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tujia:1_phonology:11_cons:11_cons [2016/12/10 17:45] 127.0.0.1 바깥 편집 |
doc:tujia:1_phonology:11_cons:11_cons [2021/08/25 15:52] (현재) 김나연 |
||
|---|---|---|---|
| 줄 1: | 줄 1: | ||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0% :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 토가어에는 자음이 21개 있다. 자음체계를 표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 | ||
| + | |||
| + | | 조음위치/조음방법| 무기파열음 | 유기파열음 | 비음 | 설측음 | 무기파찰음 | 유기파찰음 | 무성마찰음 | 유성마찰음 | 반모음 | | ||
| + | | 양순음 | p | ph | m | | | | | | w | | ||
| + | | 치음 | | | | | ts | tsh | s | z | | | ||
| + | | 전경구개음 | | | ȵ | | tɕ | tɕh | ɕ | | j | | ||
| + | | 치조음 | t | th | (n) | l | | | | | | | ||
| + | | 설근음 | k | kh | ŋ | | | | x | Ɣ | | | ||
| + | |||
| + | |||
| + | |||
| + | 추가 설명: | ||
| + | |||
| + | - 파열음과 파찰음은 무성음만 있고 유성음은 없지만 음운과정에서 흔히 유성음으로 되는 현상이 있다. | ||
| + | - l과 n은 자유로 넘나들기(自由变读)되기 때문에 l을 대표음으로 한다. | ||
| + | - ȵ은 i과 i로 시작된 복모음 또는 비음화된 운모와 결합한다. | ||
| + | - x와 u, x와 u로 시작된 복모음이 결합하면 어느정도 유기음으로 된다. | ||
| + | - 모음으로만 한 음절을 이룰 경우 앞에 성문파열음(ʔ)이 동반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