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usu: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17/01/19 15:27] 서취아 |
doc:nusu: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5: | 줄 5: | ||
| - 실질 형태소가 접두사, 접미와 혹은 다른 虛辭와 같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할 수 있다. | - 실질 형태소가 접두사, 접미와 혹은 다른 虛辭와 같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할 수 있다. | ||
| - | ###1) 접두사 ɑ⁵⁵ 혹은 ia⁵⁵가 친족어인 명사 형태소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형성할 수 있다. | + | ###1) 접두사 ɑ⁵⁵ 혹은 ia⁵⁵ |
| + | |||
| + | - 친족어인 명사 형태소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형성할 수 있다. | ||
| 예: ɑ⁵⁵pɔ⁵⁵ 혹은 iɑ⁵⁵pɔ⁵⁵ ‘조부’ | 예: ɑ⁵⁵pɔ⁵⁵ 혹은 iɑ⁵⁵pɔ⁵⁵ ‘조부’ | ||
| 줄 17: | 줄 19: | ||
| 예: ɑ³¹mɯ³¹ ‘옥수수’ | 예: ɑ³¹mɯ³¹ ‘옥수수’ | ||
| - | ###2) 접미사 ɑ³¹가 명사, 동사, 형용사, 그리고 다른 품사 뒤에 붙어 합성어를 형성할 수 있다. | + | ###2) 접미사 ɑ³¹ |
| + | |||
| + | - 명사, 동사, 형용사, 그리고 다른 품사 뒤에 붙어 합성어를 형성할 수 있다. | ||
| 예: ȵi³⁵ɑ⁵⁵ ‘태양’ | 예: ȵi³⁵ɑ⁵⁵ ‘태양’ | ||
| - | ###3) 동사 혹은 형용사 뒤에 虛化된 su³⁵(사람)이 붙어, 동사 혹은 형용사를 ‘어떤 특징을 갖는 사람’ 혹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로 바꾼다. | + | ###3) 문법화된 su³⁵(사람) |
| + | |||
| + | -동사 혹은 형용사 뒤에 문법화된 su³⁵(사람)이 붙어, 동사 혹은 형용사를 ‘어떤 특징을 갖는 사람’ 혹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로 바꾼다. | ||
| 예: kʰɯ⁵⁵ ‘훔치다’ + su³⁵ -> kʰɯ⁵⁵su³⁵ ‘도둑’ | 예: kʰɯ⁵⁵ ‘훔치다’ + su³⁵ -> kʰɯ⁵⁵su³⁵ ‘도둑’ | ||
| - | ###4) 명사, 동사 그리고 다른 품사 뒤에 장소를 나타내는 허사인 ‘de⁵⁵’, ‘ɹɑ³⁵’, ‘bɑ³¹’, 그리고 ‘dzə³⁵’가 붙어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를 형성한다. | + | ###4) de⁵⁵’, ‘ɹɑ³⁵’, ‘bɑ³¹’, ‘dzə³⁵’ |
| + | |||
| + | -명사, 동사 그리고 다른 품사 뒤에 장소를 나타내는 문법화된 ‘de⁵⁵’, ‘ɹɑ³⁵’, ‘bɑ³¹’, 그리고 ‘dzə³⁵’가 붙어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를 형성한다. | ||
| 예: xe⁵⁵(한족) + de⁵⁵ -> xe⁵⁵de⁵⁵-> (중국)대륙 | 예: xe⁵⁵(한족) + de⁵⁵ -> xe⁵⁵de⁵⁵-> (중국)대륙 | ||
| - | ###5) 명사, 동사 그리고 다른 품사 뒤에 조사 m̩⁵⁵가 붙어 부사를 형성할 수 있다. | + | ###5) 조사 m̩⁵⁵ |
| + | |||
| + | -명사, 동사 그리고 다른 품사 뒤에 조사 m̩⁵⁵가 붙어 부사를 형성할 수 있다. | ||
| 예: dʑo⁵⁵dʑo⁵⁵ ‘예쁘다’ + m̩⁵⁵ -> dʑo⁵⁵dʑo⁵⁵m̩⁵⁵ ‘예쁘게’ | 예: dʑo⁵⁵dʑo⁵⁵ ‘예쁘다’ + m̩⁵⁵ -> dʑo⁵⁵dʑo⁵⁵m̩⁵⁵ ‘예쁘게’ | ||
| - | ###6) 명사 뒤에 보통 단독적으로 쓰이지 않는 mi³¹ɑ³¹ 혹은 mɑ³¹가 붙어 ‘음성’ 혹은 ‘암컷’의 의미를 나타내고, pʰɯ³⁵, pʰɔ³¹, pʰɑ³¹가 붙어 ‘양성’ 혹은 ‘수컷’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러한 접미사들은 동물 명사뿐 아니라 다른 품사 뒤에도 붙을 수 있다. | + | ###6) mi³¹ɑ³¹/mɑ³¹, pʰɯ³⁵/pʰɑ³¹(성 표지) |
| + | |||
| + | -명사 뒤에 보통 단독적으로 쓰이지 않는 mi³¹ɑ³¹ 혹은 mɑ³¹가 붙어 ‘음성’ 혹은 ‘암컷’의 의미를 나타내고, pʰɯ³⁵, pʰɔ³¹, pʰɑ³¹가 붙어 ‘양성’ 혹은 ‘수컷’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러한 접미사들은 동물 명사뿐 아니라 다른 품사 뒤에도 붙을 수 있다. | ||
| 예: ɹɑ³¹pʰɑ³¹ ‘수탉’, ɹɑ³¹mi³¹ɑ³¹ ‘암탉’ | 예: ɹɑ³¹pʰɑ³¹ ‘수탉’, ɹɑ³¹mi³¹ɑ³¹ ‘암탉’ | ||
| - | ###7) 동사, 형용사 뒤에 문법화된 동사 tʰɑ⁵³(‘획득하다’)가 붙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낸다. | + | ###7) 문법화된 동사 tʰɑ⁵³(‘획득하다’) |
| + | |||
| + | -동사, 형용사 뒤에 문법화된 동사 tʰɑ⁵³(‘획득하다’)가 붙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낸다. | ||
| 예: ɹu³¹ ‘보다’ + tʰɑ⁵³ -> ɹu³¹ + tʰɑ⁵³ ‘마음에 들다’ | 예: ɹu³¹ ‘보다’ + tʰɑ⁵³ -> ɹu³¹ + tʰɑ⁵³ ‘마음에 들다’ | ||
| - | ###8) 동사 뒤에 문법화된 동사 kʰɹɑ³¹(‘떨어지다’)가 붙어 어떤 현상 혹은 동작으로 하여금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 + | ###8) 문법화된 동사 kʰɹɑ³¹(‘떨어지다’) |
| + | |||
| + | - 동사 뒤에 문법화된 동사 kʰɹɑ³¹(‘떨어지다’)가 붙어 어떤 현상 혹은 동작으로 하여금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 ||
| 예: bɔ⁵³ ‘섞다’ + kʰɹɑ³¹ -> bɔ⁵³ + kʰɹɑ³¹ ‘섞어 버리다’ | 예: bɔ⁵³ ‘섞다’ + kʰɹɑ³¹ -> bɔ⁵³ + kʰɹɑ³¹ ‘섞어 버리다’ | ||
| - | ###9) 동사 뒤에 문법화된 동사 ɹu³¹(‘보다’)가 붙어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의 의미, 혹은 ‘추측’의 의가 더해진다. | + | ###9) 문법화된 동사 ɹu³¹(‘보다’) |
| + | |||
| + | -동사 뒤에 문법화된 동사 ɹu³¹(‘보다’)가 붙어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의 의미, 혹은 ‘추측’의 의가 더해진다. | ||
| 예: zui³⁵ ‘생각하다’ + ɹu³¹ -> zui³⁵ɹu³¹ ‘생각해 보다’, ‘의심하여 염려하다’ | 예: zui³⁵ ‘생각하다’ + ɹu³¹ -> zui³⁵ɹu³¹ ‘생각해 보다’, ‘의심하여 염려하다’ | ||
| - | ###10) 형용사 뒤에 2음절 중첩음이 붙어 형용사의 의미를 더 생생하게 표현한다. | + | ###10) 2음절 중첩음 추가 |
| + | |||
| + | -형용사 뒤에 2음절 중첩음이 붙어 형용사의 의미를 더 생생하게 표현한다. | ||
| 예: kʰɑ⁵⁵tɕʰɑ⁵⁵tɕʰɑ⁵⁵ ‘밝고 환하다’ | 예: kʰɑ⁵⁵tɕʰɑ⁵⁵tɕʰɑ⁵⁵ ‘밝고 환하다’ | ||
| 줄 63: | 줄 83: | ||
| 예: ʑi⁵⁵(크다) + dzi³⁵(작다) -> ʑi⁵⁵dzi³⁵ ‘크기’ | 예: ʑi⁵⁵(크다) + dzi³⁵(작다) -> ʑi⁵⁵dzi³⁵ ‘크기’ | ||
| - | ###2): 偏正 관계 | + | ###2): 수식 관계 |
| - 앞의 어휘소가 중심어이고 뒤의 어휘소가 수식어인 경우는 또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 | - 앞의 어휘소가 중심어이고 뒤의 어휘소가 수식어인 경우는 또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 | ||
| 줄 111: | 줄 131: | ||
| 예: zui³¹ ‘사상’ + dʑɑ³⁵ ‘아프다’ -> zui³¹dʑɑ³⁵ ‘슬프다’ | 예: zui³¹ ‘사상’ + dʑɑ³⁵ ‘아프다’ -> zui³¹dʑɑ³⁵ ‘슬프다’ | ||
| - | ###4): 支配 관계 | + | ###4): 목술 관계 |
| -명사가 동사와 결합하여 명사/동사를 형성한다. | -명사가 동사와 결합하여 명사/동사를 형성한다. | ||
| - | de³¹ ‘땅’ +kɹɑ⁵⁵ ‘분류하다’ ->de³¹kɹɑ⁵⁵ ‘지경(地境)’ | + | de³¹ ‘땅’ +kɹɑ⁵⁵ ‘가르다, 경계 짓다’ ->de³¹kɹɑ⁵⁵ ‘땅의 경계’ |
| ###5): 補充 관계 | ###5): 補充 관계 | ||
| - | -補充 관계는 다시 ‘명사+양사’ 구조와 ‘동사+형용사’ 구조 두 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 | + | - 補充 관계는 다시 ‘명사+분류사’ 구조와 ‘동사+형용사’ 구조 두 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 |
| + | |||
| + | ‘명사+분류사’ 구조의 예: vɑ³¹ ‘배’ + lɔ⁵³ ‘개’ ->vɑ³¹lɔ⁵³ ‘배’ | ||
| - | ‘명사+양사’ 구조의 예: vɑ³¹ ‘배’ + lɔ⁵³ ‘개’ ->vɑ³¹lɔ⁵³ ‘배’ | + | ‘동사+결과 보어’ 구조의 예: kʰɤ³¹ ‘외치다, 부르다’ + ɣɑ⁵³ ‘모이다’ -> kʰɤ³¹ɣɑ⁵³ ‘소집하다’ |
| - | ‘동사+형용사’ 구조의 예: kʰɤ³¹ ‘외치다’ + ɣɑ⁵³ ‘집중하다’ -> kʰɤ³¹ɣɑ⁵³ ‘불러 모으다’ | ||
| ##(3)의성법 | ##(3)의성법 | ||
| 줄 135: | 줄 157: | ||
| - 형용사의 중첩: bɑ⁵⁵bɑ⁵⁵ ‘하얗다’ | - 형용사의 중첩: bɑ⁵⁵bɑ⁵⁵ ‘하얗다’ | ||
| - | ##(5)四音詞 | + | ##(5)4음절 연면어 |
| - | 四音詞는 다시 | + | 4음절 연면어는 다시 |
| - AABB형, miɑ³¹miɑ⁵⁵ȵu³⁵ȵu³⁵ ‘얼마든지’ | - AABB형, miɑ³¹miɑ⁵⁵ȵu³⁵ȵu³⁵ ‘얼마든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