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nganasan:2_wordclass:31_pro:pro_de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nganasan:2_wordclass:31_pro:pro_dem [2016/02/22 22:57]
127.0.0.1 바깥 편집
doc:nganasan:2_wordclass:31_pro:pro_dem [2018/06/25 08:56] (현재)
줄 1: 줄 1:
 ## pro_dem :  현장지시사 (demonstrative,​ demonstrative pronoun) ​ ## pro_dem :  현장지시사 (demonstrative,​ demonstrative pronoun) ​
  
- +근칭과 원칭의 2분법 사용 
-- 현장지시사에는 대명사와 함께 determiner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많은 언어에서 동일한 형태가 양쪽에 사용된다. 다른 형태가 사용된다면 여기에서 설명한다. 예) 일본어. +예) 근칭: əmtïəm- ‘이 (this)əmənʲiə ‘이것 ​(this one) 
-- 거리 중심 대 인칭 중심: 어느 것인지 고려하여 기술 +   ​원칭: takəə ‘저 (that)’, taanʲiə ‘저것 (that one)’
-- 거리 중심 체계: 현장지시사의 분화의 가장 기본적인 기준이 화자로부터의 거리. 예) 근칭, 중칭, ​원칭. 2원체계, 3원체계 등이 있다. 영어의 경우에 this/​that이 거리 중심 체계의 대표적. 중국어의 경우에도 거리 중심 ​2원 체계. 러시아어도 거리 중심 2원 체계. ​ +
-- 인칭 중심 체계: 거리의 기준점이 화자도 될 수 있고 청자도 될 수 있다. ​예) 화자 ​근칭, ​청자 근칭, 원칭. 한국어의 ​/그/저가 인칭 중심 3원 체계.  +
-- 가시/​비가시를 구별하는 언어도 있음. +
- +
- +
- +
-예) 다음과 같은 형식의 표로 정리할 수도 있다. 일본어의 경우. 세로가 지시적 속성(referential property), 가로가 ontological category. +
- +
-|           | determiner | pronoun ​(thing| pronoun (place) |  +
-| 화자 근칭 ​  ​|  kono      |  kore            | koko | +
-| 청자 근칭 ​  ​| ​ sono       | sore            | soko | +
-원칭 ​      |  ano        | are             | asoko | +
- +
- +
- +
- +
- +
  
doc/nganasan/2_wordclass/31_pro/pro_dem.145614947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8/31 07:12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