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tsangla:2_wordclass:27_num:27_num [2016/12/10 17:45] 127.0.0.1 바깥 편집 |
doc:tsangla:2_wordclass:27_num:27_num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0%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100% : |
| + | |||
| + | ## 기수사 | ||
| + | |||
| + | 1부터 19까지 모두 기수사로 표시된다. 창라문바어에서 20은 주로 분류사로 사용되고 기수사로 사용되지 않는다. 기수사 20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k‘ai55t‘or55 (하나 이십)으로 사용해야 한다. 11~19중의 십은 se55이지만 soŋ55로 읽어야 한다. | ||
| + | |||
| + | |||
| + | t‘or55 일 | ||
| + | |||
| + | ȵik13tsiŋ55 이 | ||
| + | |||
| + | sam55 삼 | ||
| + | |||
| + | p‘i55 사 | ||
| + | |||
| + | ŋa55 오 | ||
| + | |||
| + | k‘uŋ55 육 | ||
| + | |||
| + | sum13 칙 | ||
| + | |||
| + | jen13 팔 | ||
| + | |||
| + | ku13 구 | ||
| + | |||
| + | se55 십 | ||
| + | |||
| + | song55t‘or55 십일 | ||
| + | |||
| + | soŋ55ȵik13tsiŋ55 십이 | ||
| + | |||
| + | soŋ55sam55 십삼 | ||
| + | |||
| + | soŋ55p‘i55 십사 | ||
| + | |||
| + | soŋ55ŋa55 십오 | ||
| + | |||
| + | soŋ55k‘uŋ55 십육 | ||
| + | |||
| + | soŋ55sum13 십칠 | ||
| + | |||
| + | soŋ55jen13 십팔 | ||
| + | |||
| + | soŋku13 십구 | ||
| + | |||
| + | |||
| + | |||
| + | 20이상의 수는 20의 배수로 센다. 20의 배수가 아닌 것은 20의 배수와 남은 수를 같이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taŋ13 '와/과'는 생략 가능하다. | ||
| + | |||
| + | k‘ai55 ȵik13tsiŋ55 사십 (이십 두 개) | ||
| + | 이십 이 | ||
| + | |||
| + | |||
| + | k‘ai55 t‘or55 taŋ(13) ȵik13tsiŋ55 이십이 (이십 하나와 이) | ||
| + | 이십 일 과 이 | ||
| + | |||
| + | |||
| + | k‘ai55 ȵik13tsiŋ55 taŋ(13) se55 오십 (이십 두 개와 십) | ||
| + | 이십 이 과 십 | ||
| + | |||
| + | |||
| + | ## 서수사 | ||
| + | |||
| + | 창라문바어의 서수사는 모두 티베트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 ||
| + | |||
| + | taŋ13pa55 제일 | ||
| + | |||
| + | ȵi55pa55 제이 | ||
| + | |||
| + | sum55pa55 제삼 | ||
| + | |||
| + | ɕi13pa55 제사 | ||
| + | |||
| + | ŋa55pa55 제오 | ||
| + | |||
| + | tʂuk13pa55 제육 | ||
| + | |||
| + | tun13pa55 제칠 | ||
| + | |||
| + | tɕe13pa55 제팔 | ||
| + | |||
| + | ku13pa55 제구 | ||
| + | |||
| + | tɕu55pa55 제십 | ||
| + | |||
| + | |||
| + | 의미의 차이는 없지만 일부 서수사는 앞에 접두사 aŋ55-를 붙여야 한다. la13ȵi13taŋ13pa55 '1월'같은 달수를 표시하는 경우는 접두사를 붙이면 안 되지만 등수를 나타낼 때는 접두사를 붙여야만 한다.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46) | ||
| + | jaŋ13t‘en55 tɕaŋ13 aŋ55taŋ13pa55 ki13la13 | ||
| + | last.year 1SG first COP | ||
| + | 작년에 내가 일등이다. | ||
| + | }}} | ||
| + | |||
| + | |||
| + | ## 어림수 | ||
| + | |||
| + | 어떤 수에 근접한 경우를 나타내고자 할 경우 동사 ɕek55 '도착하다'를 사용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46) | ||
| + | om55 tɕ‘u55tse55 tun13pa55 ɕek55 la | ||
| + | now clock seven arrive PTCL | ||
| + | 지금 7시가 되어간다. | ||
| + | }}} | ||
| + | |||
| + | |||
| + | 어떤 수를 조금 넘은 경우에는 형용사 saŋ13kin '조금 많다'를 사용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46) | ||
| + | u55ȵu13 pu13tɕ‘i55la mi13 t‘or55 saŋ13kin la13 | ||
| + | that snake CL one more EXIST | ||
| + | 그 뱀은 한 뼘 넘게 길다. | ||
| + | }}} | ||
| + | |||
| + | ### 어떤 수 '좌우'를 나타내는 방법은 아래 세 가지가 있는데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
| + | |||
| + | (1) 접미사 –p‘aŋ55를 추가한다. | ||
| + | |||
| + | (2) 근접한 두 수를 사용한다. | ||
| + | |||
| + | (3) 수사 뒤에 형용사 tap13tur55 '좌우'를 사용한다. | ||
| + | |||
| + | 방법(1)과 (2)를 함께 사용한 경우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46) | ||
| + | nan13 ki(13) tɕaŋ13 ka(13) jin55tɕa55 tɕa13ma13 sam55p‘aŋ55 p‘i55p‘aŋ55 ŋon13 ke13 | ||
| + | 2SG PTCL 1SG PTCL salt CL three four buy FP | ||
| + | 나에게 서너 근 소금을 사다 줘. | ||
| + | }}} | ||
| + | |||
| + | 방법(1)과 (3)을 함계 사용한 경우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46) | ||
| + | rok13te55pa(13) ki tɕ‘on55top13ȵi lar55tsi55 se55p‘aŋ55 tap13tur55 tsoŋ55ma | ||
| + | 3PL PTCL all musk ten or.so buy | ||
| + | 그들은 모두 열몇개 사향을 사왔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