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tholo:1_phonology:11_cons:11_cons [2019/12/09 22:53] 127.0.0.1 바깥 편집 |
doc:tholo:1_phonology:11_cons:11_cons [2020/02/08 16:10] (현재) 최소연 |
||
|---|---|---|---|
| 줄 1: | 줄 1: | ||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 |||
| + | - 탕랑어에는 총 39개의 자음이 있다. | ||
| + | |||
| + | | bilabial | stop | p pʰ b | | ||
| + | | bilabial| nasal | m | | ||
| + | | labiodental | non-sibilant fricative | f v | | ||
| + | | alveolar | stop | t tʰ d | | ||
| + | | alveolar | nasal | n | | ||
| + |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l | | ||
| + | | alveolar | sibilant affricate | ts tsʰ dz | | ||
| + | | alveolar | sibilant fricative | s z | | ||
| + | | retroflex | sibilant affricate| tʂ tʂʰ dʐ | | ||
| + | | retroflex | sibilant fricative| ʂ ʐ | | ||
| + | | alveolo-palatal | sibilant affricate | ʨ ʨʰ ʥ | | ||
| + | | alveolo-palatal | nasal | ȵ | | ||
| + | | alveolo-palatal | fricative | ɕ ʑ | | ||
| + | | velar | stop | k kʰ g | | ||
| + | | velar | nasal | ŋ | | ||
| + | | velar | non-sibilant fricative | x ɣ | | ||
| + | | uvular | stop | q qʰ G | | ||
| + | | uvular | nasal | ɴ | | ||
| + | | uvular | non-sibilant fricative | χ ʁ | | ||
| + | |||
| + | |||
| + | |||
| + | - 이 외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 앞에 후두 폐쇄음 ʔ가 있는데 단어 의미를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 표기에서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 ||
| + | - 접근음 ɹ이 음절말에만 나타나고 치경 접근 수반음으로 나타난다(모음의 儿化현상). | ||
| + | - 치경음 t, tʰ, d, n, l이 뒤에 o, u, uɹ, ɯ가 오면 권설음 ʈ, ʈʰ, ɖ, ɳ, ɭ로 발음된다. | ||
| + | - 연구개음 k류 자음들이 뒤에 모음 i나 i로 시작하는 운모가 올 때 연구개음의 음가가 경구개음 c류 자음에 가깝게 된다. | ||
| + | - ɴ̩, ɴ̥는 성절음 비음인데 몇 개의 단어만 있기 때문에 여기서 이들을 부속적 자음 성절음으로 처리한다. | ||
| + | |||
| + | {{{lex>tang1372 (gaixingzhi2007:367) | ||
| + | |||
| + | - ɴ̩⁵³ : 응(감탄사) | ||
| + | - ɴ̩⁵⁵ : 붙다 | ||
| + | - ɴ̥³³: 빠지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