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usu:2_wordclass:21_wordclass:21_wordclass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nusu:2_wordclass:21_wordclass:21_wordclass [2017/09/15 16:59]
서취아
doc:nusu:2_wordclass:21_wordclass:21_wordclass [2018/06/25 08:56] (현재)
줄 19: 줄 19:
  
   예를 들어, 누수어에는 일반적인 방위명사인 ‘상, 하, 좌, 우’ 이외에도,​ 산의 위치 등을 고려한 방위명사가 있다.   예를 들어, 누수어에는 일반적인 방위명사인 ‘상, 하, 좌, 우’ 이외에도,​ 산의 위치 등을 고려한 방위명사가 있다.
- +  ​ 
-  예: 수평 방향의 근칭은 tɕʰi⁵⁵bɑ³¹이고,​ 원칭은 tɕʰɑ⁵⁵tɕʰi⁵⁵bɑ³¹이며,​ 초원칭은 tɕʰɑː⁵⁵tɕʰi⁵⁵bɑ³¹이다.  +  예: 수평 방향의 근칭은 tɕʰi⁵⁵bɑ³¹이고,​ 원칭은 tɕʰɑ⁵⁵tɕʰi⁵⁵bɑ³¹이며,​ 초원칭은 tɕʰɑː⁵⁵tɕʰi⁵⁵bɑ³¹이다. 
 +  
   그리고 수직 방향의 근칭, 원칭, 초원칭, 산세 위, 아래 등 방향과 관련된 근칭, 원칭, 초원칭은 모두 따로 어휘화되어 있다.  ​   그리고 수직 방향의 근칭, 원칭, 초원칭, 산세 위, 아래 등 방향과 관련된 근칭, 원칭, 초원칭은 모두 따로 어휘화되어 있다.  ​
  
줄 31: 줄 31:
 - 누수어 중 대부분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와 리수어(Lisu language)로부터의 차용어이고,​ 바이어(白語),​ 미얀마어,​ 티베트어로부터의 차용어도 있는데 양적으로 많지 않다. ​ - 누수어 중 대부분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와 리수어(Lisu language)로부터의 차용어이고,​ 바이어(白語),​ 미얀마어,​ 티베트어로부터의 차용어도 있는데 양적으로 많지 않다. ​
  
-예:​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 io⁵⁵tɕi⁵³ɑ³¹ ‘중요하다’ +  ​예:​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 io⁵⁵tɕi⁵³ɑ³¹ ‘중요하다’ 
- +   
-리수어로부터의 차용어: sɯ⁵⁵le³¹du⁵⁵ '​기호' ​+  리수어로부터의 차용어: sɯ⁵⁵le³¹du⁵⁵ '​기호' ​
doc/nusu/2_wordclass/21_wordclass/21_wordclass.150546238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9/15 16:59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