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pumi:2_wordclass:22_noun:22_noun [2016/12/27 17:10] 최소연 [(3) 문법 기능] |
doc:pumi:2_wordclass:22_noun:22_noun [2020/12/28 18:40] (현재) 최소연 [문법 기능] |
||
|---|---|---|---|
| 줄 1: | 줄 1: | ||
| - | # 22_noun : 명사 (noun) : 80% : | + | # 22_noun : 명사 (noun) |
| - | - 친족어 명사가 어근 앞에 [a55]가 추가됨으로써 존칭이나 인용일 때의 호칭을 뜻한다. | ||
| - | [bA55bA55] 아빠(일반 호칭) | ||
| - | [a55bA55] 아버지(존칭 혹은 인용의 경우) | ||
| - | - 명사 뒤에 [li55], [tsy55]가 추가되면 ‘작다’ 혹은 ‘비교적 작다’의 뜻을 의미한다. [li55]는 무정명사 뒤에만 쓰이고 [tsy55]는 유정명사 뒤에만 쓰인다. | + | ### 명사의 수 |
| - | [k_huA13] 그릇 | + | - 명사에는 단수, 쌍수, 복수의 문법 범주가 있다. |
| - | [k_huA13li55] 작은 그릇 | + | - 단수는 명사 원형으로 표시되고, 쌍수는 명사 뒤에 [za~55]를 붙임으로 표시되고 복수는 명사 뒤에 [z`@55]를 붙임으로 표시된다. |
| - | + | - [za~55]와 [z`@55]는 모두 조사이고 이들과 어근 사이에 더 이상 다른 성분을 넣을 수 없다. | |
| - | + | ||
| - | [phZA13] 돼지 | + | |
| - | [phZA13tsy55] 돼지 새끼 | + | |
| - | + | ||
| - | + | ||
| - | - 주: [tsy55]는 원래 ‘아들’의 뜻인데 ‘작다’의 뜻으로 이용될 때 원래의 뜻이 약화된다. | + | |
| - | + | ||
| - | ## (1)명사의 수 | + | |
| - | + | ||
| - | - 명사에는 단수, 쌍수, 복수의 문법 범주가 있다. 단수는 명사 원형으로 표시되고, 쌍수는 명사 뒤에 [za~55]를 붙임으로 표시되고 복수는 명사 뒤에 [z`@55]를 붙임으로 표시된다. | + | |
| - | - [za~55]와 [z`@55]는 모두 조사이고 이들이 어근과의 사이에 더 이상 다른 성분을 넣을 수 없다. | + | |
| 줄 29: | 줄 15: | ||
| - | - 수를 나타내는 조사의 기능으로 볼 때 [za~55]는 한어의 ‘둘(俩)’에 해당되고 [z`@55]는 한어의 ‘们(들)’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들이 ‘둘(俩)’, ‘们(들)’ 보다 훨씬 더 넓은 쓰임을 갖고 있다. | + | - 수를 나타내는 조사의 기능으로 볼 때 [za~55]는 한어의 ‘둘(俩)’에 해당되고 [z`@55]는 한어의 ‘们(들)’에 해당된다. |
| + | - 그러나 이들이 ‘둘(俩)’, ‘们(들)’ 보다 훨씬 더 넓은 쓰임을 갖고 있다. | ||
| - | ## (2) 명사의 중첩 | + | ### 명사의 중첩 |
| - 명사는 중첩할 수 있지만 중간에 [m@55]를 삽입해야 한다. 중첩된 후에 ‘...마다’의 문법 의미를 타나낸다. | - 명사는 중첩할 수 있지만 중간에 [m@55]를 삽입해야 한다. 중첩된 후에 ‘...마다’의 문법 의미를 타나낸다. | ||
| - | {{{eg>pumi (lushaozun1983:30) | + | {{{eg>pumi1242 (lushaozun1983:30) |
| - | [mi55 m@55 mi55 gM13 z`@55z`e55 dzu13 gM13 sgiA13z`Mu55]. | + | [mi55 m@55 mi55 gM13 z`@55z`e55 dzu13 gM13 sgiA13-z`Mu55]. |
| - | person each person PTCL work do PTCL like-SUF | + | person each person PTCL work do PTCL like-PRS |
| 사람마다 모두 노동을 좋아한다. | 사람마다 모두 노동을 좋아한다. | ||
| }}} | }}} | ||
| - | ## (3) 문법 기능 | + | ### 문법 기능 |
| - 명사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로 쓰일 수 있으며,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는 부사어로 쓰일 수 있다. | - 명사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로 쓰일 수 있으며,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는 부사어로 쓰일 수 있다. | ||
| 줄 47: | 줄 34: | ||
| - 명사가 문자에서 주어일 때 뒤에 구조 조사를 추가해야 하는데 단수는 [gue55iE13]를 추가하고 복수는 [z`ue55iE13]를 추가한다. | - 명사가 문자에서 주어일 때 뒤에 구조 조사를 추가해야 하는데 단수는 [gue55iE13]를 추가하고 복수는 [z`ue55iE13]를 추가한다. | ||
| - | {{{eg>pumi (lushaozun1983:31) | + | {{{eg>pumi1242 (lushaozun1983:31) |
| - | [lAu13s@55 gue55iE13 dZ@13dZ@13 dz`y13z`M55]. | + | [lAu13s@55 gue55iE13 dZ@13dZ@13 dz`y13-z`M55]. |
| - | teacher PTCL word write-SUF | + | teacher PTCL word write-PRS |
| 선생님이 글을 쓰고 있다. | 선생님이 글을 쓰고 있다. | ||
| }}} | }}} | ||
| - | + | ||
| - 명사가 문장에서 목적어일 때 뒤에 구조 조사를 추가해야 하는데 단수는 [ts\i55]를 추가하고 복수는 [bie55]를 추가한다. | - 명사가 문장에서 목적어일 때 뒤에 구조 조사를 추가해야 하는데 단수는 [ts\i55]를 추가하고 복수는 [bie55]를 추가한다. | ||
| + | {{{eg>pumi1242 (lushaozun1983:31) | ||
| + | [lAu13s@55 gue55iE13 ka~13pu13 z`@55 bie55 dZ@13dZ@13 syE~55-z`Mu55]. | ||
| + | teacher PTCL executive PL PTCL word teach-PRS | ||
| + | 선생님이 간부들에게 글을 가르치고 있다. | ||
| + | }}} | ||
| + | - 명사가 문장에서 관형어일 때 뒤에 구조 조사를 추가해야 하는데 단수는 [gA13]를 추가하고 복수는 [z`A13]를 추가한다 | ||
| - | - 명사가 문장에서 관형어일 때 뒤에 구조 조사를 추가해야 하는데 단수는 [gA13]를 추가하고 복수는 [z`A13]를 추가한다. | + | {{{eg>pumi1242 (lushaozun1983:31) |
| - | + | [s`E12tSA~55 gA13 tS@~55 gA13 d@13]. | |
| + | president PTCL house PTCL is | ||
| + | 사장의 집이다. | ||
| + | }}} | ||
| -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가 부사어일 때 뒤에 구조 조사를 추가하지 않는다. 이런 명사가 문장 안에 자리가 비교적 유연하고 주어 앞이나 뒤에 있을 수 있는데 술어 앞에 있어야 한다. | -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가 부사어일 때 뒤에 구조 조사를 추가하지 않는다. 이런 명사가 문장 안에 자리가 비교적 유연하고 주어 앞이나 뒤에 있을 수 있는데 술어 앞에 있어야 한다. | ||
| + | |||
| + | {{{eg>pumi1242 (lushaozun1983:31) | ||
| + | [E55 siA~13 k_hE55xue55 S@55-Se55]. | ||
| + | 1SG tomorrow have.a.meeting go-FUT | ||
| + | 나 내일 회의하러 간다. | ||
| + | }}} | ||
| + | |||
| + | |||
| + | ### 어휘 | ||
| + | |||
| + | ##### 존칭 | ||
| + | ###### 친족어 명사가 어근 앞에 [a55]가 추가됨으로써 존칭이나 인용일 때의 호칭을 뜻한다. | ||
| + | |||
| + | - [bA55bA55] 아빠(일반 호칭) : [a55bA55] 아버지(존칭 혹은 인용의 경우) | ||
| + | |||
| + | |||
| + | ##### 지소사 | ||
| + | ###### 지소사 [li55] | ||
| + | |||
| + | 무정 명사 뒤에 추가되어 ‘작다’ 혹은 ‘비교적 작다’의 뜻을 의미한다. | ||
| + | |||
| + | - [k_huA13] 그릇 : [k_huA13li55] 작은 그릇 | ||
| + | |||
| + | ###### 지소사 [tsy55] | ||
| + | |||
| + | 유정 명사 뒤에 추가되면 ‘작다’ 혹은 ‘비교적 작다’의 뜻을 의미한다. | ||
| + | [tsy55]는 원래 ‘아들’의 뜻인데 ‘작다’의 뜻으로 이용될 때 원래의 뜻이 약화된다. | ||
| + | |||
| + | - [phZA13] 돼지 : [phZA13tsy55] 새끼 돼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