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he:2_wordclass:25_adv:25_adv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she:2_wordclass:25_adv:25_adv [2021/08/28 12:30]
박은석
doc:she:2_wordclass:25_adv:25_adv [2021/08/28 12:54] (현재)
박은석
줄 14: 줄 14:
 - tshuŋ6kɔ5 : 더욱  ​ - tshuŋ6kɔ5 : 더욱  ​
 - kɔ5 : 더욱 - kɔ5 : 더욱
 +
 +}}}
  
 ### 범위부사 ### 범위부사
줄 25: 줄 27:
  
 }}} }}}
 +
 +
 +### 시간부사
 +
 +{{{lex>​shee1238 (maozongwu2007:​547)
 +
 +- tsɔŋ3 : 그제서야  ​
 +- thɔ2kwei2 : 방금 ​
 +- thɔ2kɔ1tshji2 : 방금
 +- su6 : 바로
 +- kji5kin3 : 이미
 +- sɔŋ2sɔŋ2 : 자주  ​
 +- kin3sɔŋ2 : 자주
 +- nit8khit8 : 즉시
 +- ka2 : 먼저
 +- ka6thɔ4 : 나중에
 +
 +}}}
 +
 +### 중복부사
 +
 +{{{lex>​shee1238 (maozongwu2007:​547)
 +
 +- za1 : -도, 또
 +- aŋ2 : 다시 ​
 +- sɔŋ3 : 다시
 +
 +}}}
 +
 +### 부정부사
 +
 +{{{lex>​shee1238 (maozongwu2007:​547)
 +
 +- ha6 : 아니다
 +- ha6ma2 : 아니었다. 일찍이 -한 적이 없다. ​
 +- e3 : -하지 말아라
 +
 +}}}
 +
 +
 +### 부사의 문법 기능
 +
 +- 부정부사 외에는 부사는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대답이 될 수 없다. ​
 +- 긍정과 부정을 나란히 놓는 방식으로 질문을 할 수 없다.
 +- 중첩할 수 없다.
 +- 명사를 수식할 수 없다.
 +-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하는데 사용된다. ​
 +- 동사와 형용사 앞에 놓인다. ​
 +- 정도부사는 대부분 형용사를 수식하지만 조동사와 심리 동사를 수식하기도 한다. ​
 +
 +다음은 정도부사가 조동사를 수식하는 예이다. ​
 +
 +{{{eg>​shee1238 (maozongwu2007:​547)
 +nuŋ4 tsji2  ŋin4zji4 ​ kuŋ3
 +3SG  most   ​want ​     speech
 +그는 가장 말하고 싶어한다.
 +}}}
 +
 +{{{eg>​shee1238 (maozongwu2007:​547)
 +vaŋ4 khje4  ha1     ​ɤ3ti1 ​ ne2
 +1SG  very  afraid ​ those  person
 +나는 그런 사람들을 무서워한다.
 +}}}
 +
 +- 부정부사 'ha6 : 아니다'​ 는 문미에 놓여서 의문을 나타낸다.
 +
 +{{{eg>​shee1238 (maozongwu2007:​547)
 +muŋ2  ŋ̥ŋ4 ​ ha6
 +2SG    go  NEG
 +너는 가니 안가니?
 +}}}
 +
  
  
줄 34: 줄 108:
  
    
 +
doc/she/2_wordclass/25_adv/25_adv.163012143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8 12:30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