57]
127.0.0.1 바깥 편집
doc:nganasan: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29 16:26] (현재)
안대섭
줄 1: 줄 1:
 # 23_verb :  동사 (verb) ​ # 23_verb :  동사 (verb) ​
  
-- 동사 부류의 특징.  +응가나산어서 동사는 인칭, 수, 시제, 법에 따라 활용형태가 나타난다. 
-  - 폐쇄 부류 대 개방 부류 +
-  - 하위 유형에 관한 내용 +
-    - 자동사, 타동사 구분이 두드러지는 언어지. 격체계가 완전히 다르다던지.  +
-- 접사 또는 첨사가 동사 어간 뒤에 어떻게 결합하는지 양상을 전반적인 틀을 보여줄 수 있도록. +
-- 동사의 ​형태론적 구조. 동사 활용의 개괄적인 설명. +
-- 동사의 finite와 nonfinite의 구분이 명확한지 아닌지. 구분이 있면 어떤 식인지 개괄적으로.+
  
 +## 활용부류 (conjugation class)
  
-중국 ​의 에 대한 참조 문법의 기술의 경우 형태론보다 단어 부류 또는 첨사로 기술하려는 경향이 ​있다. 아창어는 SOV 언어이고 동사 뒤에 오는 요소들을 교착어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서구나 일본 등의 학들의 연와도 비교하여 ​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로 기술할지 형태론으로 기술할를 정하는 것은 ​려운 문제로 기술하더라도 동사에서 ​가 떤 식으로 ​결합하는에 한 전반인 구조를 설명해 주는 것이 좋다.+- 5 가지의 ​활용부류가 있다: 1) 주체적 (subjective),​ 2) 단수 객체적 (objective with singular object), 3) 쌍수 객체적 (objective with dual object), 4) 복수 객체적 (objective with plural object), 5) 무객체적 (objectless) 혹은 재귀적 활용  
 +- 타동사 구문: 만약 목적가 비정적이라면 주체적 활용, 재귀적이면 무객체적/​재귀적 활용, 하지만 한정적 ​의 목적가 있다면 객체의 수에 따라 단수/​쌍수 혹은 복수 객체적 활용을 ​할 수 있다. ​ 
 +동사 ​문: 무적 또는 주체적 활용을 취하는 동사군(재귀적,​ 상호적, 피동 동사와 다수의 기동동사 및 완료동사가 이에 속함)과 오직 주체적 활용만 하는 동사 군으로 ​나뉜다.  
 +- 동사 활용은 주어의 3가지 인칭과 3가지 수에 따라 이루진다주체적 활용에서 동사 활용 인칭어미는 명사 서사 패러다임과 유사며 객체적 활용에서는 명의 소유격 어미와 비슷하다. 명령문에 사용되는 인칭 어말어미는 다른 태에서 사용되는 ​미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복수 객체적 및 무객체적 활용의 어말어미를 직접 선행하는 ​서법 및 시제 어미는 어간 3/S3 유형(15 참조)서와 비슷한 형태음운적 변화를 는다. ​ 
 + - 동사 인칭 어말어미
  
-현재 참고 문헌서 첨가 여러 개 붙는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정보를 찾기는 ​렵다완벽하지 않더라도 예문 등에서 ​첨사가 2개 상 붙는 것이 있다면 소개하는 정도로 할 수 있다.+1 어간 2(S2)에 직접 결합 
 +2 어간 1(S1)에 직접 결합 
 +3 어간 3(S3)에 직접 결합 
 +4 동사 어간에 직접 결합: 통상적으로 어간 1, 그러나 자음 어간 1을 가진 몇몇 동사의 경우 어간 2나 어간 3에 결합됨 
 +다른 형태들에서 이 인칭 어미들은 서법 및 시제 어미 뒤에 결합된다.    
  
 +## 정형성 (finiteness): ​
  
-동사의 형태론 관련하여 여기에 기술한다.+- 정형동사: 어간 타입, 수, 인칭, 서법/​시제에 따라 곡용한다. 
 +- 비정형 형태
  
-동사의 형태론이 발달한 경우에 태시제, 상, 법 등이 ​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동사의 형태론 차원에서 이와 관계된 표지을 기술한다. 한편 태와 관련된 ​내용은 valency에서 시제, 상, 법과 관련된 내용은 tame에서 다시 기술한다. 이때 valency, tame에서 기술하는 내용은 반드시 형태론에 국한될 필요는 다.+a. 동사파생 명사동사파생 ​용사, ​동사파생 부사, connegative:​ 대부분의 동사파생 비정형 범주은 행위주를 지칭하는 소유격 어미를 취한다. ​동사파생 명사는 또한 격어미를,​ 분사는 수, 격어미를 취한다. Connegative 형는 부정 동사 nji-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조동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예) njisïə kuəʔ ‘그/녀는 죽지 않았다.’ cf. kuədjüə ‘그/녀는 죽었다.’  ​
  
-동사의 형태서 기술고 다른 곳에서는 중복되지 않는 주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b. 부동사(converb): 2가지의 부동사가 있음. 비한정(-sa/​-dja);​ 조건적(-bü/​-hü) 
 + 
 +c. 분사(participle):​ 5가지의 분사가 있음. 진행분사 (어미 -to/​-tuo/​-tjo/​-tjüо);​ 완료분사(-dje,​ 과거시제 ​형태에 부가); 완료되어야 ​하는 ​행위 분사(-suδə/​-sutə);​ 결격분사(-metumaja/​-məzumaja,​ 미완료 행위); 피동분사(-mə,​ 타동사부터만 파생). 
 +d. 동사상 명사(Supine):​ 행위의 목적 표현(-nagə/​-nakə)  
 +    ​
  
-- verb_conjugation : 활용부류(conjugation) 
-- verb_arg : 일치(agreement) 
-- verb_fin : 정형성(finiteness) 
-- nonverbal : 자격법 (nonverbal function of verbal conjugation) 
-  - nonverbal_cvb : 부동사 (converb) 
-  - nonverbal_noun : 동명사 (verbal noun) 
-  - nonverbal_ptcp : 분사 (participle) 
  
doc/nganasan/2_wordclass/23_verb/23_verb.145614947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8/31 07:04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