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usu:2_wordclass:23_verb:23_verb [2017/03/04 14:26] 서취아 [(5) 양태 동사] |
doc:nusu: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1/22 22:27] (현재) 서취아 [5) lɑ³⁵] |
||
|---|---|---|---|
| 줄 1: | 줄 1: | ||
| # 23_verb : 동사 (verb) : 100% : | # 23_verb : 동사 (verb) : 100% : | ||
| - | ##(1) 동사의 수 | + | ###(1) 동사의 수 |
| - | - 동사 뒤에 tɕi̠³¹가 붙으면 동작을 수행하는 사람이 두 명 혹은 두 명 이상임을 의미한다. | + | |
| + | 동사 뒤에 tɕi̠³¹가 붙으면 동작을 수행하는 사람이 두 명 혹은 두 명 이상임을 의미한다. | ||
| tɕi̠³¹는 보통 동사 뒤에, 상 조사 앞에 붙는다. | tɕi̠³¹는 보통 동사 뒤에, 상 조사 앞에 붙는다.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1) | {{{eg>nusu1239 (sunhongkai1986:61) | ||
| - | [li⁵⁵sɑ⁵⁵mɑ⁵⁵ ˀu⁵⁵uɑɹ³⁵ ɡɑ³¹, ˀnɛ̠³⁵tsʰi³¹iɔ³⁵ bɑ³¹ te³⁵ le³⁵ lɑ⁵⁵ tɕi̠³¹ lo³¹] | + | li⁵⁵sɑ⁵⁵mɑ⁵⁵ ˀu⁵⁵uɑɹ³⁵ ɡɑ³¹, ˀnɛ̠³⁵tsʰi³¹iɔ³⁵ bɑ³¹ te³⁵le³⁵ lɑ⁵⁵ tɕi̠³¹ lo³¹ |
| - | Lisama feel dizzy PFV, hospital LAT carry go PL COM | + | Lisama feel.dizzy PFV, hospital LAT carry go PL COM |
| - | Lisama가 머리가 어지러운데 우리 그를 병원에 데려다 주자. | + | Lisama가 머리가 어지러운데 (우리) 그를 병원에 데려다 주자. |
| }}} | }}} | ||
| - | ##(2) 동사의 태 | + | ###(2) 동사의 태 |
| 행위 동사는 자동 태와 사동 태 두 가지가 있다. 자동태와 사동태를 나타내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 행위 동사는 자동 태와 사동 태 두 가지가 있다. 자동태와 사동태를 나타내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 ||
| - | - 동사 내부의 굴절 | + | ##### 동사 내부의 굴절 |
| 예: dʑɔ³¹ ‘쓰러지다’ -> tɕʰɔ³¹ ‘쓰러지게 하다' | 예: dʑɔ³¹ ‘쓰러지다’ -> tɕʰɔ³¹ ‘쓰러지게 하다' | ||
| - | - 조사 추가: 조사 tɕi³⁵를 추가해서 동사의 상호 태를 만듬. | + | ##### 조사 추가: 조사 tɕi³⁵를 추가해서 동사의 상호 태를 만듬. |
| 예: Iɯ³⁵ ‘새다’ -> iɯ³⁵tɕi³⁵ ‘새게 하다’ | 예: Iɯ³⁵ ‘새다’ -> iɯ³⁵tɕi³⁵ ‘새게 하다’ | ||
| - | - 사동 조사 tɕi³⁵로 만들어진 사동태는 굴절형을 통해서 표현된 사동 태의 문법적 의미가 같기 때문에 어떤 때는 문장에서 호환할 수 있다. | + | ##### 사동 조사 tɕi³⁵ |
| - | ##(3)동사의 문법화 | + | 사동 조사 tɕi³⁵로 만들어진 사동태는 굴절형을 통해서 표현된 사동 태의 문법적 의미가 같기 때문에 어떤 때는 문장에서 호환할 수 있다. |
| - | ###1) tʰɑ⁵³ | + | |
| - | - 원래 의미는 ‘획득하다’이다.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낸다. | + | |
| + | ###(3) 동사의 문법화 | ||
| + | |||
| + | ####1) tʰɑ⁵³ | ||
| + | |||
| + | 원래 의미는 ‘획득하다’이다.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낸다.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2) | {{{eg>nusu1239 (sunhongkai1986:62) | ||
| - | [zɑ⁵⁵ŋe³¹ nɑ³¹ kʰui⁵⁵ i³¹ tsʰuɑɹ⁵³ tʰɑ⁵³ ɡɑ³¹] | + | zɑ⁵⁵ŋe³¹ nɑ³¹ kʰui⁵⁵ i³¹ tsʰuɑɹ⁵³ tʰɑ⁵³ ɡɑ³¹. |
| - | child PAT dog AGT bite get PFV | + | child PAT dog AGT bite get PFV |
| 개가 아이를 물어서 상처를 냈다. | 개가 아이를 물어서 상처를 냈다. | ||
| }}} | }}} | ||
| - | ###2) ɬe³⁵ | + | ####2) ɬe³⁵ |
| - | - 원래 의미는 ‘~를/을 가지게 하다(使帶)’이다. 동사 뒤에 붙어 동작 피동작주의 위치 이동으로 동작의 결과가 이미 보이지 않음. | + | 원래 의미는 ‘~를/을 가지게 하다(使帶)’이다. 동사 뒤에 붙어 동작 피동작주의 위치 이동으로 동작의 결과가 이미 보이지 않음. |
| {{{eg>nusu1239 (sunhongkai1986:63) | {{{eg>nusu1239 (sunhongkai1986:63) | ||
| - | [zɑ⁵⁵ŋe³⁵ nɑ³⁵ kʰui⁵⁵ i³¹ tsʰuɑɹ⁵³ ɬe³⁵ ɑ³¹ ɡɑ³¹] | + | zɑ⁵⁵ŋe³⁵ nɑ³⁵ kʰui⁵⁵ i³¹ tsʰuɑɹ⁵³ ɬe³⁵ ɑ³¹ ɡɑ³¹. |
| - | child PAT dog AGT bite cause PTCL PFV | + | child PAT dog AGT bite cause PTCL PFV |
| 개가 아이를 물었다.(아이가 이미 떠났기 때문에 물린 결과를 볼 수 없음) | 개가 아이를 물었다.(아이가 이미 떠났기 때문에 물린 결과를 볼 수 없음) | ||
| }}} | }}} | ||
| - | ###3) pɔ³¹ | + | ####3) pɔ³¹ |
| - | - 원래 의미는 ‘견지하고 유지하다’의 뜻이다.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피동작주를 단속함을 나타낸다. | + | |
| + | 원래 의미는 ‘견지하고 유지하다’의 뜻이다.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피동작주를 단속함을 나타낸다.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3) | {{{eg>nusu1239 (sunhongkai1986:63) | ||
| - | [ne⁵⁵e³¹ vɑ̠⁵³ ɑ³¹dʑi³¹ ɬɔ̃̃̃³¹ pɔ³¹ ke³¹! dzɑ³¹lɔ⁵⁵ tʰɑ⁵⁵ dzɑ⁵⁵ tʰɑ⁵³ tɕi³⁵] | + | ne⁵⁵e³¹ vɑ̠⁵³ ɑ³¹dʑi³¹ ɬɔ̃̃̃³¹ pɔ³¹ ke³¹! dzɑ³¹lɔ⁵⁵ tʰɑ⁵⁵ dzɑ⁵⁵ tʰɑ⁵³ tɕi³⁵. |
| - | 2SG.POSS pig up lock stick.to LAT crop don't eat get CAUS | + | 2SG.POSS pig up lock stick.to LAT crop don't eat get CAUS |
| 너의 돼지들이 농작물을 먹지 않도록 모두 잠가둬! | 너의 돼지들이 농작물을 먹지 않도록 모두 잠가둬! | ||
| }}} | }}} | ||
| - | ###4) le³⁵ | + | ####4) le³⁵ |
| - | - 원래 의미는 ‘가지다’이다.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지속됨을 나타낸다. | + | 원래 의미는 ‘가지다’이다.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지속됨을 나타낸다. |
| {{{eg>nusu1239 (sunhongkai1986:64) | {{{eg>nusu1239 (sunhongkai1986:64) | ||
| - | [pɔ⁵⁵iɔ³⁵ do³⁵ ȵi³⁵ le³⁵ ie³⁵ le³¹ kʰuɛ̃⁵⁵mi³¹ bɑ³¹ kʰɛ⁵⁵xue³⁵ ie³⁵ ɡɑ³¹.] | + | pɔ⁵⁵iɔ³⁵ do³⁵ ȵi³⁵ le³⁵ ie³⁵ le³¹ kʰuɛ̃⁵⁵mi³¹ bɑ³¹ kʰɛ⁵⁵xue³⁵ ie³⁵ ɡɑ³¹. |
| - | bus LAT take bring go CONJ kunming LAT meeting go PFV | + | bus LAT take bring go CONJ kunming LAT meeting go PFV |
| 버스를 타고 쿤밍에 가서 회의를 한다. | 버스를 타고 쿤밍에 가서 회의를 한다. | ||
| }}} | }}} | ||
| - | ###5) lɑ³⁵ | + | ####5) lɑ³⁵ |
| - | - 원래 의미는 ‘오다’이다. 주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점차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 + | 원래 의미는 ‘오다’이다. 주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점차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
| {{{eg>nusu1239 (sunhongkai1986:64) | {{{eg>nusu1239 (sunhongkai1986:64) | ||
| - | [zɑ⁵⁵ŋe³⁵ vɹi³⁵ɑ⁵⁵ ɡɹɤ³⁵ lɑ³⁵ ɡɑ³¹.] | + | zɑ⁵⁵ŋe³⁵ vɹi³⁵ɑ⁵⁵ ɡɹɤ³⁵ lɑ³⁵ ɡɑ³¹. |
| - | child PL sing come PFV | + | child PL sing come PFV |
|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 ||
| }}} | }}} | ||
| - | ##(4) 방향 동사 | + | ###(4) 방향 동사 |
| - | - lɑ³⁵(오다) | + | ##### lɑ³⁵(오다) |
| 거리가 멀 때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올라오는 것을 가리키고 거리가 가까울 때는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오는 것을 가리킨다. | 거리가 멀 때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올라오는 것을 가리키고 거리가 가까울 때는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오는 것을 가리킨다. | ||
| - | - li³¹(오다) | + | ##### li³¹(오다) |
| 거리가 멀 때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내려오는 것을 가리키고 거리가 가까울 때는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가리킨다. | 거리가 멀 때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내려오는 것을 가리키고 거리가 가까울 때는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가리킨다. | ||
| - | - lɑ⁵⁵(가다) | + | ##### lɑ⁵⁵(가다) |
| 거리가 멀 때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올라가는 것을 가리키고, 거리가 가까울 때는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것을 가리킨다. | 거리가 멀 때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올라가는 것을 가리키고, 거리가 가까울 때는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것을 가리킨다. | ||
| - | - le³⁵(가다) | + | ##### le³⁵(가다) |
| 거리가 멀 때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내려가는 것을 가리키고, 거리가 가까울 때는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가리킨다. | 거리가 멀 때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내려가는 것을 가리키고, 거리가 가까울 때는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가리킨다.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5) | {{{eg>nusu1239 (sunhongkai1986:65) | ||
| - | [mɑ⁵⁵ lɑ³⁵ dɯ³⁵ lo⁵⁵³⁵?] | + | mɑ⁵⁵ lɑ³⁵ dɯ³⁵ lo⁵⁵³⁵? |
| NEG come still Q | NEG come still Q | ||
| 안 올라오니? | 안 올라오니? | ||
| }}} | }}} | ||
| - | - 이들 동사들은 다른 행위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 + | ###### 이들 동사들은 다른 행위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
| 예: lu³⁵le³⁵lɑ³⁵ ‘위로 가져오다’ | 예: lu³⁵le³⁵lɑ³⁵ ‘위로 가져오다’ | ||
| 줄 107: | 줄 115: | ||
| lu³⁵le³⁵Ie³⁵ ‘아래로 가져가다’ | lu³⁵le³⁵Ie³⁵ ‘아래로 가져가다’ | ||
| + | |||
| - Ie³⁵는 문법화된 동사인데, 원래는 ‘가지다’의 뜻인데, 여기서 동작의 지속 ‘(가져서 무엇을 하다)을 의미한다. | - Ie³⁵는 문법화된 동사인데, 원래는 ‘가지다’의 뜻인데, 여기서 동작의 지속 ‘(가져서 무엇을 하다)을 의미한다. | ||
| 줄 118: | 줄 127: | ||
| - | ##(5) 양태 동사 | + | ###(5) 양태 동사 |
| - kuɑ̃ɹ53 ‘ㄹ 줄 알다’(can) | - kuɑ̃ɹ53 ‘ㄹ 줄 알다’(can) | ||
| 줄 133: | 줄 142: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6) | {{{eg>nusu1239 (sunhongkai1986:66) | ||
| - | [ȵɑ⁵⁵ pio̠⁵³ kuɑ̃ɹ̠⁵³ pio̠⁵³ mɑ⁵⁵ kuɑ̃ɹ̠⁵³ ne⁵⁵] | + | ȵɑ⁵⁵ pio̠⁵³ kuɑ̃ɹ̠⁵³ pio̠⁵³ mɑ⁵⁵ kuɑ̃ɹ̠⁵³ ne⁵⁵. |
| - | 2SG write can write not can Q | + | 2SG write can write not can Q |
| 너 (글)쓸 줄 알아? 몰라? | 너 (글)쓸 줄 알아? 몰라? | ||
| }}} | }}} | ||
| 줄 140: | 줄 149: | ||
| - 양태 동사가 행위 동사와 결합할 때 행위 동사+양태 동사의 순서, 양태 동사가 否定 부사와 결합할 때 양태 동사+否定 부사의 순서. | - 양태 동사가 행위 동사와 결합할 때 행위 동사+양태 동사의 순서, 양태 동사가 否定 부사와 결합할 때 양태 동사+否定 부사의 순서. | ||
| - | ##(6) 판단 동사 | + | ###(6) 판단 동사 |
| 누수어의 판단 동사: uɑ̃ɹ53, ˀne⁵³ 그리고 tɑ³¹(ˀlɑ³¹로도 읽음). | 누수어의 판단 동사: uɑ̃ɹ53, ˀne⁵³ 그리고 tɑ³¹(ˀlɑ³¹로도 읽음). | ||
| 줄 149: | 줄 158: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7) | {{{eg>nusu1239 (sunhongkai1986:67) | ||
| - | [ˀȵo⁵⁵ sɤ³¹nɤ³¹ ȵo³¹ pʰɯ⁵⁵ uɑ̃ɹ⁵³ ɑ³¹ le⁵⁵⁵³?] | + | ˀȵo⁵⁵ sɤ³¹nɤ³¹ ȵo³¹ pʰɯ⁵⁵ uɑ̃ɹ⁵³ ɑ³¹ le⁵⁵⁵³? |
| - | 3SG PTCL 2SG uncle COP PTCL Q | + | 3SG PTCL 2SG uncle COP PTCL Q |
| - | 그는 너의 삼촌이야? | + | 그는 너의 삼촌이야? |
| + | }}} | ||
| - | uɑ̃ɹ⁵³ ɑ³¹. | + | |
| + | |||
| + | |||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7) | ||
| + | uɑ̃ɹ⁵³ ɑ³¹ | ||
| COP PTCL | COP PTCL | ||
| - | 맞아. | + | 맞아 |
| }}} | }}} | ||
| ###2) ˀne⁵³, tɑ³¹ | ###2) ˀne⁵³, tɑ³¹ | ||
| + | |||
| - 질문에 대한 답으로 단독적으로 쓰일 수 없다. 부사 zɑ⁵⁵ ‘오직’의 수식만을 받을 수 있다. | - 질문에 대한 답으로 단독적으로 쓰일 수 없다. 부사 zɑ⁵⁵ ‘오직’의 수식만을 받을 수 있다.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8) | {{{eg>nusu1239 (sunhongkai1986:68) | ||
| - | [ɕi³⁵ ku³¹ sɤ³¹nɤ³¹ ɕi⁵⁵dzə̃ɹ³⁵ tɑ³¹ vi⁵⁵⁵³?] | + | ɕi³⁵ ku³¹ sɤ³¹nɤ³¹ ɕi⁵⁵dzə̃ɹ³⁵ tɑ³¹ vi⁵⁵⁵³? |
| - | this CL PTCL peach tree COP Q | + | this CL PTCL peach.tree COP Q |
| 이 것이 복숭아나무예요? | 이 것이 복숭아나무예요? | ||
| }}} | }}} | ||
| - | ##(7) 존재 동사 | + | ###(7) 존재 동사 |
| - | ###1) ni³⁵ | + | |
| + | |||
| + | ####1) ni³⁵ | ||
| - 사람과 동물에게 쓰이는 존재 동사이다. | - 사람과 동물에게 쓰이는 존재 동사이다.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9) | {{{eg>nusu1239 (sunhongkai1986:69) | ||
| - | [ɹi³¹ɹɑ⁵³ do³⁵ ŋɑ⁵⁵ ȵi³⁵ ɑ³¹.] | + | ɹi³¹ɹɑ⁵³ do³⁵ ŋɑ⁵⁵ ȵi³⁵ ɑ³¹. |
| water LAT fish exsit PTCL | water LAT fish exsit PTCL | ||
| 물에 물고기가 있다. | 물에 물고기가 있다. | ||
| }}} | }}} | ||
| - | ###2) dʑɑ⁵³ | + | ####2) dʑɑ⁵³ |
| - 무생물에 쓰이는 존재 동사이다. | - 무생물에 쓰이는 존재 동사이다.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9) | {{{eg>nusu1239 (sunhongkai1986:69) | ||
| - | [mɹi³⁵ dɑ³⁵ si⁵³dɔ̄⁵⁵si⁵³de³⁵ dʑɑ⁵³ ɑ³¹] | + | mɹi³⁵ dɑ³⁵ si⁵³dɔ̄⁵⁵si⁵³de³⁵ dʑɑ⁵³ ɑ³¹. |
| - | ground on firewood exist PTCL. | + | ground on firewood exist PTCL |
| 땅에 땔감이 있다. | 땅에 땔감이 있다. | ||
| }}} | }}} | ||
| - | ###3) kʰui³⁵ | + | ####3) kʰui³⁵ |
| - 소유물과 피소유물 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존재동사이다. | - 소유물과 피소유물 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존재동사이다. | ||
| {{{eg>nusu1239 (sunhongkai1986:69) | {{{eg>nusu1239 (sunhongkai1986:69) | ||
| - | [kʰui⁵⁵ sʰuɑ⁵⁵ kʰui³¹ ɑ³¹.] | + | kʰui⁵⁵ sʰuɑ⁵⁵ kʰui³¹ ɑ³¹. |
| egg shell exist PTCL | egg shell exist PTCL | ||
| 계란은 껍데기가 있다. | 계란은 껍데기가 있다. | ||
| }}} | }}} | ||
| - | ##(8) 동사의 명사화 | + | ###(8) 동사의 명사화 |
| - | ###1) 동사 뒤에 명사화소 ɑ³¹를 추가하여 그 동작의 이름을 표현한다. | + | ####1) 동사 뒤에 명사화소 ɑ³¹를 추가하여 그 동작의 이름을 표현한다. |
| 예: dzɑ⁵⁵ ‘먹다’ -> dzɑ⁵⁵ɑ³¹ ‘먹기’ | 예: dzɑ⁵⁵ ‘먹다’ -> dzɑ⁵⁵ɑ³¹ ‘먹기’ | ||
| - | ###2) 동사 뒤에 명사화소 kʰue³⁵가 붙어 동사와 관련된 사물을 나타낸다. | + | ####2) 동사 뒤에 명사화소 kʰue³⁵가 붙어 동사와 관련된 사물을 나타낸다. |
| 예: dzɑ⁵⁵ ‘먹다’ -> dzɑ⁵⁵kʰue³⁵ ‘먹는 것’ | 예: dzɑ⁵⁵ ‘먹다’ -> dzɑ⁵⁵kʰue³⁵ ‘먹는 것’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