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qiang:2_wordclass:28_clf:28_clf [2018/08/18 11:52] 박성하 |
doc:qiang:2_wordclass:28_clf:28_clf [2021/08/22 16:30] (현재) 박성하 |
||
|---|---|---|---|
| 줄 1: | 줄 1: | ||
| - |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00% : | + |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 창어의 분류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된다.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창어의 분류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된다.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
| 줄 54: | 줄 54: | ||
| 창어 고유의 것 중에서 대부분의 명량사는 [Xgy33] 个(무생물의 사물의 양을 나타냄)와 [zia33] 条(사람이외의 모든 동물의 양을 나타냄)로 대체할 수 있다. | 창어 고유의 것 중에서 대부분의 명량사는 [Xgy33] 个(무생물의 사물의 양을 나타냄)와 [zia33] 条(사람이외의 모든 동물의 양을 나타냄)로 대체할 수 있다. | ||
| - | - 한어에서는 명량사 중첩 후 ‘모든(每x)’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창어에서는 중첩의 방식이 아니라, 수량사의 뒤에 [m@55q@33] 또는 [NA55NA31]를 부가하여 ‘모든’의 의미를 나타낸다. [m@55q@33]는 일반적으로 시간을 나타내는 수량사의 뒤에 부가하며, [NA55NA31]는 반대이다. | + | - 한어에서는 명량사 중첩 후 ‘모든(每x)’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창어에서는 중첩의 방식이 아니라, 수량사의 뒤에 [m@55q@33] 또는 [NA55NA31]를 부가하여 ‘모든’의 의미를 나타낸다. [m@55q@33]는 일반적으로 시간을 나타내는 수량사의 뒤에 부가하며, [NA55NA31]는 반대이다. |
| ### (2) 동량사 | ### (2) 동량사 | ||
| 줄 74: | 줄 74: | ||
| {{{eg>qian1264 (sunhongkai2006:355) | {{{eg>qian1264 (sunhongkai2006:355) | ||
| - | [no55 tue13 s`AN13 zA241 ti33 a31t@33 @`55-ba31] | + | [no55 tue13 s`AN13 zA241 ti33 a31t@33 @`55ba31] |
| - | 2SG team foodstuff PTCL a little PREF-back | + | 2SG team foodstuff PTCL a little back |
| 당신은 한 무더기의 양식을 좀 지고 내려가세요. | 당신은 한 무더기의 양식을 좀 지고 내려가세요. | ||
| }}} | }}} | ||
| 줄 82: | 줄 82: | ||
| {{{eg>qian1264 (sunhongkai2006:355) | {{{eg>qian1264 (sunhongkai2006:355) | ||
| - | [t_ha55l@55 ts_hi55 p@33 ko33 pA31pA31 t@31-Sɿ51-i31] | + | [t_ha55l@55 ts_hi55 p@33 ko33 pA31pA31 t@31Sɿ51i31] |
| - | 3SG three CL PTCL father PREF-die-SUF | + | 3SG three CL PTCL father die |
| 그는 세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 그는 세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