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palaung:2_wordclass:28_clf:28_clf [2018/06/22 19:32] 박은석 |
doc:palaung:2_wordclass:28_clf:28_clf [2021/08/26 09:22] (현재) 박은석 |
||
|---|---|---|---|
| 줄 1: | 줄 1: | ||
| - |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 |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 팔라웅어의 수분류사는 양사라고 불리며,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의 두 부류로 나뉜다. | 팔라웅어의 수분류사는 양사라고 불리며,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의 두 부류로 나뉜다. | ||
| 줄 15: | 줄 15: | ||
| #### 명량사의 특징 | #### 명량사의 특징 | ||
| - | + | ||
| - | (1) 명사 명량사 | + | ##### (1) 명사 명량사 |
| 그 상황에 관계된 명사가 명량사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 그 상황에 관계된 명사가 명량사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 ||
| - | - phaːn : 접시 | + | - phaːn : 쟁반 |
| - lɔ:? : 그릇 | - lɔ:? : 그릇 | ||
| - ɡiaŋ : 집 | - ɡiaŋ : 집 | ||
| + | {{{eg>pala1336 (chenxiangmu2007:990) | ||
| + | tau ˀu phaːn | ||
| + | water one CL.dish | ||
| + | 한 쟁반의 요리 | ||
| + | }}} | ||
| - | + | ||
| - | (2) 동사에서 분화된 명량사 | + | ##### (2) 동사에서 분화된 명량사 |
| 어떤 명량사는 동사에서 분화되어 나왔다. | 어떤 명량사는 동사에서 분화되어 나왔다. | ||
| 이러한 명량사가 가리키는 것은 동작, 행위의 결과로 형성된 단위이다. | 이러한 명량사가 가리키는 것은 동작, 행위의 결과로 형성된 단위이다. | ||
| - | (3) 'pɛn' 과 결합하여 ABAB 형식의 사음격식구조 형성 | + | {{{eg>pala1336 (chenxiangmu2007:990) |
| + | kɔːt he ˀu kɔːt | ||
| + | CL.carry firewood one CL.carry | ||
| + | 장작 한 짐을 메다 | ||
| + | }}} | ||
| + | |||
| - | 어떤 명량사는 pɛn 과 결합하여 ABAB 형식의 사음격식구조를 형성하며, 그 양이 완전하고 결함이 없음을 나타낸다. | + | ##### (3) 'pɛn : 이루다(중국어의 成의 의미)' 과 결합하여 ABAB 형식의 사음격식구조 형성 |
| + | |||
| + | 어떤 명량사는 'pɛn'과 결합하여 ABAB 형식의 사음격식구조를 형성하며, 그 양이 완전하고 결함이 없음을 나타낸다. | ||
| + | |||
| + | {{{eg>pala1336 (chenxiangmu2007:990) | ||
| + | pɛn ŋɔi pɛn ŋɔi | ||
| + | CL day CL day | ||
| + | 하루종일 | ||
| + | }}} | ||
| ### 동량사 | ### 동량사 | ||
| + | |||
| + | 팔라웅어의 동량사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
| - lɤh : 중국어의 回에 해당 | - lɤh : 중국어의 回에 해당 | ||
| 줄 46: | 줄 66: | ||
| - m̥ɤ : 중국어의 夜에 해당 | - m̥ɤ : 중국어의 夜에 해당 | ||
| - m̩ʼbra : 중국어의 顿에 해당 | - m̩ʼbra : 중국어의 顿에 해당 | ||
| + | - tɕɔːn : 중국어의 转에 해당 | ||
| - | + | #### 동량사의 특징 | |
| - | - tɕɔːn : 중국어의 转에 해당하는 양사 | + | |
| + | ##### (1) 명사 동량사 | ||
| + | |||
| + | 그 상황에 관계된 명사가 동량사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 ||
| + | |||
| + | - tai : 손 | ||
| + | - dʑɤŋ : 발 | ||
| + | - lɔːˀ : 그릇 | ||
| + | |||
| + | |||
| + | {{{eg>pala1336 (chenxiangmu2007:991) | ||
| + | tih ˀu tai | ||
| + | hit one hand | ||
| + | (주먹으로) 한 대 때렸다 | ||
| + | }}} | ||
| + | |||
| + | |||
| + | ##### (1) 시간명사 동량사 | ||
| + | |||
| + | 해, 달, 일 등의 시간 명사가 동량사 역할을 하기도 한다. | ||
| + | |||
| + | {{{eg>pala1336 (chenxiangmu2007:991) | ||
| + | ˀo rɛŋplɤŋ ˀʊi ŋɔi | ||
| + | 1SG work three day | ||
| + | 나는 3일을 노동했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