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eediq:4_ss:48_tame:tame_tense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seediq:4_ss:48_tame:tame_tense [2019/03/29 16:25]
127.0.0.1 바깥 편집
doc:seediq:4_ss:48_tame:tame_tense [2019/06/20 15:39] (현재)
최소연 [(3) 과거 시제]
줄 1: 줄 1:
-## tame_tense :  시제 (tense) ​+## tame_tense :  시제 (tense) 
 + 
 +### (1) 현재 시제 
 + 
 +- 싸이더커어에서 동사가 초점 표지(피동작주 초점 제외)만 가지고 다른 접사가 없는 경우 문장이 여러 시제로 해석될 수도 있다. 
 +- 시제를 명확히 하려고 시간 부사의 수반으로 실현된다. 
 + 
 +{{{eg>​taro1264 (huanglimei2018:​82) 
 +l<​m>​ingis klaali ka laqi na. 
 +cry<​AF>​cry always NOM child 3SG.GEN 
 +그녀의 아이가 늘 운다. 
 +}}} 
 + 
 +### (2) 미래 시제 
 + 
 +- 동사가 피동작주 초점 ‘-un’만 가지고 다른 접사나 조동사가 없는 경우, 미래에만 일어날 수 있는 사건임을 나타낸다. 
 + 
 +{{{eg>​taro1264 (huanglimei2018:​83) 
 +bekuy-un ta maanu di? 
 +tie.up-PF 1PL.INCL.GEN what PTCL 
 +우리가 무엇으로 묶을 겁니까?​ 
 +}}} 
 + 
 +- 동작주 초점을 나타내는 접두사 ‘-m’도 멀지 않는 미래에 곧 일어날 사건을 표현한다. 
 + 
 +{{{eg>​taro1264 (huanglimei2018:​83) 
 +m-lamu namu knuwan yamu di? 
 +AF-harvest 2PL.NOM when 2PL PTCL 
 +너희들이 언제 거둘 거야? 
 +}}} 
 + 
 +- 또한 접두사 ‘-m’는 비완망상을 나타내는 동사 접사 ‘-p-’와 같이 미래에만 일어나는 일을 표현한다. 
 + 
 +{{{eg>​taro1264 (huanglimei2018:​84) 
 +m-p-lingis bale ka laqi na. 
 +AF-FUT-cry very NOM child 3SG.GEN 
 +그녀의 아이가 울 것이다. 
 +}}} 
 + 
 +### (3) 과거 시제 
 + 
 +- 조동사 ‘wada(가다),​ tana’ 등으로 이미 일어난 사건을 나타낸다. 
 + 
 +{{{eg>​taro1264 (huanglimei2018:​86) 
 +wada bubul qsiya ka heya. 
 +go draw water NOM 3SG 
 +그녀가 물 길으러 갔다. 
 +}}} 
 + 
 +{{{eg>​taro1264 (huanglimei2018:​86) 
 +wada taqi ka Daki di. 
 +PFV sleep NOM Daki PTCL 
 +Daki가 이미 자러 갔다. 
 +}}}
  
  
doc/seediq/4_ss/48_tame/tame_tense.155384435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3/29 16:25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