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tsangla:9_etc:91_borrowing:91_borrowing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tsangla:9_etc:91_borrowing:91_borrowing [2016/12/10 17:45]
127.0.0.1 바깥 편집
doc:tsangla:9_etc:91_borrowing:91_borrowing [2018/06/25 08:56] (현재)
줄 1: 줄 1: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 0% :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 100% :  
 + 
 + 
 +창라문바어에는 티베트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은데, 아주 이른 시기부터 차용이 이루어져서 일부 음운은 현대 티베트어에서도 잘 사용하지 않는 고대 티베트어의 음운이 반영되어 있다. pr-, p'r-, br- 등 자음은 고대 티베트어에서는 사용되었으나 현대 티베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창라문바어에는 이런 자음들이 있다. 
 + 
 +praŋ55pu55 가난뱅이 
 + 
 +p'​reŋ55ŋa13 염주 
 + 
 + 
 +고대 티베트어의 유성자음은 현대어로 오면서 모두 무성음으로 되었지만 창라문바어의 일부 티베트어 차용어는 고대 티베트어 차용시의 유성음을 그대로 보류하고 있다. 
 + 
 +창라문바어:​ buŋ13ku55 ​ 당나귀 
 + 
 +티베트문자:​ bong-bu 
 + 
 +라싸티베트어:​ p’uŋ13ku53 
 + 
 + 
 +고대 티베트어에는 –g, -b, -ŋ, -n, -m, -r뿐만 아니라 –d, -s, -l등 운미도 있었지만 지금 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티베트어의 대부분 방언에서 –s가 사라지고 –t(무성음 –d)도 安多방언 등 소수 지방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창라문바어의 티베트어 차용어에서는 –t와 –s를 아직 보류하고 있다. 
 + 
 +창라문바어:​ nat13pa55 환자 
 + 
 +티베트문자:​ nad-pa 
 + 
 +라싸티베트어:​ nɛˀ13pa53
  
  
doc/tsangla/9_etc/91_borrowing/91_borrowing.148135953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01 05:40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