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seediq:8_lexicology:82_wform:wform_redup [2019/03/29 16:25] 127.0.0.1 바깥 편집 |
doc:seediq:8_lexicology:82_wform:wform_redup [2019/04/27 14:47] (현재) 최소연 [3) 두 자음(C₁C₂)이 중첩되는 경우] |
||
|---|---|---|---|
| 줄 1: | 줄 1: | ||
| ## wform_redup : 중첩(reduplication) | ## wform_redup : 중첩(reduplication) | ||
| + | |||
| + | - 싸이더커어의 중첩은 어휘화된 중첩, 완전 중첩, 일부 중첩 등으로 나눈다. | ||
| + | |||
| + | ### (1) 어휘화된 중첩 | ||
| + | |||
| + | - 어휘화된 중첩은 똑같은 두 개의 분음절로 이루어진 단어인데 이 분절음 자체가 자립적으로 존재하지도 않고 아무 의미도 가지지 않는다. | ||
| + | - 예로는 ‘erueru(자주, 끊임없이)’가 있는데 ‘*eru’는 싸이더커어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다. | ||
| + | |||
| + | ### (2) 일부 중첩 | ||
| + | |||
| + | - 싸이더커어의 일부 중첩에는 어간의 첫 번째 자음(C₁)이나 모음(V₁) 혹은 앞에서 두 자음(C₁C₂)의 중첩 등이 있다. | ||
| + | - 중첩으로 만들어지는 새 단어의 품사가 바뀔 수도 있고 바뀌지 않을 수도 있다. | ||
| + | - 의미적으로 봤을 때, 명사의 중첩은 복수, 수의 증가 혹은 종류의 증가를 나타낸다. | ||
| + | - 정태동사의 중첩은 정도가 강해지거나 분포 혹은 정도가 약해짐을 나타낸다. | ||
| + | - 동작주태를 가진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지속 혹은 동작의 즉시성 등을 나타낸다. | ||
| + | - 비동작두태를 가진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즉시성을 나타내거나 가끔 명사로 바뀌기도 하는데 이때 해당 동작과 관련된 피동작주, 장소, 원인 도구 등을 나타낸다. | ||
| + | - 서로나 상호의 뜻을 가진 구조도 동사 어간의 첫 번째 자음을 중첩함으로써 동작의 반복 상태를 나타낸다. | ||
| + | |||
| + | #### 1) 첫 번째 자음이 중첩되는 경우 | ||
| + | |||
| + | {{{lex>taro1264 (huanglimei2018:34) | ||
| + | |||
| + | - C₁-dangi : C₁-친구 -> d-dangi : 친구들 | ||
| + | - C₁-reko : C₁-높다 -> r-reko : 높디높다 | ||
| + | - C₁-maha : C₁-가다 -> m-maha : 갈 것이다(동작의 즉시성) | ||
| + | - C₁-sa-un : C₁-가다-un -> s-saun : 갈 것이다(동작의 즉시성, 피동작주태를 가진 동사에서 동사로 바뀜.) | ||
| + | - C1-mah-un : C₁-마시다-un -> m-mahun : 음료, 마실 것 | ||
| + | - C₁-brig-an : C₁-사다/팔다-an -> b-brigan : 상점 | ||
| + | - C₁-phey-an : C₁-빨래하다-an > p-pheyan : 빨래하는 곳, 세탁기 | ||
| + | - m-C₁-tanah : m-C₁-붉다 -> m-t-tanah : 약간 붉다, 붉디붉다 | ||
| + | - m-C₁-gaalu : m-C₁-돌보다 -> m-g-gaalu : 서로 돌보다 | ||
| + | |||
| + | }}} | ||
| + | |||
| + | #### 2) 첫 번째 모음이 중첩되는 경우 | ||
| + | |||
| + | {{{lex>taro1264 (huanglimei2018:34) | ||
| + | |||
| + | - m-V₁-oda : m-o-지나가다 -> m-o-oda : 지나갈 것이다(동작의 즉시성) | ||
| + | - m-V₁-adis : m-a-지니다 -> m-a-adis : 지닐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3) 앞에서 두 자음(C₁C₂)이 중첩되는 경우 | ||
| + | |||
| + | {{{lex>taro1264 (huanglimei2018:34) | ||
| + | |||
| + | - C₁C₂-malu : C₁C₂-좋다 -> ml-malu : 극도로 좋다 | ||
| + | - C₁C₂-naqah : C₁C₂-나쁘다 -> nq-naqah : 극도로 나쁘다 | ||
| + | |||
| + | }}} | ||
| + | |||
| + | ### (3) 완전 중첩 | ||
| + | |||
| + | - 싸이더커어의 완전 중첩은 많지 않고 현재로서 완전 중첩에 해당되는 어휘는 모두 동사이다. | ||
| + | - 완전 중첩으로 이루어진 새 단어가 해당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된다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 ||
| + | - 주로 어간의 중첩인데 동작주태를 가진 동사에서 그냥 동사로 바뀐다. | ||
| + | |||
| + | {{{lex>taro1264 (huanglimei2018:35) | ||
| + | |||
| + | - mekan : 먹다 -> mekan-mekan : 먹고 도 먹다 | ||
| + | - pledax : 반짝이다 -> pledax-pledax : 반짝반짝하다 | ||
| + | - mtqiri : 돌다 -> mtqiri-mtqiri : 돌고 또 돌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