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tsangla:4_ss:48_tame:tame_aspect [2016/12/10 17:45] 127.0.0.1 바깥 편집 |
doc:tsangla:4_ss:48_tame:tame_aspect [2020/10/15 11:40] (현재) 박성하 [미래 진행상] |
||
|---|---|---|---|
| 줄 1: | 줄 1: | ||
| - | ## tame_aspect : 상 (aspect) : 0% : | + | ## tame_aspect : 상 (aspect) : 100% : |
| + | |||
| + | |||
| + | ## 진행상 | ||
| + | tɕa55, la, tɕa55ka55로 진행 의미를 나타낸다. tɕa55ka55는 잘 사용하지 않고 주로 tɕa55와 la를 사용한다. | ||
| + | |||
| + | ### tɕa55 | ||
| + | 앞의 동사가 a, I, u, e, o로 끝날 경우 tɕa55를 추가하게 되면 동사에 비음 –n을 추가해야 한다. 아래 동사 하다는 원래 a55이나 진행상 표지 tɕa55가 뒤따르게 되어 an55로 실현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66) | ||
| + | nan13 haŋ55 an55 tɕa55 ja | ||
| + | 2SG what do PROG Q | ||
| + | 너 뭐하고 있어? | ||
| + | }}} | ||
| + | |||
| + | |||
| + | tɕa55는 자주 어떠한 상태에 처해 있다는 의미(습관상, 빈번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66) | ||
| + | roˀ13 ɕo so55nam13waŋ55mu13 jek13 tɕa55 | ||
| + | 2SG PTCL SuonaWangmu.PR say PROG | ||
| + | 그녀의 이름은 소나왕무이다. | ||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66) | ||
| + | ai55pa(13) tɕ‘am55tɕ‘am55 ka(13) lo55ne13 kot13pe55 ten13 tɕa55 | ||
| + | 1PL occasionally PTCL film watch go PROG | ||
| + | 우리는 가끔 영화를 보러 간다. | ||
| + | }}} | ||
| + | |||
| + | 부정문은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동사 앞에 부정 접두사 ma13-를 추가하거나 tɕa55의 부정형식 man13tɕa55를 사용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67) | ||
| + | tɕaŋ13 k‘a55muŋ13 ma13-sik13 tɕa55 | ||
| + | 1SG cloth NEG-wash PROG | ||
| + | 나는 옷을 씻지 않았다. | ||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67) | ||
| + | roˀ13 ji13ki13 sen55 man13tɕa55 | ||
| + | 3SG word know PROG.NEG | ||
| + | 그는 글을 모른다. | ||
| + | }}} | ||
| + | |||
| + | |||
| + | ### la | ||
| + | la 앞의 동사가 a, i, u, e, o로 끝날 경우 동사에 비음 n을 추가해야 한다. tɕa55는 화자가 잘 알고 있는 상황에 쓰이지만 새로 알게 된 상황에는 la를 사용해야 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67) | ||
| + | t‘i55noŋ13 joŋ13k‘e55wa sop55 la | ||
| + | today very hot PROG | ||
| + | 오늘 무척 덥네. | ||
| + | }}} | ||
| + | |||
| + | 부정문은 la의 부정형식 ma13la13를 사용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68) | ||
| + | roˀ13 ka a55ma13 ki(13) roˀ13 kot13pe55 t‘un55 ma13-la13 | ||
| + | 3SG PTCL mother PTCL 3SG look agree NEG-PROG | ||
| + | 그의 어머니는 그가 보는 것을 동의하지 않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임박상 | ||
| + | |||
| + | 동사 뒤에 접미사 –pe55, -p‘e55, -pe13, -me13를 추가하여 동작이 곧 시작함을 나타낸다. 동사의 끝음에 따라 사용하는 접미사가 갈리는데 규칙을 제시하면 아래 표와 같다. | ||
| + | |||
| + | | 동사 끝음 | -k | -ŋ | -t | -n | -p | -m | -s | -r | 모음 | | ||
| + | |사용 접미사 | -pe55 | -pe55, -me13 | -pe55 | -pe55 ,-me13 | (동사 끝음 –p 탈락후) -p‘e55 | -pe55, (동사 끝음 –m 탈락후)-me13 | -pe55 | -pe55, -pe13 | -pe55, -pe13, -le13 | | ||
| + | |||
| + | 동사 u55'오다'는 모음으로 끝났지만 접미사 –p‘e55를 취한다. 원래는 up55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대 창라문바어에서는 '오다'가 up55로 출현한 경우가 없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0) | ||
| + | roˀ13 o55ma13 raŋ ɕek55pe55 | ||
| + | 3SG now PTCL arrive.IMM | ||
| + | 그는 곧 도착할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임박상도 가끔은 자주 일어나는 일에 쓰여 습관상적인 해석을 낳을 수 있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1) | ||
| + | tɕaŋ13 p‘ar55tɕoŋ55ma raŋ u55p‘e55 | ||
| + | 1SG usually PTCL come.IMM | ||
| + | 나는 자주 온다. | ||
| + | }}} | ||
| + | |||
| + | |||
| + | 임박상의 부정은 동사 앞에 부정 접두사 ma13-를 추가한다. 또한 예정상을 나타내는 접미사의 e는 모두 a로 변한다. 즉 부정문의 예정상 표지는 –pa55, -p‘a55, -pa13, -ma13, -la13이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1) | ||
| + | leŋ13 te13 ȵi55la roˀ13 ma13-kep13p‘a55 | ||
| + | that.way go if 3SG NEG-cry.IMM | ||
| + | 거기로 가면 그는 울지 않을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임박상에 쓰이는 u55'오다'는 동사의 실질 의미 없이 가능성을 표시하기도 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2) | ||
| + | nan13 ɕo tɕaŋ13 ki13 ȵi55la nan13 ki(13) pu(13) o55ȵen13 p‘i55wa u55p‘e55 | ||
| + | 2SG PTCL 1SG COP if 2SG PTCL too that do come.IMM | ||
| + | 너가 나라면 너도 그렇게 했을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미래 진행상 | ||
| + | 동사에 임박상 접미사를 사용하고 진행상 표지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표시한다. 미래 진행상은 어떤 동작이나 상태 등이 미래에 실현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지만 임박상보다는 확정성이 떨어진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2) | ||
| + | t‘i55noŋ13 sop55 ɕi55le13 la | ||
| + | today hot die.IMM PROG | ||
| + | 오늘 더워 죽을 것 같다. | ||
| + | }}} | ||
| + | |||
| + | 부정 형식은 동사에 부정 접두사 ma13-를 붙이거나 진행상표지의 부정형인 man13tɕa55, ma13la13을 사용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3) | ||
| + | t‘i55noŋ13 ŋam13su55 ma13-k‘e55le13 la | ||
| + | today rain NEG-fall.IMM PROG | ||
| + | 오늘은 비가 오지 않을 것 같다. | ||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3) | ||
| + | u55t‘u5 so55lo13 per13-taŋ55sak13pa la13 tɕaŋ13 tɕ‘u55ne ŋam13me13 re13pe13 ma13-la13 | ||
| + | this pepper hot-too EXIST 1SG at.all eat dare NEG-PROG | ||
| + | 이런 고추는 너무 매워서 나는 정말 먹을 수 없다. | ||
| + | }}} | ||
| + | |||
| + | |||
| + | tɕa55를 사용한 미래진행상의 부정형은 존재동사에서 문법화한 표지의 부정형 ma13wa13를 사용할 수 있는데, man13tɕa55나 부정 접두사 ma13-를 사용하는 것보다 경계나 권고의 의미를 담고 있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3) | ||
| + | sa13min13 wak13tsa55 pa(13) t‘a55ma13 tɕ‘u55ne tɕaŋ13pe55 ma13-wa13 | ||
| + | girl child PL cigarette entirely smoke.IMM NEG-PROG | ||
| + | 여자아이들은 절대 담배를 피우지 마라. | ||
| + | }}} | ||
| + | |||
| + | |||
| + | |||
| + | ## 과거시제 | ||
| + | |||
| + | 과거 시제는 동사에 접미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크게 두 가지 계열의 접미사를 사용한다. | ||
| + | |||
| + | ### -pa 계열 | ||
| + | 동사 뒤에 접미사 –pa, -p‘a, -pa(13), -ma, -wa를 추가하여 동작이나 행동이 과거에 있어났음을 나타낸다. 동사 끝음에 따라 붙는 접미사가 다른데,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
| + | |||
| + | | 동사 끝음 | -k | -ŋ | -t | -n | -p | -m | -s | -r | 모음 | | ||
| + | | 접미사 | -pa | -pa, -ma | -pa | -pa, -ma | (동사 끝음 –p 탈락후)-p‘a | -pa, (동사 끝음 –m 탈락후)-ma | -pa | -pa, -pa(13) | -pa, -pa(13), -wa |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5) | ||
| + | ai55pa(13) roˀ1 3ka wun13 t‘or55 noŋ13ma | ||
| + | 1PL 3SG PTCL forenoon one wait.PST | ||
| + | 우리는 온 오전 그를 기다렸다. | ||
| + | }}} | ||
| + | |||
| + | |||
| + | ### –tɕi55 계열 | ||
| + | 이 외에도 접미사 –tɕi55, -ɕi를 붙여 과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동사 끝음에 따른 접미사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 ||
| + | |||
| + | | 동사 끝음 | -k | -ŋ | -t | -n | -p | -m | -s | -r | 모음 | | ||
| + | | 접미사 | –tɕi55 | –tɕi55, -ɕi | –tɕi55 | –tɕi55, -ɕi | –tɕi55 | –tɕi55, -ɕi | –tɕi55 | –tɕi55, -ɕi | (동사 끝에 -n추가후)–tɕi55, (동사 끝에 -n추가후)-ɕi |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0) | ||
| + | mo13tʂa55 t‘em55tɕi55 | ||
| + | car stop.PST | ||
| + | 차가 섰다. | ||
| + | }}} | ||
| + | |||
| + | |||
| + | |||
| + | ### 두계열의 차이 | ||
| + | |||
| + | -pa계열은 자주적인 행동에 사용되고, –tɕi55계열은 자주적이지 않은 행동에 사용된다. 따라서 –pa계열은 1인칭(2인칭 의문문) 자주적인 행위의 문장에 자주 사용되고, –tɕi55계열은 1인칭 자주적이지 않은 문장 및 2인칭, 3인칭 문장에 자주 쓰인다. 단 –pa는 자주적인지 않는 문장에도 쓰이는데 이때는 화자가 발화하는 문장에 확신을 가지고 말함을 나타낸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7) | ||
| + | tʂa55ɕi55 mo13? roˀ13 ha55la13ɕa ɕi55wa ka(13) | ||
| + | ZhaXi.PR Q 3SG already die.PST PTCL | ||
| + | 자시? 그는 이미 죽었어. | ||
| + | }}} | ||
| + | |||
| + | |||
| + | ### 과거 시제의 부정 형식 | ||
| + | |||
| + | –tɕi계열의 부정은 동사에 부정 접두사 ma13-를 추가한다. | ||
| + | |||
| + | |||
| + | roˀ13 ma13-lin55tɕi55 roˀ13 tɕoŋ13tɕoŋ13ma p‘in55ɕi | ||
| + | 3SG NEG-jump.PST 3SG run do | ||
| + | 그는 뛰어내린 것이 아니라 뛴 것이다. | ||
| + | |||
| + | |||
| + | -pa계열의 부정도 동사에 부정 접두사 ma13-를 취해야 하지만 이는 임박상의 부정형식과 같아지기 때문에 –pa계열의 부정문도 주로 –tɕi의 부정형식을 사용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9) | ||
| + | ko13ma13 la13ȵi13 ka ai55pa(13) lam13 ma13-saŋ13ɕi, ts‘iŋ55ŋa la13ȵi13 ka(13) ai55pa(13) pu(13) lam13 ma13-saŋ13ma | ||
| + | last month PTCL 1PL road NEG-repair.PST next month PTCL 1PL too road NEG-repair.IMM | ||
| + | 지난 달 우리는 도로 정비를 하지 않았고 다음 달에도 도로 정비를 하지 않을 것이다. | ||
| + | }}} | ||
| + | |||
| + | -pa계열의 부정도 임박상의 부정형식과 헷갈리지 않는 경우에는 ma13-를 취해 부정하기도 한다. 문장에 과거임을 밝히는 부사어가 있거나 선행절에서 이미 과거에 일어난 일임을 밝혔을 경우 ma13-로 과거시제 부정을 할 수 있다. 또한 -wa로 끝나는 동사의 임박상 부정형식은 'ma13+어근+la13'이기 때문에 과거시제의 부정형식인 'ma13+어근+wa'와 헷갈리지 않기에 이 경우도 부정 접두사로 부정문을 만들 수 있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9) | ||
| + | tɕaŋ13 to55 ma13-sa13wa | ||
| + | 1SG food NEG-eat.PST | ||
| + | 나는 밥을 먹지 않았다. | ||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79) | ||
| + | tɕaŋ13 to55 ma13-sa13la13 | ||
| + | 1SG food NEG-eat.IMM | ||
| + | 나는 밥을 먹지 않을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결과상 | ||
| + | |||
| + | 결과상은 동사에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접미사 –pa, -p‘a, -pa(13), -ma, -wa를 추가한 후 진행상 표지 tɕa55, tɕa55ka55를 함께 사용하여 어떤 동작의 결과가 존재하거나 지속됨을 나타낸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81) | ||
| + | tɕaŋ13 jor13toŋ55 ka(13) tɕ‘o55wa tɕa55 | ||
| + | 1SG YueErDong.PR PTCL live.PST PROG | ||
| + | 나는 월동에 살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부정문은 동사나 진행상 표지에 부정 접두사 ma13-를 붙이면 된다. tɕa55의 부정형은 man13tɕa55로 비음이 추가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82) | ||
| + | roˀ13 o55ma13 pu(13) ma13-te13wa tɕa55 | ||
| + | 3SG now too NEG-go.PST PROG | ||
| + | 그는 아직 가지 않았다. | ||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82) | ||
| + | tɕaŋ13 sa55 t‘uŋ55 ŋa tɕ‘o55wa man13tɕa55 | ||
| + | 1SG floor on PTCL sit PROG.NEG | ||
| + | 나는 바닥에 앉아있지 않았다. | ||
| + | }}} | ||
| + | |||
| + | |||
| + | 새로 알게 된 상황일 경우 진행상 표지는 la를 사용한다. 부정 형식은 동사나 la에 부정 접두사 ma13-를 추가한다.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82) | ||
| + | nan13 ɕup55taŋ55 ɕo55wa la t13sok13 p‘ak55tɕo55 | ||
| + | 2SG sweat excrete.PST PROG quickly wipe | ||
| + | 너 땀나네, 빨리 닦아. | ||
| + | }}} | ||
| + | |||
| + | {{{eg>tsha1245 (zhangjichuan1987:82) | ||
| + | tɕaŋ13 i55ȵiŋ13 u55p‘a nan13 tɕ‘o55wa ma13-la13 | ||
| + | 1SG yester come.PST 2SG EXIST.PST NEG-PROG | ||
| + | 내가 어제 왔는데 네가 없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