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tat:0_general:01_basic:01_basic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tat:0_general:01_basic:01_basic [2021/08/23 18:15]
김희연
doc:tat:0_general:01_basic:01_basic [2021/08/26 00:13] (현재)
김희연 [인구지리학적 정보]
줄 30: 줄 30:
 - 두개의 그룹은 다른 방언을 갖으며, 방언 사이에는 상호소통이 불가  ​ - 두개의 그룹은 다른 방언을 갖으며, 방언 사이에는 상호소통이 불가  ​
  
-- 언어 구사자 : 1959년도 기준 11000명+- 언어 구사자 : 1959년도 기준 11000명, 2010년 기준 자료 2012명 
 - 아제르 바이잔에 살고 있는 타트인들은 실제로 스스로 아제르바이잔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아제르바이잔인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실제 구사자 보다 낮게 어림잡아있다. - 아제르 바이잔에 살고 있는 타트인들은 실제로 스스로 아제르바이잔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아제르바이잔인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실제 구사자 보다 낮게 어림잡아있다.
  
줄 46: 줄 46:
  - 1928년아제르바이잔에서 탓트어 연구를 시작 ​  - 1928년아제르바이잔에서 탓트어 연구를 시작 ​
  - 탓트어 철자를 라틴 문자에 기초를 둠.   - 탓트어 철자를 라틴 문자에 기초를 둠. 
 + - 1938년부터 타게스탄-타트인은 러시아어 철자를 추가하여 철자를 사용
  - 1945년무슬림탓트어회화에대한 몇몇의 텍스트 모음집 출간 ​  - 1945년무슬림탓트어회화에대한 몇몇의 텍스트 모음집 출간 ​
  - 탓트어의 음성학은 R.O.Shor 와 B.S.Sokolova 에 의해 연구. ​  - 탓트어의 음성학은 R.O.Shor 와 B.S.Sokolova 에 의해 연구. ​
 + - 이후 자세한 연구는 1954-1958년에 북아제르바이잔 탓트어를 다룬 소논문에서 다뤄지게 되며,
 +이 연구의 결과는 현재 탓트어에서 중요한 자료가 됨. 
 + - 20 세기 후반 다게스탄에서 철자를 라틴문자로 바꾸면서 Makhachkal 지역과 모스크바 부분적 지역에서 탓트어 문학을 다루기 시작. ​
 + - 탓트어는 몇몇의 학교의 교과서 와 수학교과서에 사용 되고 있음.
  
  
  
doc/tat/0_general/01_basic/01_basic.162971011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3 18:15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