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tat:4_ss:46_val:46_val [2020/03/16 22:06] 127.0.0.1 바깥 편집 |
doc:tat:4_ss:46_val:46_val [2021/08/26 00:12]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
| + | |||
| + | ### 시제 | ||
| + | |||
| + | - 과거의 경우 완료와 불완료로 나뉨 | ||
| + | - 일반과거(근접과거)와 완료시제 과거는 완료로 나타냄. | ||
| + | - 현재, 미래 시제에서 완료상을 사용하는 경우, 일에 대한 확실성을 나타냄. | ||
| + | |||
| + | - 현재 미래 시제 | ||
| + | - 현재 시제 | ||
| + | - 일반 과거 시제 | ||
| + | - 여러 차례 반복행위 과거 시제 | ||
| + | - 완료 시제 1(perfect) | ||
| + | - 과거 완료 | ||
| + | |||
| + | |||
| + | |||
| + | |||
| + | ### 자동사와 타동사 | ||
| + | |||
| + | - 표지는 갖지 않으나, 파생어간 동사의 유형이 아니라면 접미사 –un | ||
| + | |||
| + | |||
| + | ### 태 | ||
| + | |||
| + | - 수동태, 능동태, 사역상으로 나뉜다. | ||
| + | |||
| + | |||
| + | #### 부정 양태 | ||
| + | |||
| + | - 부정형태의 동사 혹은 접속사로 표현 | ||
| + | |||
| + | ### 법 | ||
| + | |||
| + | ####명령형 | ||
| + | |||
| + | - 명령형은 2인칭 단수 형태만 사용된다 | ||
| + | |||
| + | #### 가정법 | ||
| + | |||
| + | - 가정법은 현재와 과거 시제 두가지의 형태로 쓰인다.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