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palaung:2_wordclass:27_num:27_nu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palaung:2_wordclass:27_num:27_num [2018/06/22 16:27]
박은석
doc:palaung: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26 09:21] (현재)
박은석
줄 1: 줄 1:
-# 27_num : 수사 (numeral)+# 27_num : 수사 (numeral) ​
  
 팔라웅어의 수사는 기수사, 서수사, 배수, 어림수, 분수 5가지로 나뉜다. 팔라웅어의 수사는 기수사, 서수사, 배수, 어림수, 분수 5가지로 나뉜다.
줄 113: 줄 113:
 어림수를 나타내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 어림수를 나타내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
  
-첫째, 연접한 두 기수로 어림수를 표현한다. ​+첫째, 연접한 두 기수로 어림수를 표현한다. 둘째, 숫자 뒤에 'loi : 많다',​ '​hoˀlɛh : 상하'​를 부가하여 어림수를 표현한다. 셋째, 셀 수 없는 사물에는 일반적으로 '​tʼrit : 약간(중국어의 一点에 해당), ˀu dai : 약간(중국어의 一些에 해당), kɔːn ​ n̩ʼrit : 약간(중국어의 一点点儿)을 사용하여 어림수를 나타낸다. 
  
-둘째, 숫자 뒤에 'loi : 많다',​ '​hoˀlɛh : 상하'​를 부가하여 ​어림수를 표현한다. ​+#### (1) 연접한 두 기수로 ​어림수 표현
  
-셋째, 셀 수 없는 사물에는 일반적으로 '​tʼrit ​약간(중국어의 一点에 해당)ˀu dai : 약간(중국어의 一些에 해당), ​  +{{{eg>​pala1336 (chenxiangmu2007:989) 
 +ˀa ˀʊi kau 
 +two three CL 
 +두 세개 
 +}}}
  
-연접한 두 기로 수를 ​표현한다.  +#### (2) 숫자 뒤에 'loi : 많다',​ '​hoˀlɛh : 상하'​를 부가 
-ˀu ˀa kau+ 
 +{{{eg>​pala1336 (chenxiangmu2007:​989) 
 +tɔːr kɤːr loi  
 +six  ten  many 
 +육십여 
 +}}} 
 + 
 +#### (3) 셀 수 없는 사물에 '​tʼrit : 약간(중국의 一点에 해당), ˀu dai : 약간(중국어의 一些에 해당), kɔːn ​ n̩ʼrit : 약간(중국어의 一点点儿)부가 
 + 
 +{{{eg>​pala1336 (chenxiangmu2007:​989) 
 +ˀo hɔːm kɔːm n̩ʼrit 
 +1SG eat small a.little.bit 
 +나는 조금 먹는다. 
 +}}} 
 + 
 +### 분 
 + 
 +분수도 '​le' ​를 사용해서 나타낸다. 분수의 '​le'​는 배수를 나타내지 않으며 원래 수 중에서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지를 나타낸다. 
 + 
 +{{{eg>​pala1336 (chenxiangmu2007:​989) 
 +kɤːr le tɤh lɛh phan le 
 +ten NUM take come five NUM 
 +십분의 오 
 +}}} 
 + 
  
  
doc/palaung/2_wordclass/27_num/27_num.152965244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2 16:27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