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ganasan:4_ss:51_neg:51_neg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nganasan:4_ss:51_neg:51_neg [2016/02/22 22:57]
127.0.0.1 바깥 편집
doc:nganasan:4_ss:51_neg:51_neg [2018/06/25 08:56] (현재)
줄 1: 줄 1:
 # 51_neg :  부정 (negation) ​ # 51_neg :  부정 (negation) ​
  
-- 표준부정 ​(standard negation): 직설법과 접속법의 ​부정을 ​만드는 방식이 다르고, 주절과 종속절의 부정을 만드는 방식이 다른 언어가 있다. 능동과 피동에서도 다를 수 있다. 직설법 주절 능동태 ​동사 ​술어 문장서 부정을 ​만드는 방법을 먼저 설명하고 ​른 경우를 설명.  +부정 ​조동사가 ​부정을 위한 형태인 connegative 형태를 띠는 동사 ​에 쓰여 ​부정을 완성한. 강조를 통해 ​긍정을 ​나타내는 ​적 의미를 갖는 부정문의 경우 ​부정 조동사가 ​본동사 뒤에 나타나기도 한다. ​
-- 부정소: 영어의 not, 한국어의 "​안"​ 같은 것. +
-- 대칭성: ​긍정을 부정문으로 만들 때 부정소 첨가 이외에 다른 기제가 없을 때 대칭부정. 부정소 첨가 이외에 다른 구조적 변화가 ​반되면 대칭이지 않은 것이다. 예) 한국어의 "​철수는 밥을 안 먹었다"​는 대칭 ​부정. "​철수는 밥을 먹지 않았다"​는 비대칭 부정. 비대칭 부정은 대개 ​부정조동사가 ​개입한다. +
-  - 대칭 부정이 있는가?​ +
-  - 비대칭 부정이 있는가?​ +
-- 금지 (prohibition):​ 부정명령. 어떤 언어서는 부정 + 명령으로 금지의 의미를 ​나타내지만 그렇지 않은 언어도 있다. 예) 국어의 "말". +
-- 절유형에 따라 부정의 형식이 달라지는 언어가 많다. 절유형별로 부정의 예를 보여주는 것을 권장. 동사 술어, 형용사 술어, 명사 술어. +
-- 부정어의 위치+
  
-부정과 관련된 내용이 형태론 부분 등에서 ​올 수 있음. 여기에서는 ​부정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모아서 기술.+예문) huaaʔ nji-ndï-ʔ kudjü-ʔ 
 + 무-복수 부정-현재-3칭복수 주격 헤엄치다-connegative 
 + ‘나무는 떠다니지 않는다.’ 
 + (Gusev 2007b: 445, (26))
  
  
  
doc/nganasan/4_ss/51_neg/51_neg.145614947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8/31 07:22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