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eediq:4_ss:48_tame:48_tame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seediq:4_ss:48_tame:48_tame [2019/03/29 16:25]
127.0.0.1 바깥 편집
doc:seediq:4_ss:48_tame:48_tame [2019/06/20 15:15] (현재)
최소연
줄 1: 줄 1: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경우 시제, 상, 서법이 완벽하게 구분할 수 없는 것 같다.
 +- 싸이더커어의 시제, 상, 서법 체계는 동사 파생 접사, 조동사, 조사 등으로 표기된다.
 +- 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 | 실현상 || 비 실현상 |
 +| | 진행상 | 완망상 | 미래 |
 +| 접사 | - | <n> | -p-/​m-p-(혹은 동사의 중첩) |
 +| 조동사 | ga(gaga)/​nii/​gisu | wada/tena | maha |
 +| 조사 | - | di/da | di/da |
 +
 +
 +- 싸이더커어에서 동사의 종류(동태 동사, 정태 동사)에 따라 다른 접사 없고 초점 표지만 있는 동사의 경우, 보통 어떤 상태나 현황 혹은 관습적인 사건을 나타낸다.
 +- 혹은 어떤 이야기에서 발생한 사건을 기술하는데 이 사건이 일어나고 있거나 이미 일어났다는 것을 특별히 강조하지 않는다.
 +- 이때 초점 표지는 동작주 초첨 ‘m(V)-/<​m>/​ø’,​ 장소 초점 ‘-an’, 수혜자/​도구/​참조 초점 ‘s(V)-’ 등이 있다.
 +
 +###### 동작주 초점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eg>​taro1264 (huanglimei2018:​81)
 +m-taqi ka bubu.
 +AF-sleep NOM mother
 +엄마가 잔다.(엄마가 자고 있다.)
 +}}}
 +
 +
 +###### 수혜자 초점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eg>​taro1264 (huanglimei2018:​82)
 +s-labu na bubu gaga ka qcurux na rudan gaga.
 +PF-wrap.up GEN mother that NOM fish GEN old.man that
 +그 엄마가 그 노인을 위해 생선을 싼다.(어떤 사람이 어떤 이야기를 말하고 있다.)
 +}}}
 +
doc/seediq/4_ss/48_tame/48_tame.155384435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3/29 16:25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