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sui:2_wordclass:27_num:27_num [2018/03/26 16:04] 박성하 |
doc:sui: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22 17:02] (현재) 박성하 |
||
|---|---|---|---|
| 줄 1: | 줄 1: |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100% | + | # 27_num : 수사 (numeral) |
| ### 기수는 다음과 같다. | ### 기수는 다음과 같다. | ||
| 줄 46: | 줄 46: | ||
| - 년,월, 일 등의 소수 시간명사, 장소명사, 친족호칭을 나타내는 명사 및 양사작용을 하는 명사는 기수사가 앞에 온다. | - 년,월, 일 등의 소수 시간명사, 장소명사, 친족호칭을 나타내는 명사 및 양사작용을 하는 명사는 기수사가 앞에 온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38) | + | {{{eg>suii1243 (Zhangjunru1980:38) |
| haːm1 ai3 | haːm1 ai3 | ||
| three CL | three CL | ||
| 줄 52: | 줄 52: | ||
| }}} | }}}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38) | + | {{{eg>suii1243 (Zhangjunru1980:38) |
| ɣa2 fe2 | ɣa2 fe2 | ||
| two sister | two sister | ||
| 줄 60: | 줄 60: | ||
| #### (2) 배수와 할(10분의 1)은 각각 dup7와 haŋ2으로 나타낸다. | #### (2) 배수와 할(10분의 1)은 각각 dup7와 haŋ2으로 나타낸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38) | + | {{{eg>suii1243 (Zhangjunru1980:38) |
| haːm1 ⁿdup7 | haːm1 ⁿdup7 | ||
| three times | three times | ||
| 줄 68: | 줄 68: | ||
| #### (3) 서수가 양사 또는 다른 명사를 수식할 때 서수는 뒤에 위치한다. | #### (3) 서수가 양사 또는 다른 명사를 수식할 때 서수는 뒤에 위치한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38) | + | {{{eg>suii1243 (Zhangjunru1980:38) |
| van1 ti6haːm1 | van1 ti6haːm1 | ||
| day third | day third | ||
| 줄 76: | 줄 76: | ||
| #### (4) 숫자 백, 천, 만은 앞에 수사를 수식받는 것 외에, 지시대사의 수식도 받을 수 있다. | #### (4) 숫자 백, 천, 만은 앞에 수사를 수식받는 것 외에, 지시대사의 수식도 받을 수 있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38) | + | {{{eg>suii1243 (Zhangjunru1980:38) |
| haːm1 ɕen1 tsa5 | haːm1 ɕen1 tsa5 | ||
| three thousand that | three thousand that | ||
| 줄 90: | 줄 90: | ||
| - ti3 용법② : '백, 천, 만, 배, 할'의 앞에 놓여 곱셈을 나타낸다. '영(0)'의 뒤에 놓여 양사를 가지거나 '백, 천'등 수사를 가진다. | - ti3 용법② : '백, 천, 만, 배, 할'의 앞에 놓여 곱셈을 나타낸다. '영(0)'의 뒤에 놓여 양사를 가지거나 '백, 천'등 수사를 가진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39) | + | {{{eg>suii1243 (Zhangjunru1980:39) |
| ti3 faːn6 lin4 ti3 pek7 | ti3 faːn6 lin4 ti3 pek7 | ||
| - | one ten-thousand zero one hundred | + | one tenthousand zero one hundred |
| 만백(10100) | 만백(10100) | ||
| }}} | }}} | ||
| 줄 98: | 줄 98: | ||
| - ti3 용법③ : sup8 (십, 10) 또는 ɣa2(이, 2)의 앞에 놓여 어림수를 나타낸다. | - ti3 용법③ : sup8 (십, 10) 또는 ɣa2(이, 2)의 앞에 놓여 어림수를 나타낸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39) | + | {{{eg>suii1243 (Zhangjunru1980:39) |
| ti3 sup8 to2 | ti3 sup8 to2 | ||
| one ten CL | one ten CL | ||
| 줄 115: | 줄 115: | ||
| - ˀjət7 용법② : 십, 백, 천, 만, 영(0)의 뒤에 놓일 수 있으며, 그 다음 위치의 수를 나타낸다. | - ˀjət7 용법② : 십, 백, 천, 만, 영(0)의 뒤에 놓일 수 있으며, 그 다음 위치의 수를 나타낸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40) | + | {{{eg>suii1243 (Zhangjunru1980:40) |
| haːm1 ɕen1 ˀhət7 | haːm1 ɕen1 ˀhət7 | ||
| three thousand one | three thousand one | ||
| 줄 129: | 줄 129: | ||
| - laːu3 용법① : 양사의 앞에 혹은 ti3(1)의 앞에 놓일 수 있으며, 단독의 하나임을 강조한다. | - laːu3 용법① : 양사의 앞에 혹은 ti3(1)의 앞에 놓일 수 있으며, 단독의 하나임을 강조한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40) | + | {{{eg>suii1243 (Zhangjunru1980:40) |
| laːu3 ai3 | laːu3 ai3 | ||
| one CL | one CL | ||
| 줄 137: | 줄 137: | ||
| - laːu3 용법② : 수학연산에 쓰인다. | - laːu3 용법② : 수학연산에 쓰인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40) | + | {{{eg>suii1243 (Zhangjunru1980:40) |
| laːu3 ʈa3 ɣa2 dai3 haːm1 | laːu3 ʈa3 ɣa2 dai3 haːm1 | ||
| one plus two get three | one plus two get three | ||
| 줄 151: | 줄 151: | ||
| - ɳi6는 sup8(10)의 앞 뒤에 쓰여 수를 셀 수 있으며, '백, 천, 만'의 뒤에 쓰여 그 자릿수를 나타낼 수 있다. | - ɳi6는 sup8(10)의 앞 뒤에 쓰여 수를 셀 수 있으며, '백, 천, 만'의 뒤에 쓰여 그 자릿수를 나타낼 수 있다.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41) | + | {{{eg>suii1243 (Zhangjunru1980:41) |
| ɳi6 sup8 ɳi6 | ɳi6 sup8 ɳi6 | ||
| two ten two | two ten two | ||
| 줄 157: | 줄 157: | ||
| }}} | }}} | ||
| - | {{{eg>suii1243 (Zhangjunru 1980:41) | + | {{{eg>suii1243 (Zhangjunru1980:41) |
| faːn6 ɳi6 | faːn6 ɳi6 | ||
| - | ten-thousand two | + | tenthousand two |
| 만이천(12000) | 만이천(12000)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