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ganasan:2_wordclass:24_adj:24_adj [2016/02/22 22:57] 127.0.0.1 바깥 편집 |
doc:nganasan:2_wordclass:24_adj:24_adj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 - | - 부류크기 | + | - 명사류와 형용사류의 의미적 차이는 형용사류가 지니는 형용사 접사의 의미에 의해 구별된다: 예. –KƏƏ / -CLJICKUO 는 성질을 -Ə 또는 -ƏDJƏ는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통사적, 곡용적 측면에서 형용사와 명사는 동일하다. 형용사처럼 명사도 한정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럴 경우 오직 세 격의 불완전한 격 패러다임을 가진다. 비한정 위치에서는 형용사는 완전히 명사화되며 모든 명사곡용형태를 가지게 된다. |
| - | - 의미부류 | + | - 성질 형용사 중 일부는 이전에 구별되는 한정-원급, 한정-비교급, 술어 형태를 가지고 있다: tanəgəə ‘넓은(한정)’ - tandudʲə ‘더 넓은(한정)’ – tandua ‘넓다’; kəəlʲükü ‘짧은(한정)’ - kəimdʲə ‘더 짧은(한정)’ - kəim ‘짧다’. |
| + | - 성질 형용사의 단수 연격과 복수 속격 형태는 성질 부사로 사용된다: tantəgəəmənu, tantəgəiɁ ‘넓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