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ivkh:2_wordclass:31_pro:31_pro [2019/05/30 11:34] 최문정 |
doc:nivkh:2_wordclass:31_pro:31_pro [2021/08/31 10:29] (현재) 유현조 |
||
|---|---|---|---|
| 줄 3: | 줄 3: | ||
| -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의문-상대대명사вопросительно-относительные, 정대명사, 부정否定대명사 | -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의문-상대대명사вопросительно-относительные, 정대명사, 부정否定대명사 | ||
| - | ### (1) 지시대명사 | + | |
| + | ### (1) 인칭대명사 | ||
| + | |||
| + | | | 단수 ||| | ||
| + | | | 아무르방언 | 동사할린방언 | 북사할린방언 | | ||
| + | | 1인칭 | н’и ||| | ||
| + | | 2인칭 | чи ||| | ||
| + | | 3인칭 | иф | йаӈ | и | | ||
| + | | | 쌍수 ||| | ||
| + | | 1인칭(배제형) | мэги/мэгэ | мэн, | мэмак | | ||
| + | | | 복수 ||| | ||
| + | | 1인칭(배제형) | н’ыӈ | н’ин | н’ыӈ | | ||
| + | | 1인칭(포함형) | мэр/мир | мэр’н/мир’ӈ мин | мэр/мир | | ||
| + | | 2인칭 | чыӈ | чин | чин | | ||
| + | | 3인칭 | имнӈ, ивӈ, имг- | ир’н | ин | | ||
| + | |||
| + | |||
| + | |||
| + | |||
| + | ### (2) 지시대명사 | ||
| - 이этот: 화자에 바로 가까이에 있는, 눈에 보이는, 그 상황에 있는 것. | - 이этот: 화자에 바로 가까이에 있는, 눈에 보이는, 그 상황에 있는 것. | ||
| 줄 24: | 줄 43: | ||
| }}} | }}} | ||
| - | ### (2) 정대명사 | + | ### (3) 정대명사 |
| - 모든, 다른 | - 모든, 다른 | ||
| 줄 52: | 줄 71: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hа-т ухму-нт чхыф к’у-ра п’и му-ра | hа-т ухму-нт чхыф к’у-ра п’и му-ра | ||
| - | so fight-PST bear.ACC kill-PST himself die-PST | + | so-UNK fight-PST bear.ACC kill-PST himself die-PST |
| 그렇게 싸워서 곰을 죽였고 자신은 죽었다. (동사할린방언) | 그렇게 싸워서 곰을 죽였고 자신은 죽었다. (동사할린방언) | ||
| }}} | }}} | ||
| 줄 74: | 줄 93: | ||
| }}} | }}} | ||
| - | ### (3) 의문-상대대명사 | + | ### (4) 의문-상대대명사 |
| - | + | ||
| ###### 의문대명사 | ###### 의문대명사 | ||
| 줄 85: | 줄 104: | ||
| }}} | }}} | ||
| + | |||
| - 위의 두 개의 의문대명사는 수에 따라 변하며, 명사처럼 곡용한다. | - 위의 두 개의 의문대명사는 수에 따라 변하며, 명사처럼 곡용한다. | ||
| - 의문-상대대명사는 의문첨사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 - 의문-상대대명사는 의문첨사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 ||
| - | ###### | + | ###### 의문첨사 |
| + | |||
| + | |||
| + | {{{lex>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
| + | - ӈа : (의문첨사)(아무르방언) & ӈа/-ӈы : (의문첨사)(동사할린방언) | ||
| + | - ата : (의문첨사)(아무르방언) & -ара : (의문첨사)(동사할린방언) | ||
| + | |||
| + | }}} | ||
| +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т’ауд-ӈы йуг-д? | ||
| + | who-Q come.in.PST-UNK | ||
| + | 누가 들어왔어? | ||
| + | }}}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т’ауд-ара йуг-д? | ||
| + | who-Q come.in.PST-UNK | ||
| + | 누가 들어왔어? | ||
| + | }}} | ||
| + | |||
| + | ### (5) 부정대명사 | ||
| + | |||
| + | - 의문-상대대명사에 부정否定첨사-лу, -лак,(아무르방언, 동사할린방언)를 붙여서 만든다. | ||
| + | |||
| + | ###### 부정대명사 | ||
| + | |||
| + | {{{lex>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
| + | - анӈлу, аӈлак, : 누군가(아무르방언) & т’аудлу, т’аудлак, : 누군가(동사할린방언) | ||
| + | - сид’лу, сид’лак, : 무언가(아무르방언) & нудлу, нудлак,, рудлу, рудлак, : 무언가(동사할린방언) | ||
| + | - р’адлу, р’адлак, : 어떤(아무르방언) & т’адлу, т’адлак, : 어떤(동사할린방언) | ||
| + | |||
| + | }}} | ||
| + | |||
| + | - 대부분의 지시대명사, 정대명사, 의문-상대대명사, 부정대명사는 명사와 같이 수와 격에 따라 변화한다. | ||
| + | |||
| + | ###### 대명사의 곡용 예 | ||
| + | |||
| + | {{{lex>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
| + | - тыд’-г-у : 이것(사람)들 | ||
| + | - т’ад-г-ун : которые | ||
| + | - сик-рох, : 모든(DAT) | ||
| + | - сид’-ух : 어떤(GEN) у какого | ||
| + | |||
| + | }}} | ||
| + | |||
| + | ### (6) 소유범주 | ||
| + | |||
| + | - 소유범주의 표현에는 명사와 대명사 절대격 쌍수, 복수 형태가 사용된다.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ытык рыф | ||
| + | father.ABS house | ||
| + | }}}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н’ыӈ доӄщ | ||
| + | our vegetabale.garden | ||
| + | }}} | ||
| + | |||
| + | - 인칭대명사 н’и(나), чи(너), п’и(자신의, 직접, 스스로)에서 모음 и가 탈락하여 만들어진 접두사 н’-, ч-, п’-를 사용한다. | ||
| + | - 3인칭단수의 (방언별) 다양한 형태에서 만들어진 접두사 и-, й-, в-, э-, ви-/вэ-를 사용한다.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н’-раф | ||
| + | POSS.PRON.1SG-house | ||
| + | 나의 집 | ||
| + | }}}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ч’-ыкын | ||
| + | POSS.PRON.2SG-brother | ||
| + | 너의 남형제 | ||
| + | }}}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п’-витг-аӈ | ||
| + | REFL.POSS.PRON-book-UNK | ||
| + | 자신의 책 | ||
| + | }}}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и-вит’ | ||
| + | POSS.PRON.3SG-body | ||
| + | 그의 몸 | ||
| + | }}}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й-ымык | ||
| + | POSS.PRON.3SG-mother | ||
| + | 그의 어머니 | ||
| + | }}} | ||
| + | |||
| + | {{{eg>gily1242 (gruzdeva2001:361) | ||
| + | в-утку | ||
| + | POSS.PRON.3SG-husband | ||
| + | 그녀의 남편 | ||
| + | }}} | ||
| - | <note> #disqus @yhj 세 개까지 &로 연결해도 되는지요? </not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