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sangkong:2_wordclass:28_clf:28_clf [2020/10/14 14:33] 127.0.0.1 바깥 편집 |
doc:sangkong:2_wordclass:28_clf:28_clf [2020/11/27 20:23] (현재) 서취아 [(2) 분류사의 유래] |
||
|---|---|---|---|
| 줄 1: | 줄 1: | ||
|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
| + | |||
| + | |||
| + | ###(1) 분류사의 종류 | ||
| + | |||
| + | #### 명사에 붙는 분류사 | ||
| + | |||
| + | - 사람이나 짐승의 수량을 셀 때 사용하는 단위로 (ʑ)aŋ⁵⁵가 있고, 일반 물품을 세는 단위로 | ||
| + | lem³³이 있다. 집단을 세는 단위로 ku³³/tsem³³ '쌍', mu⁵⁵ '무리' 등이 있다. | ||
| + | |||
| + | {{{eg>sang1320 (li2007:402) | ||
| + | ta³¹ʑiŋ³³ kho̠³¹ (ʑ)aŋ⁵⁵ | ||
| + | guest six CL | ||
| + | 손님 여섯 명 | ||
| + | }}} | ||
| + | |||
| + | {{{eg>sang1320 (li2007:402) | ||
| + | nɡa⁵⁵mba³³ ȵi³¹ lem³¹ | ||
| + | dustpan two CL | ||
| + | 삼태기 두 개 | ||
| + | }}} | ||
| + | |||
| + | ##### 불가산 명사를 세는 단위 | ||
| + | |||
| + | - 불가산 명사를 세는 단위는 다른 명사나 동사에서 온 것이다. | ||
| + | |||
| + | {{{eg>sang1320 (li2003:128) | ||
| + | tsa³¹tshoŋ⁵⁵ ti³¹ tɕin³³ | ||
| + | meat one CL | ||
| + | 고기 한 근 | ||
| + | }}} | ||
| + | |||
| + | {{{eg>sang1320 (li2003:128) | ||
| + | mi⁵⁵thsa³¹ ti³¹ pa̠³¹ | ||
| + | soil one CL | ||
| + | 흙 한 짐 | ||
| + | }}} | ||
| + | |||
| + | #### 동사에 붙는 분류사 | ||
| + | |||
| + | - 동사에 붙는 분류사로 la̠³¹ '번', tha⁵⁵ '번/차례', mja⁵⁵ '끼' 등이 있다. | ||
| + | |||
| + | {{{eg>sang1320 (li2003:148) | ||
| + | ti³¹ la̠³¹ hu³³ | ||
| + | one CL look | ||
| + | 한 번 보다 | ||
| + | }}} | ||
| + | |||
| + | {{{eg>sang1320 (li2003:148) | ||
| + | sem³¹ mja⁵⁵ tsa³¹ | ||
| + | three CL eat | ||
| + | 세 끼를 먹다 | ||
| + | }}} | ||
| + | |||
| + | ###(2) 분류사의 유래 | ||
| + | |||
| + | - 일부 분류사가 명사나 동사에서 온 것이다. | ||
| + | |||
| + | - 1음절 명사의 경우 그 전체가 분류사로 쓰인다. | ||
| + | |||
| + | {{{eg>sang1320 (li2003:126) | ||
| + | ten³³ tshe⁵⁵ ten³³ | ||
| + | bed ten bed | ||
| + | 침대 열 대 | ||
| + | }}} | ||
| + | |||
| + | - 2음절 명사의 경우, 일부 단어는 두 번째 음절만이 분류사로 쓰인다. 이 부류에 속한 2음절 명사는 대부분의 경우 접두사를 가진 가산 명사이다. | ||
| + | |||
| + | {{{eg>sang1320 (li2003:127) | ||
| + | si³³tsɯŋ⁵⁵ ti³¹ tsɯŋ⁵⁵ | ||
| + | tree one CL | ||
| + | 나무 한 그루 | ||
| + | }}} | ||
| + | |||
| + | - 일부 명사는 첫 번째 음절만이 분류사로 쓰인다. | ||
| + | |||
| + | {{{eg>sang1320 (li2003:127) | ||
| + | ʑø³³lø³³ ti³¹ ʑø³³ | ||
| + | flower one CL | ||
| + | 꽃 한 송이 | ||
| + | }}} | ||
| + | |||
| + | - 동사에서 온 명사에 붙는 분류사로 pa̠³¹ '짐'과 ŋɡam³³ '줌'을 들 수 있다. | ||
| + | |||
| + | {{{eg>sang1320 (li2003:147) | ||
| + | mi³¹tsa³¹ ti³¹ pa̠³¹ | ||
| + | firewood one CL | ||
| + | 땔감 한 짐 | ||
| + | }}} | ||
| + | |||
| + | |||
| + | |||
| + | ###(3) 분류사의 용법 | ||
| + | |||
| + | - 분류사는 수사 뒤에 나타나고 수사는 세는 대상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출현한다. 즉 '명사+수사+분류사'의 구조를 보인다. | ||
| + | |||
| + | {{{eg>sang1320 (li2003:126) | ||
| + | tu³¹pap³³ ȵi̠³¹ lem³¹ | ||
| + | scarf two CL | ||
| + | 스카프 두 장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