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oroch:0_general:01_basic:01_basic [2020/03/16 22:06] 127.0.0.1 바깥 편집 |
doc:oroch:0_general:01_basic:01_basic [2021/08/26 19:59] (현재) 동영은 |
||
|---|---|---|---|
| 줄 1: | 줄 1: | ||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 + | |||
| + | ### 언어명 | ||
| + | |||
| + | - 국문: 오로치어 | ||
| + | - 영문: Oroch (Orochi) language | ||
| + | - 노문: орочский язык | ||
| + | - 자칭: (사람들) нани ('땅의 사람들'이라는 뜻. 19세기까지는 사용된 것으로 보이나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음), орочи (어웡키어эвенкий에서 유래. оро '순록', -чи- '소유를 나타내는 접미사' 즉, '순록을 가진 사람들'이라는 의미이지만 사실 오로치인들은 순록을 키우지 않는다) | ||
| + | |||
| + | ### 코드 | ||
| + | |||
| + | - ISO 639-3 코드: oac | ||
| + | - WALS 코드: orc | ||
| + | - Glotto 코드: oroc1248 | ||
| + | |||
| + | |||
| + | |||
| + | ### 인구지리학적 정보 | ||
| + | |||
| + | 1989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에는 883명의 오로치인이 거주했고 그 중 157명이 오로치어를 모국어로 여겼다 (1979년 자료에는 345,000명 인구 중 1천명). 2000년 하바롭스크 변경주 데이터에 따르면, 러시아의 오로치인은 900명으로, 그 중 492명이 하바롭스크 변경주, 129명은 사할린 주, 87명이 마가단 주, 14명이 프리모르스크 변경주에 살고 있다. | ||
| + |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오로치인은 596명, 오로치어 화자는 8명이다.(http://www.gks.ru/free_doc/new_site/perepis2010/perepis_itogi1612.htm) | ||
| + | |||
| + | 오로치인의 구성에는 에벤키 출신의 나나이인들이 상당수 유입되었기 때문에 나나이어와 유사성을 지닌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오로치어와 우데게어를 근접한 방언으로 보는 견해도 있었다. | ||
| + | 오로치인은 네기달인과 물리적으로 가장 근접하다고 보지만, 인류학적 분류상 오로치인은 사할린-아무르 혼혈로 분류된다(Girfanova2001:382). | ||
| + | |||
| + | ### 언어위상 | ||
| + | |||
| + | 오로치어는 노년층에서 사용하는 구어로서, 오로치어로 이루어지는 오로치어 교육은 없다. 모든 오로치인들은 러시아어를 구사한다. | ||
| + | |||
| + | 오로치어의 통사 등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져있지 않은 편이다. 다만 이웃 어군에 속한 나나이어, 우데게어, 울치어 등과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 ||
| + | |||
| + | - Glottolog AES status: moribun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