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salar:4_ss:48_tame:tame_tense [2018/04/24 20:24] 최소연 [미래시제의 확정법 ‘-ʁur/-ɣur’] |
doc:salar:4_ss:48_tame:tame_tense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3: | 줄 13: | ||
| - 동작이 이루어진 시간을 나타낸다. | - 동작이 이루어진 시간을 나타낸다. | ||
| - | ##### 과거시제의 직접 증거성 ‘-dʒi’ | + | ##### 과거시제의 직접 증거성 |
| - 동사 어간 뒤에 ‘-dʒi’가 결합되어 과거시제의 직접 증거성을 나타낸다. | - 동사 어간 뒤에 ‘-dʒi’가 결합되어 과거시제의 직접 증거성을 나타낸다. | ||
| 줄 23: | 줄 23: | ||
| }}} | }}} | ||
| - | ##### 과거시제의 간접 증거성 ‘-miʃ’ | + | ##### 과거시제의 간접 증거성 |
| - 동사 어간 뒤에 ‘-miʃ’가 결합되어 과거지세의 간접 증거성을 나타낸다. | - 동사 어간 뒤에 ‘-miʃ’가 결합되어 과거지세의 간접 증거성을 나타낸다. | ||
| 줄 66: | 줄 66: | ||
| - 동작이 진행될 시간을 나타낸다. | - 동작이 진행될 시간을 나타낸다. | ||
| - | ##### 미래시제의 확정법 ‘-ʁur/-ɣur’ | + | ##### 미래시제의 확정법 |
|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ur/-ɣu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ur/-ɣu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 줄 76: | 줄 76: | ||
| }}} | }}} | ||
| - | ##### 미래시제의 확정법 ‘-ɢur/-gur’ | + | ##### 미래시제의 확정법 |
| - 무성자음이나 비음n, ŋ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ur/-gu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무성자음이나 비음n, ŋ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ur/-gu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확정법을 나타낸다. | ||
| 줄 86: | 줄 86: | ||
| }}} | }}} | ||
| - | ##### 미래시제의 불확정법 ‘-ʁɑ(r)/-ɣɑ(r)’ | + | ##### 미래시제의 불확정법 |
|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ɑ/-ɣɑ’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ɑ/-ɣɑ’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
| 줄 96: | 줄 96: | ||
| }}}} | }}}} | ||
| - | ##### 미래시제의 불확정법 '-ɢɑ(r)/-gɑ(r)' | + | ##### 미래시제의 불확정법 |
| - 무성자음이나 비음n, ŋ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ɑ(r)/-gɑ(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 무성자음이나 비음n, ŋ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ɑ(r)/-gɑ(r)'가 결합되어 미래시제의 불확정법을 나타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