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tholo:8_lexicology:82_wform:wform_deriv [2019/12/09 22:53] 127.0.0.1 바깥 편집 |
doc:tholo:8_lexicology:82_wform:wform_deriv [2020/02/08 16:47] (현재) 최소연 |
||
|---|---|---|---|
| 줄 1: | 줄 1: | ||
| ##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 ##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 ||
| + | |||
| + | - 어근에 접두사, 접미사가 붙어 새로운 단어를 파생시킨다. | ||
| + | |||
| + | ### (1) 접두사 | ||
| + | |||
| + | - 탕랑어에서 접두사가 발달하지 않고 ‘a³³(a⁵⁵, a⁴²)’와 ‘pi⁵³’만 있다. | ||
| + | |||
| + | ##### a³³(a⁵⁵, a⁴²) | ||
| + | |||
| + | - 소수의 명사, 대명사, 형용사, 부사 앞에 올 수 있다. | ||
| + | |||
| + | {{{lex>tang1372 (gaixingzhi2007:370) | ||
| + | |||
| + | - a³³ȵi⁵⁵ : 고양이 | ||
| + | - a³³za³³ : 느리다 | ||
| + | - a⁵⁵dʐɿ³¹ : 진짜 | ||
| + | - a⁴²dʐɿ³¹ : 아주 | ||
| + | |||
| + | }}} | ||
| + | |||
| + | ##### pi⁵³ | ||
| + | |||
| + | - 소수의 동사 앞에 올 수 있다. | ||
| + | |||
| + | {{{lex>tang1372 (gaixingzhi2007:370) | ||
| + | |||
| + | - pi⁵³tʂʰɿ⁵³ : 썩다 | ||
| + | - pi⁵³tʂʰʌ³³ : 파괴하다 | ||
| + | - pi⁵³tʂʰa³³ : 틀리다 | ||
| + | |||
| + | }}} | ||
| + | |||
| + | ### (2) 접미사 | ||
| + | |||
| + | - 접미사에는 ‘za³³’, ‘dɯ³¹’, ‘mi³¹’ 총 3개가 있다. | ||
| + | |||
| + | ##### za³³ | ||
| + | |||
| + | - 지소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 ||
| + | |||
| + | {{{lex>tang1372 (gaixingzhi2007:370) | ||
| + | |||
| + | - ve⁴²za³³ : 작은 돼지 | ||
| + | - mɤɹ⁵³za³³ : 작은 말 | ||
| + | - mi³¹za³³ : 작은 솥 | ||
| + | |||
| + | }}} | ||
| + | |||
| + | ##### dɯ³¹ | ||
| + | |||
| + | - 중국어의 ‘的’과 같으며 의미는 관형사형 ‘-는/은 것’에 해당되고 명사를 파생시킨다. | ||
| + | |||
| + | {{{lex>tang1372 (gaixingzhi2007:370) | ||
| + | |||
| + | - ɢuʌ³³dɯ³¹ : 입는 것 | ||
| + | - χa³³dɯ³¹ : 원두막(지키는 곳) | ||
| + | }}} | ||
| + | |||
| + | ##### mi³¹ | ||
| + | |||
| + | -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이고 많이 쓰이지 않는다. | ||
| + | |||
| + | {{{lex>tang1372 (gaixingzhi2007:370) | ||
| + | |||
| + | - na³¹dʐɿ⁵⁵mi³¹ : 병원(병 봐주는 곳)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