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 |||
|
doc:tatar: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
doc:tatar: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21/08/24 23:42]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05_writing : 문자 (writing) : 100% : | + | # 05_writing : 문자 (writing) |
| - 불가리아 공화국과 카잔한국, 러시아 황제 시대 때는 아랍 철자를 기반으로 하였다. 1927년 라틴어로 알파벳을 바꾸었으며, 다시 1939년 타타르어의 특별성을 가진 6개의 철자를 포함하여 키릴문자로 재정한다. 1999년 다시 라틴문자로의 호환과정을 2011년까지 지속한다. | - 불가리아 공화국과 카잔한국, 러시아 황제 시대 때는 아랍 철자를 기반으로 하였다. 1927년 라틴어로 알파벳을 바꾸었으며, 다시 1939년 타타르어의 특별성을 가진 6개의 철자를 포함하여 키릴문자로 재정한다. 1999년 다시 라틴문자로의 호환과정을 2011년까지 지속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