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usu:2_wordclass:24_adj:24_adj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nusu:2_wordclass:24_adj:24_adj [2017/03/04 14:35]
서취아 [(5) 형용사의 명사화]
doc:nusu:2_wordclass:24_adj:24_adj [2018/08/18 16:49] (현재)
이민 [(2) 색깔 형용사의 중첩]
줄 1: 줄 1: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0%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100% :
  
 - 누수어의 형용사는 정도부사 mɑ³¹iɑ̃³¹ ‘아주/​매우’,​ kɑɹ³⁵ ‘더(욱)’,​ kɑɹ³⁵le³¹kɑɹ³¹ ‘가장’ 그리고 否定 부사 mɑ⁵⁵의 수식을 받지만 금지 부사 tʰɑ⁵⁵ ‘dont’의 수식을 받는 않는다. ​ - 누수어의 형용사는 정도부사 mɑ³¹iɑ̃³¹ ‘아주/​매우’,​ kɑɹ³⁵ ‘더(욱)’,​ kɑɹ³⁵le³¹kɑɹ³¹ ‘가장’ 그리고 否定 부사 mɑ⁵⁵의 수식을 받지만 금지 부사 tʰɑ⁵⁵ ‘dont’의 수식을 받는 않는다. ​
줄 39: 줄 39:
 {{{eg>​nusu1239 (sunhongkai1986:​72) {{{eg>​nusu1239 (sunhongkai1986:​72)
 [ɣɯ⁵⁵ ɕɑ³⁵ m̩⁵⁵ lɔ⁵³ ​ dʑi³¹ʐi⁵⁵ʐi³¹.] [ɣɯ⁵⁵ ɕɑ³⁵ m̩⁵⁵ lɔ⁵³ ​ dʑi³¹ʐi⁵⁵ʐi³¹.]
-pot  this  two CL  same  big+pot  this  two CL   ​same.big
 이 두 냄비의 크기는 같다. ​ 이 두 냄비의 크기는 같다. ​
 }}} }}}
줄 59: 줄 59:
 -형용사 뒤에 명사화소 ɑ³¹가 올 수 있고, 소수이지만 추상적 의미를 가진 형용사 뒤에 명사화소 kʰue³⁵가 와서 형용사를 명사화시킨다. -형용사 뒤에 명사화소 ɑ³¹가 올 수 있고, 소수이지만 추상적 의미를 가진 형용사 뒤에 명사화소 kʰue³⁵가 와서 형용사를 명사화시킨다.
  
-예: dʑɔ⁵³ ‘새롭다’ -> dʑɔ⁵³ɑ³¹ ‘새 것’+예: dʑɔ⁵³ ‘새롭다’ -> dʑɔ⁵³ɑ³¹ ‘새로운 ​것’
  
 ʐɑ⁵⁵ ‘어렵다’ -> ʐɑ⁵⁵kʰue³⁵ ‘어려움’ ʐɑ⁵⁵ ‘어렵다’ -> ʐɑ⁵⁵kʰue³⁵ ‘어려움’
  
doc/nusu/2_wordclass/24_adj/24_adj.148860575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3/04 14:35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