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ossetic:4_ss:48_tame:tame_aspect [2020/03/16 22:06] 127.0.0.1 바깥 편집 |
doc:ossetic:4_ss:48_tame:tame_aspect [2020/07/23 06:18] (현재) 동영은 |
||
|---|---|---|---|
| 줄 1: | 줄 1: | ||
| ## tame_aspect : 상 (aspect) | ## tame_aspect : 상 (aspect) | ||
| + | 완망상과 비완망상의 어간이 서로 다른 경우도 있지만 비완망상에 접두사(preverb)를 붙여서 완망상으로 만들 수 있다. | ||
| + | |||
| + | {{{lex>osse1243 (Isaev1999:316) | ||
| + | |||
| + | - цӕуын : to go.IPFV | ||
| + | - ра-цӕуын : to go out.PFV | ||
| + | - ны-ццӕуын : to get off.PFV | ||
| + | - ӕрба-цӕуын : to come.PF.PFV | ||
| + | |||
| + | }}} | ||
| + | |||
| + | 완망상을 만드는 접두사(preverb)로는 아래의 9개가 있다. 이들을 사용하여 완망성의 의미 외에도 다회성, 보통성, 계속성 등의 상적 의미를 추가할 수 있다. | ||
| + | |||
| + | {{{lex>osse1243 (Isaev1966:249) | ||
| + | |||
| + | - а- : 완망상 | ||
| + | - ба- : 완망상 | ||
| + | - ӕр- : 완망상 | ||
| + | - ӕрба- : 완망상 | ||
| + | - ра- : 완망상 | ||
| + | - ны- : 완망상 | ||
| + | - цӕ- : 완망상 | ||
| + | - (ы)с- : 완망상 | ||
| + | - фӕ- : 완망상 | ||
| + | |||
| + | }}} | ||
| + | |||
| + | 위의 접두사(preverb)는 상적인 의미 외에 동작의 방향이나 관찰자의 상대적 위치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Isaev1966:249). | ||
| + | |||
| + | ^ 동사 ^ 동작의 방향정보 ^ 관찰자의 위치정보 ^ | ||
| + | | а-цыд | to go out | inside | | ||
| + | | ра-цыд | to go out | outside | | ||
| + | | ба-цыд | to go | outside | | ||
| + | | ӕрба-цыд | to go | inside | | ||
| + | | ӕр-цыд | to get off | down below | | ||
| + | | ны-ццыд | come from above | at the top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