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ujia: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tujia: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 [2016/12/22 14:07]
이민
doc:tujia: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 [2018/06/25 08:56] (현재)
줄 3: 줄 3:
 토가어에는 단어음변과 문장음변 두 가지가 있는데, 합성어와 같은 단어 내부에 음운변화가 생기는 경우를 단어음변이라고 하고, 문장의 각 성분사에서 생기는 음운변화를 문장음변이라고 한다. 토가어에는 단어음변과 문장음변 두 가지가 있는데, 합성어와 같은 단어 내부에 음운변화가 생기는 경우를 단어음변이라고 하고, 문장의 각 성분사에서 생기는 음운변화를 문장음변이라고 한다.
  
-1. 단어음변 +###1. 단어음변 
-(1) 합성어에서 앞음절이 모음, 반비음으로 끝나고 뒤의 음절이 무성파열음(清塞音),무성파찰음(清塞擦音)일 경우, 뒤의 음절이 앞음절의 영향으로 약한 유성파열음(弱浊塞音),유성파찰음(浊塞擦音)으로 순행동화된다.+####(1) 합성어에서 앞음절이 모음, 반비음으로 끝나고 뒤의 음절이 무성파열음(清塞音),무성파찰음(清塞擦音)일 경우, 뒤의 음절이 앞음절의 영향으로 약한 유성파열음(弱浊塞音),유성파찰음(浊塞擦音)으로 순행동화된다.
 lo55pi21 /lo55 p̬i21/ 아들 lo55pi21 /lo55 p̬i21/ 아들
 toŋ21ka35 /​toŋ21k̬a35/​ 구멍 toŋ21ka35 /​toŋ21k̬a35/​ 구멍
  
-(2) 다음절어에서 고평조인 55조가 연속으로 오게 될 경우, 마지막 음절은 33조로 된다.+####(2) 다음절어에서 고평조인 55조가 연속으로 오게 될 경우, 마지막 음절은 33조로 된다.
 mi55  ma55 /​mi55mi55~33/ ​ 벌 mi55  ma55 /​mi55mi55~33/ ​ 벌
 sa55lie55si55 /​sa55lie55si55~33/​ 자두 sa55lie55si55 /​sa55lie55si55~33/​ 자두
  
-(3) 다음절 단어에서,​ 擦音 s 와 자연모음 ɿ로 구성된 음절이 중복될 경우, 한 음절이 탈락하고 음이 길어지거나 두 번째 음절이 浊化된다. ​+####(3) 다음절 단어에서,​ 擦音 s 와 자연모음 ɿ로 구성된 음절이 중복될 경우, 한 음절이 탈락하고 음이 길어지거나 두 번째 음절이 浊化된다. ​
 si55si55 /sɿ55:/ /​sɿ55zɿ55/​ 치아 si55si55 /sɿ55:/ /​sɿ55zɿ55/​ 치아
 si55si55pu21li21 /sɿ55 zɿ55 pu21 li21/ 별 si55si55pu21li21 /sɿ55 zɿ55 pu21 li21/ 별
줄 18: 줄 18:
  
  
-2. 문장음변 +###2. 문장음변 
-(1) 모음으로만 구성된 한 음절이 앞음절의 운미 –i, -u의 영향을 받아 반모음 j, w를 추가하게 된다.+####(1) 모음으로만 구성된 한 음절이 앞음절의 운미 –i, -u의 영향을 받아 반모음 j, w를 추가하게 된다.
 thai35 ​ a55 → thai35 ja55 아니야! thai35 ​ a55 → thai35 ja55 아니야!
  
-(2) 모음으로만 구성된 한 음절이 앞음절 반비음의 영향으로 성모 ŋ-을 추가하게 된다.+####(2) 모음으로만 구성된 한 음절이 앞음절 반비음의 영향으로 성모 ŋ-을 추가하게 된다.
 ɣoŋ55 a55~33 lu21 → ɣoŋ55 ŋa55~33 lu21 빌려갔다. ɣoŋ55 a55~33 lu21 → ɣoŋ55 ŋa55~33 lu21 빌려갔다.
doc/tujia/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148238325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12/22 14:07 저자 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