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tatar-cn: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6/25 10:47] 서취아 [(3) 명사의 격변화] |
doc:tatar-cn: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1/18 17:40] (현재) 최소연 [3) 여격] |
||
|---|---|---|---|
| 줄 9: | 줄 9: | ||
| - 복수형은 명사 뒤에 -lar/lɛr/-nar/-nɛr 등 접미사를 붙임으로써 나타난다. n로 시작한 접미사는 m, n, ŋ 비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고, l로 시작한 접미사는 모음 또는 기타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 - 복수형은 명사 뒤에 -lar/lɛr/-nar/-nɛr 등 접미사를 붙임으로써 나타난다. n로 시작한 접미사는 m, n, ŋ 비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고, l로 시작한 접미사는 모음 또는 기타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 ||
| - | bala 아이 + -lar -> balalar 아이들 | + | bala 아이 + -lar -> balalar 아이들 |
| - | + | ||
| - | pɛkɛ 작은 칼 + -lɛr -> pɛkɛlɛr 작은 칼들 | + | pɛkɛ 작은 칼 + -lɛr -> pɛkɛlɛr 작은 칼들 |
| - | + | ||
| - | qojan 토끼 + -nar -> qojannar 토끼들 | + | qojan 토끼 + -nar -> qojannar 토끼들 |
| - | + | ||
| - | kikɨm 옷 + -nɛr -> kikɨmnɛr 옷들 | + | kikɨm 옷 + -nɛr -> kikɨmnɛr 옷들 |
| - 젊은 사람들이 -nar/-nɛr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비음 뒤에도 -lar/lɛr를 사용한다. | - 젊은 사람들이 -nar/-nɛr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비음 뒤에도 -lar/lɛr를 사용한다. | ||
| 줄 54: | 줄 54: | ||
| - 2인칭 복수 접미사는 어간 뒤에 붙어 2인칭 단수를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 때 2인칭에 대한 존경과 친절함을 나타낸다. | - 2인칭 복수 접미사는 어간 뒤에 붙어 2인칭 단수를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 때 2인칭에 대한 존경과 친절함을 나타낸다. | ||
| - | 예: at: 말(馬) + -əʁəz: 2PL.POSS ->atəʁəz: 너희들의 말/당신의 말 | + | 예: at: 말(馬) + -əʁəz: 2PL.POSS ->atəʁəz: 너희들의 말/당신의 말 |
| ##### 젊은 층에서 사용되는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 ##### 젊은 층에서 사용되는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 ||
| 줄 67: | 줄 67: | ||
| |3인칭|-sə/-sɨ|-ə/-ɨ|-sə/-sɨ|-ə/-ɨ| | |3인칭|-sə/-sɨ|-ə/-ɨ|-sə/-sɨ|-ə/-ɨ| | ||
| - | at: 말(馬) + -əŋ: 2SG.POSS -> atəŋ: 너의 말 | + | at: 말(馬) + -əŋ: 2SG.POSS -> atəŋ: 너의 말 |
| - | + | at: 말(馬) + -əŋlar: 2PL.POSS -> atəŋlar: 너희들의 말 | |
| - | at: 말(馬) + -əŋlar: 2PL.POSS -> atəŋlar: 너희들의 말 | + | at: 말(馬) + -əŋəz : 2SG.POSS -> atəŋəz: 당신의 말이다. |
| - | + | ||
| - | at: 말(馬) + -əŋəz : 2SG.POSS -> atəŋəz: 당신의 말이다. | + | |
| ###### 변화된 부분 | ###### 변화된 부분 | ||
| 줄 126: | 줄 124: | ||
| - 탈격 표지 중 d로 시작한 표지는 모음 혹은 비음을 제외한 다른 유성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t로 시작한 표지는 무성음으로 끝나는 어가 뒤에 온다. n로 시작한 표지는 비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 - 탈격 표지 중 d로 시작한 표지는 모음 혹은 비음을 제외한 다른 유성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t로 시작한 표지는 무성음으로 끝나는 어가 뒤에 온다. n로 시작한 표지는 비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 ||
| - | - 속격의 예 | + | ##### 속격의 예 |
| - | qol:손 + -neŋ:GEN -> qolneŋ:손의 | + | {{{lex>tata1255 (a:0) |
| - | mɛktɛp:학교+ -nɨŋ:GEN -> mɛktɛpnɨŋ:학교의 | + | - qol:손 + -neŋ:GEN -> qolneŋ:손의 |
| + | - mɛktɛp:학교+ -nɨŋ:GEN -> mɛktɛpnɨŋ:학교의 | ||
| - | - 여격의 예 | + | }}} |
| + | |||
| + | ##### 여격의 예 | ||
| qol:손 + -ʁɑ:DAT -> qolʁɑ:손에 | qol:손 + -ʁɑ:DAT -> qolʁɑ:손에 | ||
| 줄 142: | 줄 143: | ||
| kɨlɛm:카펫 + -ɡɛ:DAT -> kɨlɛmɡɛ:카펫에 | kɨlɛm:카펫 + -ɡɛ:DAT -> kɨlɛmɡɛ:카펫에 | ||
| - | - 대격의 예 | + | ##### 대격의 예 |
| qol:손 + -nə:ACC -> qolnə:손을 | qol:손 + -nə:ACC -> qolnə:손을 | ||
| 줄 148: | 줄 149: | ||
| mɛktɛp:학교 + -nɨ:ACC -> mɛktɛpnɨ:학교를 | mɛktɛp:학교 + -nɨ:ACC -> mɛktɛpnɨ:학교를 | ||
| - | - 처격의 예 | + | ##### 처격의 예 |
| qol:손 + -dɑ:LOC-> qoldɑ:손에 | qol:손 + -dɑ:LOC-> qoldɑ:손에 | ||
| 줄 158: | 줄 159: | ||
| mɛktɛp:학교 + -tɛ:LOC -> mɛktɛptɛ:학교에(서) | mɛktɛp:학교 + -tɛ:LOC -> mɛktɛptɛ:학교에(서) | ||
| - | - 탈격의 예 | + | ##### 탈격의 예 |
| qol:손 + -dɑn:DAT -> qoldɑn:손에서 | qol:손 + -dɑn:DAT -> qoldɑn:손에서 | ||
| 줄 174: | 줄 175: | ||
| - 많은 젊은 사람들이 비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nɑn/-nɛn를 대신 -dɑn/dɛn를 사용한다. | - 많은 젊은 사람들이 비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nɑn/-nɛn를 대신 -dɑn/dɛn를 사용한다. | ||
| - | ####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가 다시 격 변화가 일어날 경우 일반 명사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 + | ####1)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의 격변화 |
| - | #####① 1, 2인칭 단수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가 여격 표지를 취할 경우, -ʁɑ/-qa/-gɛ/-kɛ의 자음을 탈락시키고 자음 뒤의 오는 모음 -ɑ/ɛ만 취한다. | + | -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가 다시 격 변화가 일어날 경우 일반 명사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
| - | 예: mɛktɛp:학교 + -ɨŋ:2SG.POSS + -ɛ: DAT -> mɛktɛbɨŋɛ: 너의 학교에 | + | - 1, 2인칭 단수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가 여격 표지를 취할 경우, -ʁɑ/-qa/-gɛ/-kɛ의 자음을 탈락시키고 자음 뒤의 오는 모음 -ɑ/ɛ만 취한다. |
| - | #####② 3인칭 단수/복수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는 여격 표지를 취하기 전에 그의 뒤에 -n를 부가한 다음에 여격 표지의 자음 -ɑ/ɛ를 부가한다. | + | 예: mɛktɛp:학교 + -ɨŋ:2SG.POSS + -ɛ: DAT -> mɛktɛbɨŋɛ: 너의 학교에 |
| - | 예: mɛktɛp:학교 + -ɨ: 3SG.POSS/3PL.POSS + -n + -ɛ:DAT -> mɛktɛbɨnɛ: 너의(너희)들의 학교에 | + | - 3인칭 단수/복수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는 여격 표지를 취하기 전에 그의 뒤에 -n를 부가한 다음에 여격 표지의 자음 -ɑ/ɛ를 부가한다. |
| - | #####③ 3인칭 단수/복수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는 대격 표지를 취할 때 -nə/nɨ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n를 취한 것이다. | + | 예: mɛktɛp:학교 + -ɨ: 3SG.POSS/3PL.POSS + -n + -ɛ:DAT -> mɛktɛbɨnɛ: 너의(너희)들의 학교에 |
| - | 예: mɛktɛp:학교 + -ɨ: 3SG.POSS/3PL.POSS + -n: ACC -> mɛktɛbɨn: 그(들)의 학교를 | + | - 3인칭 단수/복수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는 대격 표지를 취할 때 -nə/nɨ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n를 취한 것이다. |
| - | #####④ 3인칭 단수/복수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는 처격/탈격 표지와 결합하기 전에도 우선 -n와 결합한 다음 -dɑ/dɛ(처격 표지)와 nan/nɛn/-dan/dɛn(탈격 표지)를 결합한다. | + | 예: mɛktɛp:학교 + -ɨ: 3SG.POSS/3PL.POSS + -n: ACC -> mɛktɛbɨn: 그(들)의 학교를 |
| - | 예: mɛktɛp:학교 + -ɨ: 3SG.POSS/3PL.POSS + -n + -dɛ: DAT -> mɛktɛbɨndɛ: 그(들)의 학교에 | + | - 3인칭 단수/복수 소유 표지를 가진 명사는 처격/탈격 표지와 결합하기 전에도 우선 -n와 결합한 다음 -dɑ/dɛ(처격 표지)와 nan/nɛn/-dan/dɛn(탈격 표지)를 결합한다. |
| + | mɛktɛp:학교 + -ɨ: 3SG.POSS/3PL.POSS + -n + -dɛ: DAT -> mɛktɛbɨndɛ: 그(들)의 학교에 | ||
| + | | ||
| mɛktɛp:학교 + -ɨ: 3SG.POSS/3PL.POSS + -n + -nɛn: ABL -> mɛktɛbɨnnɛn: 그(들)의 학교에서(로부터) | mɛktɛp:학교 + -ɨ: 3SG.POSS/3PL.POSS + -n + -nɛn: ABL -> mɛktɛbɨnnɛn: 그(들)의 학교에서(로부터) | ||
| - | ### 격이 나타내는 의미: | + | #### 2) 각 격의 의미 |
| - | ####1)주격 | + | : |
| - | - 주격은 행동 또는 상태의 주체, 또는 기술되는 대상을 나타낸다. | + | #### (1) 주격 |
| + | |||
| + | - 주격은 행동 또는 상태의 주체, 또는 기술되는 대상을 나타낸다. | ||
| {{{eg>tata1255 (chenzongzhen2008:547) | {{{eg>tata1255 (chenzongzhen2008:547) | ||
| ɛtij-ɨ ɛlɨ kil-mɛ-dɨ. | ɛtij-ɨ ɛlɨ kil-mɛ-dɨ. | ||
| 줄 211: | 줄 217: | ||
| ####3) 여격 | ####3) 여격 | ||
| - | - 행동의 방향, 대상, 목적, 한계, 정도 등을 나타낸다. | + | |
| + | - 행동의 방향, 대상, 목적, 한계, 정도 등을 나타낸다. | ||
| {{{eg>tata1255 (chenzongzhen2008:547) | {{{eg>tata1255 (chenzongzhen2008:547) | ||
| min ɡyl-ɡɛ sy byrk-tɨ-m. | min ɡyl-ɡɛ sy byrk-tɨ-m. | ||
| 줄 219: | 줄 227: | ||
| {{{eg>tata1255 (chenzongzhen2008:547) | {{{eg>tata1255 (chenzongzhen2008:547) | ||
| min kɨr-nɨ hɛnifɛ-ɡɛ juw-dər-də-m. | min kɨr-nɨ hɛnifɛ-ɡɛ juw-dər-də-m. | ||
| - | 1SG dirty.thing-ACC hainifa-DAT wash-CAUSE-PST-1SG | + | 1SG dirty.thing-ACC hainifa-DAT wash-CAUS-PST-1SG |
| - | 나는 옷을 海尼法에게 옷을 빨게 했어. | + | 나는 옷을 하이니파(사람 이름, 海尼法)에게 옷을 빨게 했어.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