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pana:8_lexicology:81_voca:81_voca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pana:8_lexicology:81_voca:81_voca [2020/10/22 20:08]
마영리
doc:pana:8_lexicology:81_voca:81_voca [2020/11/27 21:59] (현재)
마영리
줄 4: 줄 4:
  
 - 초보적인 통계에 따르면, 2414개의 상용어 중에 한어 차용어가 1080에 달하여 44.74%를 차지한다. 일부의 상용어가 다른 방언은 한어에서 차용하지 않는데, 바나어는 차용하고 있다. 예컨대, - 초보적인 통계에 따르면, 2414개의 상용어 중에 한어 차용어가 1080에 달하여 44.74%를 차지한다. 일부의 상용어가 다른 방언은 한어에서 차용하지 않는데, 바나어는 차용하고 있다. 예컨대,
 +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6)
  
 ^ 묘어(苗語,​ 다난산 大南山) ​  ^ 요어(瑤語,​ 라오수췬 老書村) ​  ^ 부누어(布努語,​ 치바이농 七百弄) ​  ^ 바나어 ​  ^ 뜻   ^ ^ 묘어(苗語,​ 다난산 大南山) ​  ^ 요어(瑤語,​ 라오수췬 老書村) ​  ^ 부누어(布努語,​ 치바이농 七百弄) ​  ^ 바나어 ​  ^ 뜻   ^
줄 17: 줄 19:
 | ŋqen⁴³ ​  | ɡaːn³³ ​  | ŋko³³ ​  | sai¹³mo³¹³tsho³⁵ ​  | 모초, 띠   | | ŋqen⁴³ ​  | ɡaːn³³ ​  | ŋko³³ ​  | sai¹³mo³¹³tsho³⁵ ​  | 모초, 띠   |
  
 +}}}
  
 ### 둘째, 접사는 그다지 많지 않다. ### 둘째, 접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줄 23: 줄 25:
 - (1) 접두사 la⁴⁴-는 명사에서 나타나고,​ 출현 빈도가 상당히 높다. 예컨대, - (1) 접두사 la⁴⁴-는 명사에서 나타나고,​ 출현 빈도가 상당히 높다. 예컨대,
  
-| la⁴⁴ɡwaŋ³¹³ 하늘 ​  | la⁴⁴ni¹³ 해   | la⁴⁴la³⁵ 달   | la⁴⁴fo⁴⁴ 머리 ​  |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6)
-| la⁴⁴tɕho¹³ 배, 복부 ​  | la⁴⁴dli⁵³ 혀   | la⁴⁴tɬaŋ⁴⁴ 매   ​| ​   |     +
-| la⁴⁴lje¹³ 원숭이 ​  | la⁴⁴ʑi²² 빗   | la⁴⁴maŋ¹³ 등자루 ​  | la⁴⁴pja⁴⁴ 집, 건물 ​  | +
-| la⁴⁴kŋ³¹³ 문   | la⁴⁴phiŋ³¹³ 병(  | la⁴⁴thei¹³ 대패 ​  ​| ​   |+
  
 +| la⁴⁴-ɡwaŋ³¹³ 하늘 ​  | la⁴⁴-ni¹³ 해   | la⁴⁴-la³⁵ 달   | la⁴⁴-fo⁴⁴ 머리 ​  |
 +| la⁴⁴-tɕho¹³ 배, 복부 ​  | la⁴⁴-dli⁵³ 혀   | la⁴⁴-tɬaŋ⁴⁴ 매   ​| ​   |    ​
 +| la⁴⁴-lje¹³ 원숭이 ​  | la⁴⁴-ʑi²² 빗   | la⁴⁴-maŋ¹³ 등자루 ​  | la⁴⁴-pja⁴⁴ 집, 건물 ​  |
 +| la⁴⁴-kŋ³¹³ 문   | la⁴⁴-phiŋ³¹³ 병(瓶) ​  | la⁴⁴-thei¹³ 대패 ​  ​| ​   |
  
 +}}}
  
 - la⁴⁴-는 바나어에서 특유의 접두사이고,​ 다른 묘요어(苗瑤語)에서는 설측음을 성모로 취하는 접두사가 발견되지 못한다. la⁴⁴-는 단어 형성에 참여할 수 있고, 한어의 어근과 함께 혼합어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 la⁴⁴-는 바나어에서 특유의 접두사이고,​ 다른 묘요어(苗瑤語)에서는 설측음을 성모로 취하는 접두사가 발견되지 못한다. la⁴⁴-는 단어 형성에 참여할 수 있고, 한어의 어근과 함께 혼합어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 la⁴⁴pjhau³¹³ 물바가지 ​  | la⁴⁴tɕhi⁵⁵ 자   | la⁴⁴so⁴⁴ 자물쇠 ​  | la⁴⁴tjha¹³ 사다리 ​  |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6)
-| la⁴⁴tsin⁴⁴ 가위 ​  | la⁴⁴tɕi⁵⁵ 사마귀 ​ |    |    |+
  
 +| la⁴⁴-pjhau³¹³ 물바가지 ​  | la⁴⁴-tɕhi⁵⁵ 자   | la-⁴⁴so⁴⁴ 자물쇠 ​  | la⁴⁴-tjha¹³ 사다리 ​  |
 +| la⁴⁴-tsin⁴⁴ 가위 ​  | la⁴⁴-tɕi⁵⁵ 사마귀 ​ |    |    |
  
 +}}}
  
 - (2) 접두사 ʔa⁴⁴-는 친속 호칭 명사에서만 나타나고,​ 이점은 많은 다른 방언과 통하다. 예컨대, - (2) 접두사 ʔa⁴⁴-는 친속 호칭 명사에서만 나타나고,​ 이점은 많은 다른 방언과 통하다. 예컨대,
  
-| ʔa⁴⁴kŋ¹³ 할아버지 ​  | ʔa⁴⁴pa³¹³ 할머니 ​  | ʔa⁴⁴ʑa¹³ 아버지 ​  | ʔa⁴⁴ȵa³¹³ 어머니 ​  ​| ​   |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6)
-| ʔa⁴⁴ni³¹ 외삼촌 ​  | ʔa⁴⁴muŋ²² 외숙모 ​  | ʔa⁴⁴tje³¹ 형, 오빠 ​  | ʔa³¹ʔa⁴⁴ 누나, 언니 ​  | ʔa⁴⁴mai³⁵ 여동생 ​  |+
  
 +| ʔa⁴⁴-kŋ¹³ 할아버지 ​  | ʔa⁴⁴-pa³¹³ 할머니 ​  | ʔa⁴⁴-ʑa¹³ 아버지 ​  | ʔa⁴⁴-ȵa³¹³ 어머니 ​  ​| ​   |
 +| ʔa⁴⁴-ni³¹ 외삼촌 ​  | ʔa⁴⁴-muŋ²² 외숙모 ​  | ʔa⁴⁴-tje³¹ 형, 오빠 ​  | ʔa³¹-ʔa⁴⁴ 누나, 언니 ​  | ʔa⁴⁴mai³⁵ 여동생 ​  |
  
 +}}}
  
 - 주의해야 할 점은 ‘누나, 언니’라는 단어에서 접두사 ʔa³¹의 성조값(調値)은 44이 아니고, 31이라는 것이다. 이는 어근이 ʔa⁴⁴이므로 접사도 ʔa⁴⁴이면 겹음사(重音詞,​ 중첩어)가 된 셈이다. 겹음사는 ‘작고 귀여운’이라는 부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누나, 언니’에게 이런 식으로 말하면 안 되므로 성조를 바꿀 수 밖에 없게 되었다. - 주의해야 할 점은 ‘누나, 언니’라는 단어에서 접두사 ʔa³¹의 성조값(調値)은 44이 아니고, 31이라는 것이다. 이는 어근이 ʔa⁴⁴이므로 접사도 ʔa⁴⁴이면 겹음사(重音詞,​ 중첩어)가 된 셈이다. 겹음사는 ‘작고 귀여운’이라는 부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누나, 언니’에게 이런 식으로 말하면 안 되므로 성조를 바꿀 수 밖에 없게 되었다.
- 
- 
  
 - (3) 묘요어(苗瑤語)는 보통 접미사가 없다. 그러나 바나어는 접미사 -tsai⁴⁴가 있고, 한어의 ‘자식, 새끼(崽)’를 차용한 것 같다. 예컨대, - (3) 묘요어(苗瑤語)는 보통 접미사가 없다. 그러나 바나어는 접미사 -tsai⁴⁴가 있고, 한어의 ‘자식, 새끼(崽)’를 차용한 것 같다. 예컨대,
  
-| puŋ³¹³tsai⁴⁴ 막, 헛간 ​  | luŋ¹³tsai⁴⁴ 청각장애인 ​  | tin¹³tsai⁴⁴ 미치광이 ​  | ʑon³¹³tsai⁴⁴ 모습 ​  | ʑi³¹tsai⁴⁴ 의자 ​  |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6)
-| ton¹³tsai⁴⁴ 쪽지 ​  | pha⁵⁵tsai⁴⁴ 수건 ​  | tin⁵³tsai⁴⁴ 서당 ​  | tɕhon⁴⁴tsai⁴⁴ 창호 ​  ​| ​   |+
  
 +| puŋ³¹³-tsai⁴⁴ 막, 헛간 ​  | luŋ¹³-tsai⁴⁴ 청각장애인 ​  | tin¹³-tsai⁴⁴ 미치광이 ​  | ʑon³¹³-tsai⁴⁴ 모습 ​  | ʑi³¹-tsai⁴⁴ 의자 ​  |
 +| ton¹³-tsai⁴⁴ 쪽지 ​  | pha⁵⁵-tsai⁴⁴ 수건 ​  | tin⁵³-tsai⁴⁴ 서당 ​  | tɕhon⁴⁴-tsai⁴⁴ 창호 ​  ​| ​   |
  
 +}}}
  
 - 접미사 –tsai⁴⁴가 단어 형성에 참여할 수 있고, 고유어 어근과 함께 혼합어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 접미사 –tsai⁴⁴가 단어 형성에 참여할 수 있고, 고유어 어근과 함께 혼합어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 tsai⁴⁴ 절름발이 ​  | tsai⁴⁴ 대머리 ​  | tsai⁴⁴ 바보 ​  |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7)
-| tsai⁴⁴ 철사(鐵砂  | tsai⁴⁴ 부싯돌 ​  ​| ​   |+
  
 +| la⁵⁵-tsai⁴⁴ 절름발이 ​  | tɬa³¹-tsai⁴⁴ 대머리 ​  | ɡwa-tsai⁴⁴ 바보 ​  |
 +| ɕa¹³-tsai⁴⁴ 철사(鐵砂) ​  | pei³⁵ȵen³¹³-tsai⁴⁴ 부싯돌 ​  ​| ​   |
  
 +}}}
  
 - 그러므로 바나어의 또 다른 특징은 고유어 접두사와 한어 어근, 또는 고유어 어근과 한어 접미사가 형성한 혼납파생어가 많다는 것이다. - 그러므로 바나어의 또 다른 특징은 고유어 접두사와 한어 어근, 또는 고유어 어근과 한어 접미사가 형성한 혼납파생어가 많다는 것이다.
줄 67: 줄 77:
  
 - 바나어에서는 일부의 묘요어(苗瑤語) 고유어가 존재하는 동시에 한어에서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를 차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 바나어에서는 일부의 묘요어(苗瑤語) 고유어가 존재하는 동시에 한어에서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를 차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7)
  
 ^ 고유어 ​  ^ 차용어 ​  ^ 뜻   ^ 고유어 ​  ^ 차용어 ​  ^ 뜻   ^ ^ 고유어 ​  ^ 차용어 ​  ^ 뜻   ^ 고유어 ​  ^ 차용어 ​  ^ 뜻   ^
줄 78: 줄 90:
 | tɕo⁵³ ​  | ɕi³¹ ​  | 열, 십   ​| ​   |    |    | | tɕo⁵³ ​  | ɕi³¹ ​  | 열, 십   ​| ​   |    |    |
  
 +}}}
  
 - 고유어와 한자어가 동시에 사용된 이후, 어떤 것들은 역할 분담을 하게 되었다. 예컨대, 고유어 수사는 한 자릿 수가 양사(量詞)와 결합할 때에만 사용되고,​ 기타의 경우는 모두 한어 차용 수사가 사용된다. - 고유어와 한자어가 동시에 사용된 이후, 어떤 것들은 역할 분담을 하게 되었다. 예컨대, 고유어 수사는 한 자릿 수가 양사(量詞)와 결합할 때에만 사용되고,​ 기타의 경우는 모두 한어 차용 수사가 사용된다.
줄 85: 줄 97:
  
 - 많은 기본어휘가 다른 묘요어(苗瑤語)에는 어원이 같지만 바나어와는 어원이 다르다. 한어에서 차용한 것도 아니고 그 어원이 조사 검토를 요한다. 예컨대, - 많은 기본어휘가 다른 묘요어(苗瑤語)에는 어원이 같지만 바나어와는 어원이 다르다. 한어에서 차용한 것도 아니고 그 어원이 조사 검토를 요한다. 예컨대,
 +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7)
  
 ^ 묘어(苗語,​ 양하오 養蒿) ​  ^ 부누어(布努語,​ 치바이농 七百弄) ​  ^ 사어(畲語,​ 샤수이췬 下水村) ​  ^ 바나어 ​  ^ 뜻   ^ ^ 묘어(苗語,​ 양하오 養蒿) ​  ^ 부누어(布努語,​ 치바이농 七百弄) ​  ^ 사어(畲語,​ 샤수이췬 下水村) ​  ^ 바나어 ​  ^ 뜻   ^
줄 102: 줄 116:
 |    | ŋkho   | khe³⁵ ​  | ɡai¹³ ​  | 목마르다 ​  | |    | ŋkho   | khe³⁵ ​  | ɡai¹³ ​  | 목마르다 ​  |
  
 +}}}
  
 - 이들은 모두 상용어이고,​ 이들의 존재가 다른 방언과의 차이를 더욱 확대시켰다. - 이들은 모두 상용어이고,​ 이들의 존재가 다른 방언과의 차이를 더욱 확대시켰다.
doc/pana/8_lexicology/81_voca/81_voca.160336492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0/22 20:08 저자 마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