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seediq:6_cs:61_clink:61_clink [2019/07/09 17:09] 최소연 [4) 원인 종속문(결과 종속문)] |
doc:seediq:6_cs:61_clink:61_clink [2020/09/21 21:35] (현재) 최소연 [2) 조건 종속문] |
||
|---|---|---|---|
| 줄 62: | 줄 62: | ||
| {{{eg>taro1264 (huanglimei2018:160) | {{{eg>taro1264 (huanglimei2018:160) | ||
| netun ku me-eyah alang kusun de, me-eyah ku theyaq sapah su. | netun ku me-eyah alang kusun de, me-eyah ku theyaq sapah su. | ||
| - | if 1SG.NOM AF.come village tomorrow PTCL AF.come 1SG.NOM play home 2SG.GEN | + | if 1SG.NOM AF-come village tomorrow PTCL AF-come 1SG.NOM play home 2SG.GEN |
| 내가 내일 부락에 돌아간다면 너의 집에 놀러 갈 것이다. | 내가 내일 부락에 돌아간다면 너의 집에 놀러 갈 것이다. | ||
| }}} | }}} | ||
| 줄 77: | 줄 77: | ||
| #### 3) 원인 종속문(결과 종속문) | #### 3) 원인 종속문(결과 종속문) | ||
| - | #### 5) 양보 종속문 | + | - 원인 종속문에 접속사 ‘ado, ado ka(-때문에)’가 쓰이며 ‘ka’는 보통 생략된다. |
| + | - 결과를 나타낼 때 ‘kiya ya(혹은 준말 kika, 그래서)’, ‘maku’, ‘asi maku’ 등이 쓰인다. | ||
| + | - ‘ado ka’ 및 ‘kiya ya’는 문장에 단독적으로 쓰일 수 있고 ‘ado ka…kiya ya…’식으로 쓰일 수도 있다. 선행절과 후행절 또는 두 사건의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 ||
| + | |||
| + | {{{eg>taro1264 (huanglimei2018:161) | ||
| + | ado q-m-uyux ma m-dheriq ka eluw kika m-oad ku sdheriq di. | ||
| + | because rain-AF-rain and AF-slip NOM road so AF-pass 1SG.NOM CF.slip PTCL | ||
| + | 비가 와서 길이 미끄럽기 때문에 내가 넘어졌다. | ||
| + | }}} | ||
| + | |||
| + | - ‘ado’는 ‘so(그래서, 이렇게 해야…)’와 함께 사용되고 보통 후행절에 쓰임으로 두 문장이나 두 사건의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 ||
| + | |||
| + | {{{eg>taro1264 (huanglimei2018:162) | ||
| + | stklang-i pusu eruc na hling-an ga, Cili, ado so mkere. | ||
| + | tamp-PF.IMP root pillar 3SG.GEN hang-PF that Cili such so hard | ||
| + | Cili, 이 빨래 너는 기둥의 뿌리 부분을 다져 놔라, 이렇게 해야 튼튼하다. | ||
| + | }}} | ||
| + | |||
| + | - 주: stkelang + i -> stklangi, heluy + an -> hlingan | ||
| + | |||
| + | #### 4) 양보 종속문 | ||
| + | |||
| + | - 접속사 ‘ani(…라 하더라도)’, ‘ani naq(비록…)’, ‘ani si(-지만)’ 등이 쓰임으로 양보 또는 역전을 나타낸다. | ||
| + | - 두 문장 또는 두 사건이 대립되거나 역전되는 관계를 나타낸다. | ||
| + | |||
| + | |||
| + | {{{eg>taro1264 (huanglimei2018:162) | ||
| + | ani.naq ini qita doriq na pai mu rudan we, ini k-rbuni ka birac na. | ||
| + | even.if NEG look eye 3SG.GEN grand.mother 1SG.GEN old.woman PTCL NEG STAT-a.deaf.person NOM ear 3SG.GEN | ||
| + | 나의 할머니는 비록 눈이 안 보이지만 귀먹지 않는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