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ui:2_wordclass:28_clf:28_clf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sui:2_wordclass:28_clf:28_clf [2017/11/27 13:03]
127.0.0.1 바깥 편집
doc:sui:2_wordclass:28_clf:28_clf [2021/08/22 17:02] (현재)
박성하
줄 1: 줄 1: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된다.
 +- 명량사에는 [ai3] 명/​분(사람),​ [to2] 마리(동물),​ [ni2] 그루(나무) 등이 있다.
 +- 동량사에는 [p_hja3] 번/회, [lan5] 끼니/​번/​차례 등이 있다.
 +
 +### 양사의 주요 특징
 +
 +- 양사는 명사의 앞에 위치하며,​ 양을 나타내는 개념이외에 유형을 구별하는 작용을 한다.
 +
 +- 일부 양사(位, 个)는 중첩하여 '​모든'​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보편적인 용법이 아니며, 모든 양사가 가능한 것도 아니다.
 +  비교적 보편적인 것은 양사의 앞에 수사 tsap8, jən2를 부가하여 '​매(每)'​의 의미를 나타낸다. ​
 +
 +{{{eg>​suii1243 (Zhangjunru1980:​34)
 +jən2 lam1 
 +each CL
 +각각 마다 (每个)
 +}}}
 +
 +{{{eg>​suii1243 (Zhangjunru1980:​34)
 +tsap8 phja3
 +each CL
 +매 번마다 (每次)
 +}}}
 +
 +- 명량사는 명사를 대체할 수 있으며, 중심어가 될 수 있고 뒤에 지시대사,​ 술어 등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 양사는 기수사와 뒤에 서수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eg>​suii1243 (Zhangjunru1980:​34)
 +ljok8 pai2
 +six CL
 +여섯 번(六次)
 +}}}
 +
 +
 +{{{eg>​suii1243 (Zhangjunru1980:​34)
 +va5 ti6ɳi8
 +CL  second
 +두 번째 장
 +}}}
 +
 +- 동량사는 단독으로 동사의 앞에 놓여 부사어가 될 수 있다.
 +
 +- 도량을 나타내는 양사와 수사로 구성된 수량구는 일부 형용사의 앞에 쓰여 수식성분이 될 수 있다.
 +
 +{{{eg>​suii1243 (Zhangjunru1980:​35)
 +ɕi5 ʈən2 zan1
 +four CL heavy
 +4근만큼 무겁다.
 +}}}
 +  ​
doc/sui/2_wordclass/28_clf/28_clf.151175542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11/27 13:03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