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abassaran: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tabassaran: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6/15 16:37]
김희연
doc:tabassaran: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5 23:18] (현재)
김희연
줄 1: 줄 1:
-# 22_noun :  명사 (noun) +# 22_noun :  명사 (noun) ​
 ### 명사의 분류 체계 ​ ### 명사의 분류 체계 ​
  
줄 81: 줄 80:
  
 ##### 주격 복수 ##### 주격 복수
 +
 - 주격 복수는 주격단수에 표지 –ар, -аьр, -яр, -эр, -ер 를 붙여 만든다. ​ - 주격 복수는 주격단수에 표지 –ар, -аьр, -яр, -эр, -ер 를 붙여 만든다. ​
 - 복수 표지 –йир 는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사용한다. ​ - 복수 표지 –йир 는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사용한다. ​
줄 115: 줄 115:
  
 - 능격의 명사는 문장에서 타동사가 술어로 올 경우에 주어의 역할을 한다. - 능격의 명사는 문장에서 타동사가 술어로 올 경우에 주어의 역할을 한다.
- 
- 
- 
  
  
 {{{eg>​taba1259 (Zagirov2014:​133) {{{eg>​taba1259 (Zagirov2014:​133)
-Адашди дажи маргьли гъубччвну ​+Адаш-ди       ​дажи маргьли гъубччвну 
 +donkey-ACC ​     UNK UNK     UNK 
 +이웃이 막대기로 당나귀를 치다.(сосед палкой поколотил осла) ​
  
- 
-이웃이 막대기로 당나귀를 치다 
-(сосед палкой поколотил осла) ​ 
 }}} }}}
  
줄 137: 줄 133:
  
 ###### 능격 예시 ###### 능격 예시
-|고양이|гатди|гатдин| 
-|엄마|дадайи|дадайин| 
-|좁쌀|дукІу|дукІун| ​ 
  
-- 능격, 속격, 여격, 재격의 ​ 명사의 어미가 –ру, -ну (드물게 –у) 로 끝나는 단어는 а 로 교체 된다. ​ 
- ​Бахтну – бахтнан : 행복 ​ 
  
 +{{{lex>​taba1259 (Zagirov2014:​133)
 +- гатди-н : 고양이(속격)
 +- дадайи-н:​ 엄마(속격)
 +- дукІу-н:​ 좁쌀
 +}}} 
 +
 +
 +
 +- 능격, 속격, 여격, 재격의 ​ 명사의 어미가 –ру, -ну (드물게 –у) 로 끝나는 단어는 а 로 교체 된다.
 + 
 +
 +
 +{{{lex>​taba1259 (Zagirov2014:​133)
 +
 +- бахтну : 행복(주격)
 +- бахтнан:​ 행복(속격) ​
 +
 +}}}
 +
 +
 +#### 여격 ​
 +
 +
 +- шлиз? Фужариз?​ (인칭) /фтиз? Фйириз?​(비인칭) ​
 +- 여격은 능격에서 표지–з 를 붙여 나타난다. ​
 +- 여격을 뱡향을 나타낸다. (어디로? Наана?  ​
 +- 문장에서 장소에 대한 상황을 나타낸다.
 +
 +
 +{{{eg>​taba1259 (Zagirov2014:​134)
 +
 +Бабу шура-з ​       жакул ​ тувну ​
 +mama  doughter-DAT ​  ​doll ​  ​give.3SG.PST
 +엄마는 딸에게 인형을 선물했다.(мать подарила дочке куклу) ​
 +}}}
 +
 +
 +
 +{{{eg>​taba1259 (Zagirov2014:​134)
 +Узу шагьри-з гъягъюрза ​
 + ​i ​ city-DAT ​    ​go.1SG.PRS
 +나는 도시로 간다.
 +}}}
 +
 +
 +
 +- 지각 동사와 나타나는 여격명사는 주어의 역할이다.
 +
 +
 +{{{eg>​taba1259 (Zagirov2014:​134)
 +Сула-з ​   гъюр ​  ​гъябкъну
 +fox-DAT ​   rabbit ​   see.verb.of.perception ​
 +여우가 토끼를 보았다. ​
 +}}}
 +
 +
 +
 +{{{eg>​taba1259 (Zagirov2014:​134)
 +Гатди-з къюлан цІив гъеебхьну ​
 +cat-DAT ​ UNKOWN ​       mouse    hear.verb.of.perception ​
 +고양이는 쥐의(찍찍) 소리를 들었다.
 +}}}
  
doc/tabassaran/2_wordclass/22_noun/22_noun.152904826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15 16:37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