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tatar:2_wordclass:22_noun:22_noun [2017/06/19 22:51] 김희연 [처격1- 시간의 의미 포함] |
doc:tatar: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4 23:46]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22_noun : 명사 (noun) : 50% : | + | # 22_noun : 명사 (noun) |
| - | - 타타르어의 명사는 수, 격, 소유, 정의-비정의, 서술을 나타낸다. | + | - 타타르어의 명사는 수, 격, 소유, 확실-비확실, 서술을 나타낸다. |
| - 타타르어 문법카테고리에는 '성' 이 없다. | - 타타르어 문법카테고리에는 '성' 이 없다. | ||
| - 명사의 단수는 별도의 표지가 없다. | - 명사의 단수는 별도의 표지가 없다. | ||
| 줄 29: | 줄 29: | ||
| }}} | }}} | ||
| - | ## 명사의 격 | + | ### 명사의 격 |
| - 타타르어는 주격, 대격, 속격, 여격, 처격, 탈격 의 6개의 격을 갖는다. | - 타타르어는 주격, 대격, 속격, 여격, 처격, 탈격 의 6개의 격을 갖는다. | ||
| - | ### 주격 | + | #### 주격 |
| + | |||
| - 주격은 별도의 표지가 없다 | - 주격은 별도의 표지가 없다 | ||
| - кем? (누구), нəрсə? (무엇) 을 나타낸다. | - кем? (누구), нəрсə? (무엇) 을 나타낸다. | ||
| - | ### 속격 | + | |
| + | #### 속격 | ||
| + | |||
| - кемнең? (누구의), нәрсәнең?(무엇의) | - кемнең? (누구의), нәрсәнең?(무엇의) | ||
| - | ### 방향격 | + | #### 방향격 |
| + | |||
| - 이 격을 방향격으로 해석하는 학자도 있고, 여격으로 해석하는 학자도 있다. | - 이 격을 방향격으로 해석하는 학자도 있고, 여격으로 해석하는 학자도 있다. | ||
| - кемгә? нәрсәгә? | - кемгә? нәрсәгә? | ||
| - 방향격으로 보는 경우는 이 격을 이용해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 - 방향격으로 보는 경우는 이 격을 이용해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 ||
| (러시아어의 방향을 나타내는 대격으로 해석이 거의 대부분 되기 때문) | (러시아어의 방향을 나타내는 대격으로 해석이 거의 대부분 되기 때문) | ||
| - | ### 대격 | ||
| - | - кемне? нәрсәне?). | ||
| - | -활동체와 불활동채룰 나누어 구분한다. | ||
| - | ### 탈격 | + | |
| + | #### 대격 | ||
| + | |||
| + | |||
| + | - кемне? нәрсәне?) | ||
| + | |||
| + | |||
| + | - 활동체와 불활동채룰 나누어 구분한다. | ||
| + | |||
| + | #### 탈격 | ||
| + | |||
| - 어디로부터, 누구로부터? 질문에 해당하는 답을 가지는 격이며, кемнән? нәрсәдән? | - 어디로부터, 누구로부터? 질문에 해당하는 답을 가지는 격이며, кемнән? нәрсәдән? | ||
| - | ### 처격-시간격 | ||
| - | - где? когда? (кемдә? нәрсәдә? кайда? кайчан?). | ||
| - | ### 대격 | + | #### 처격-시간격 |
| + | |||
| + | |||
| + | - где? когда? (кемдә? нәрсәдә? кайда? кайчан?) | ||
| + | - га, гə, -ка –кə 를 3인칭 | ||
| + | |||
| + | #### 대격 | ||
| + | |||
| - ны,-не 를 1인칭과 2인칭 소유 접사 및 3인칭 소유접사 뒤에 붙인다. | - ны,-не 를 1인칭과 2인칭 소유 접사 및 3인칭 소유접사 뒤에 붙인다. | ||
| - | ### 처격- 시간의 의미 포함 | + | |
| - | -га, гə, -ка –кə 를 3인칭 | + | |
| - | ### 명사의 단수 격변화 표지 | + | |
| + | |||
| + | |||
| + | #### 명사의 단수 격변화 표지 | ||
| |주격(NOM) |표지 없음 | | |주격(NOM) |표지 없음 | | ||
| 줄 75: | 줄 98: | ||
| - | ### 명사의 복수 격변화 표지 | + | #### 명사의 복수 격변화 표지 |
| |주격(NOM) |-лар/-ләр, -нар/-нәр | | |주격(NOM) |-лар/-ләр, -нар/-нәр | | ||
| |대격(ACC) | -ларны | | |대격(ACC) | -ларны | | ||
| 줄 82: | 줄 105: | ||
| |처격(LOC) | -ларда | | |처격(LOC) | -ларда | | ||
| |탈격(ABL) | -лардан | | |탈격(ABL) | -лардан | | ||
| + | |||
| + | |||
| + | |||
| + | #### 명사의 술어역할 | ||
| + | |||
| + | - 명사가 서술역할을 할 때, 인칭에 따라 명사에 접사를 붙여준다. | ||
| + | |||
| + | | | 단수 | 복수 | | ||
| + | |1| -мын| -быз| | ||
| + | |2|-сың|-сыз| | ||
| + | |3|-ул, дыр |-алар| | ||
| + | |||
| + | |||
| + | #### 명사의 확실-비확실 | ||
| + | |||
| + | - 비확실은 бер(숫자 1) 로 표현하며, 확실은 지시대명사 'бу' (이), 'теге'(저) 로 나타낸다. | ||
| + | |||
| + | {{{eg>tata1255 (Zakiev2005:71) | ||
| + | бер кеше кереп чыкты | ||
| + | one person visit.3SG go.out.PST | ||
| + | 어떤사람이 갔다왔다. (заходил тот человек.) | ||
| + | |||
| + | }}} | ||
| + | |||
| + | |||
| + | |||
| + | {{{eg>tata1255 (Zakiev2005:71) | ||
| + | бу кеше - минем маныш | ||
| + | this person - my acquaintance | ||
| + | 이 사람은 나의 지인이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