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pumi:2_wordclass:31_pro:pro_q [2016/12/10 17:45] 127.0.0.1 바깥 편집 |
doc:pumi:2_wordclass:31_pro:pro_q [2020/12/28 20:05] (현재) 최소연 |
||
|---|---|---|---|
| 줄 1: | 줄 1: | ||
| - | ## pro_q : 의문사 (interrogative) : 0% : | + | ## pro_q : 의문사 (interrogative) |
| + | - 푸미어의 의문대명사는 지시하는 대상을 따라 사람, 사물, 수, 시간, 장소 등을 나타내는 의문대명사로 나뉠 수 있다. | ||
| + | |||
| + | #### ① 사람을 지시하는 의문대명사 | ||
| + | |||
| + | - [E13gM13] ‘누구’: 문장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변화가 있다. | ||
| + | | ||
| + | [E13gM13] ‘누구’는 보통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의 역할을 한다. | ||
| + | [E13gA13] ‘누구의’가 관형어의 역할을 한다. | ||
| + | [E13gue55iE13] ‘누가’가 동작의 행위주인 것을 강조한다. | ||
| + | |||
| + | {{{eg>pumi1242 (lushaozun1983:35) | ||
| + | [t@55gM55 E13gM13 d@13]? | ||
| + | 3SG Q is | ||
| + | 그가 누구인가? | ||
| + | }}} | ||
| + | |||
| + | #### ② 사물을 지시하는 의문대명사 | ||
| + | |||
| + | - 사물을 나타내는 의문대명사로는 [mi~55] ‘무엇’이 있다. | ||
| + | |||
| + | {{{eg>pumi1242 (lushaozun1983:35) | ||
| + | [di13bie55 mi~55 gM13 sta55]? | ||
| + | there Q PTCL is | ||
| + | 거기에 무엇이 있는가? | ||
| + | }}} | ||
| + | |||
| + | #### ③ 수를 나타내는 의문대명사 | ||
| + | |||
| + | - 수를 나타내는 의문대명사로는 [tS_h@55ts_hE55] ‘얼마’가 있는데 이는 대명사와 수사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 ||
| + | - [tS_h@55ts_hE55]가 목적어, 관형어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분류사와 결합할 수도 있는데 이때 제2음절의 [ts_hE55]를 삭제한다. | ||
| + | |||
| + | {{{eg>pumi1242 (lushaozun1983:36) | ||
| + | [nE13 tS_h55ts_hE55 bo~55]? | ||
| + | 2SG Q have | ||
| + | 너 얼마 있어? | ||
| + | }}} | ||
| + | |||
| + | #### ④ 시간을 나타내는 의문대명사 | ||
| + | |||
| + | - 시간을 나타내는 의문대명사 [mi~55t613dZ@13] ‘언제’가 사물을 나타내는 의문대명사 [mi~55]‘무엇’과 시간 명사 [te13dZ@13] ‘때’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 ||
| + | |||
| + | {{{eg>pumi1242 (lushaozun1983:36) | ||
| + | [nE13mi~13 t613dZ@13 x@13-i55-si55]? | ||
| + | 2SG Q inwards-come-PST | ||
| + | 너 언제 와? | ||
| + | }}} | ||
| + | |||
| + | #### ⑤ 장소를 나타내는 의문대명사 | ||
| + | |||
| + | - 장소를 나타내는 의문대명사로는 [E13ts\i55] ‘어디’가 있고 문장에서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일 수 있다. | ||
| + | |||
| + | {{{eg>pumi1242 (lushaozun1983:36) | ||
| + | [nE13 E13ts\i55 mi55 gM13 diMu13]? | ||
| + | 2SG Q people PTCL be | ||
| + | 너는 어디 사람이야?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