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salar:4_ss:48_tame:tame_tense [2018/04/16 13:30] 최소연 |
doc:salar:4_ss:48_tame:tame_tense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3: | 줄 3: | ||
| - 살라르어의 시제는 주로 동사의 활용에서 나타난다. | - 살라르어의 시제는 주로 동사의 활용에서 나타난다. | ||
| - 살라르어 동사의 시제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등이 있다. | - 살라르어 동사의 시제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등이 있다. | ||
| - | - 과거시제와 미래시제에는 확정법과 불확정법이라는 범주가 있다. | + | - 과거시제에는 직접 증거성과 간접 증거성이 있다. |
| + | - 미래시제에는 확정법과 불확정법이라는 범주가 있다. | ||
| - 확정법은 화자가 자신의 경험이나 본 것, 혹은 주관적으로 결정한 행위나 상태를 말할 때 쓰인다. | - 확정법은 화자가 자신의 경험이나 본 것, 혹은 주관적으로 결정한 행위나 상태를 말할 때 쓰인다. | ||
| - 불확정법은 화자가 남의 경험이나 주관적으로 확정할 수 없는 행위나 상태를 말할 때에 쓰인다. | - 불확정법은 화자가 남의 경험이나 주관적으로 확정할 수 없는 행위나 상태를 말할 때에 쓰인다. | ||
| 줄 12: | 줄 13: | ||
| - 동작이 이루어진 시간을 나타낸다. | - 동작이 이루어진 시간을 나타낸다. | ||
| - | ##### 과거시제의 확정법 ‘-dʒi’ | + | ##### 과거시제의 직접 증거성 |
| - | - 동사 어간 뒤에 ‘-dʒi’가 결합되어 과거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 - 동사 어간 뒤에 ‘-dʒi’가 결합되어 과거시제의 직접 증거성을 나타낸다. |
| {{{eg>jiez1238 (linlianyun1985:63) | {{{eg>jiez1238 (linlianyun1985:63) | ||
| gedʒe jɑʁmur jɑʁ-dʒi. | gedʒe jɑʁmur jɑʁ-dʒi. | ||
| - | yesterday rain fall-PST | + | yesterday rain fall-PST.DIREVID |
| 어제 비가 왔다. | 어제 비가 왔다. | ||
| }}} | }}} | ||
| - | ##### 과거시제의 불확정법 ‘-miʃ’ | + | ##### 과거시제의 간접 증거성 |
| - | - 동사 어간 뒤에 ‘-miʃ’가 결합되어 과거지세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 | - 동사 어간 뒤에 ‘-miʃ’가 결합되어 과거지세의 간접 증거성을 나타낸다. |
| {{{eg>jiez1238 (linlianyun1985:64) | {{{eg>jiez1238 (linlianyun1985:64) | ||
| gedʒe jɑʁmur jɑʁ-miʃ. | gedʒe jɑʁmur jɑʁ-miʃ. | ||
| - | yesterday rain fall-PST | + | yesterday rain fall-PST.INDIREVID |
| 어제 비가 왔다.(어떤 흔적에 따라 추측한 것이나 들은 것.) | 어제 비가 왔다.(어떤 흔적에 따라 추측한 것이나 들은 것.) | ||
| }}} | }}} | ||
| 줄 52: | 줄 53: | ||
| {{{eg>jiez1238 (linlianyun1985:65) | {{{eg>jiez1238 (linlianyun1985:65) | ||
| gun dunbɑngə-dən tʃiχ gel-r. | gun dunbɑngə-dən tʃiχ gel-r. | ||
| - | sun east-?? out come-PRS | + | sun east-ABL out come-PRS |
| 태양이 동쪽에서 나온다. | 태양이 동쪽에서 나온다. | ||
| }}} | }}} | ||
| 줄 65: | 줄 66: | ||
| - 동작이 진행될 시간을 나타낸다. | - 동작이 진행될 시간을 나타낸다. | ||
| - | ##### 미래시제의 확정법 ‘-ʁur/-ɣur’ | + | ##### 미래시제의 확정법 |
|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ur/-ɣu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ur/-ɣu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 줄 71: | 줄 72: | ||
| {{{eg>jiez1238 (linlianyun1985:65) | {{{eg>jiez1238 (linlianyun1985:65) | ||
| sen ɢɑlɑ vɑ-ʁur i? | sen ɢɑlɑ vɑ-ʁur i? | ||
| - | 2SG where go-FUT PTCL? | + | 2SG where go-FUT Q? |
| 너 어디로 갈 거야? | 너 어디로 갈 거야? | ||
| }}} | }}} | ||
| - | ##### 미래시제의 확정법 ‘-ɢur/-gur’ | + | ##### 미래시제의 확정법 |
| - 무성자음이나 비음n, ŋ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ur/-gu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무성자음이나 비음n, ŋ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ur/-gu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 줄 85: | 줄 86: | ||
| }}} | }}} | ||
| - | ##### 미래시제의 불확정법 ‘-ʁɑ(r)/-ɣɑ(r)’ | + | ##### 미래시제의 불확정법 |
|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ɑ/-ɣɑ’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ɑ/-ɣɑ’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
| 줄 95: | 줄 96: | ||
| }}}} | }}}} | ||
| - | ##### 미래시제의 불확정법 '-ɢɑ(r)/-gɑ(r)' | + | ##### 미래시제의 불확정법 |
| - 무성자음이나 비음n, ŋ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ɑ(r)/-gɑ(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 무성자음이나 비음n, ŋ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ɑ(r)/-gɑ(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