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qiang:2_wordclass:27_num:27_num [2018/06/25 23:38] 박성하 |
doc:qiang: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22 16:30] (현재) 박성하 |
||
|---|---|---|---|
| 줄 1: | 줄 1: |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100%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 창어의 수사는 크게 기수사와 서수사와 분류된다. | 창어의 수사는 크게 기수사와 서수사와 분류된다. | ||
| 줄 7: | 줄 7: | ||
| #### 1) 한 자릿수 | #### 1) 한 자릿수 | ||
| - | - [a31] 1 | + | - [a31] 1 |
| - | - [J_+_0i55] 2 | + | - [J_+_0i55] 2 |
| - | - [ts_hi55] 3 | + | - [ts_hi55] 3 |
| - | - [dZɿ33] 4 | + | - [dZɿ33] 4 |
| - | - [RuA33] 5 | + | - [RuA33] 5 |
| - | - [Xts`u33] 6 | + | - [Xts`u33] 6 |
| - | - [s\iN33] 7 | + | - [s\iN33] 7 |
| - | - [ts`_he33] 8 | + | - [ts`_he33] 8 |
| - [Xgu@33] 9 | - [Xgu@33] 9 | ||
| 줄 76: | 줄 76: | ||
| 음력의 날짜를 계산할 때만 창어 고유의 방식으로 나타낸다. 즉, 수사의 뒤에 [ts\y33]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ts\y33]는 한어의 ‘초하루(初)’의 ‘초(初)’에 해당하며 어순은 반대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음력의 날짜를 계산할 때만 창어 고유의 방식으로 나타낸다. 즉, 수사의 뒤에 [ts\y33]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ts\y33]는 한어의 ‘초하루(初)’의 ‘초(初)’에 해당하며 어순은 반대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
| - | [ts\y31ts\y33] 음력 초하루, [J_+_0i55ts\y33] 음력 초 이튿날. | + | - [ts\y31ts\y33] 음력 초하루, |
| + | - [J_+_0i55ts\y33] 음력 초 이튿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