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tuva: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6/24 16:38] 김희연 [단수의 쓰임] |
doc:tuva: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31 12:40] (현재) 최문정 |
||
---|---|---|---|
줄 1: | 줄 1: | ||
- | # 22_noun : 명사 (noun) : 95% : | + | # 22_noun : 명사 (noun) |
- 명사의 문법 범주: 수, 소유, 격, 지소형 | - 명사의 문법 범주: 수, 소유, 격, 지소형 | ||
- 성 범주는 없다. | - 성 범주는 없다. | ||
- | - 사람 이름과 사람의 직업. нар '누구'에 대한 답 | + | - 사람 이름과 사람의 직업. кым? '누구?', кымнар? '누구(PL)?' 질문에 대한 답 |
- | - 동물, 사물, 현상. ч члер '무엇'에 대한 답 | + | - 동물, 사물, 현상. Чүү? '무엇?' чүүлер '무엇(PL)' 질문에 대한 답 |
- | ### 명사의 수 | + | ### (1) 명사의 수 |
- 단수와 복수가 있다. | - 단수와 복수가 있다. | ||
- | ##### 단수의 쓰임 | + | #### 단수 |
- | ###### 하나 | + | ###### 단수의 쓰임 : 하나 |
- | {{{eg>tuvi240 (sat1966:390) | + | {{{eg>tuvi1240 (sat1966:390) |
- | Хой хураганын эмзирип тур | + | Хой хураган-ын эмзирип тур |
- | 0 0 0 0 | + | sheep lamb.GEN feed stand.AUX |
양 한 마리가 새끼양에게 젖을 먹이고 있다. (Овца кормит ягненка) | 양 한 마리가 새끼양에게 젖을 먹이고 있다. (Овца кормит ягненка) | ||
}}} | }}} | ||
- | ###### 무리 | ||
- | {{{eg>tuvi240 (sat1966:390) | + | ###### 단수의 쓰임 : 무리 |
- | Колхозтуң хою өскен | + | |
- | 0 0 0 | + | {{{eg>tuvi1240 (sat1966:390) |
+ | Колхоз-туң хою өскен | ||
+ | kolkhoz-GEN sheep UNK | ||
콜호즈의 양들이 자랐다. (ru. Овцы колхоза выросли.) | 콜호즈의 양들이 자랐다. (ru. Овцы колхоза выросли.) | ||
}}} | }}} | ||
- | ###### 대표단수 | ||
- | {{{eg>tuvi240 (sat1900:000) | + | |
- | часы чечек оран каастаар | + | ###### 단수의 쓰임 : 대표단수 |
- | 0 0 0 0 | + | |
+ | {{{eg>tuvi1240 (sat2005:122) | ||
+ | часы чечек оран каастаар | ||
+ | spring flower land decorate | ||
봄꽃이 땅을 장식한다. | 봄꽃이 땅을 장식한다. | ||
}}} | }}} | ||
- | {{{eg>tuvi240 (sat1966:390) | + | |
- | Даг белинде хой оъттап чор | + | |
- | 0 0 0 0 0 | + | {{{eg>tuvi1240 (sat1966:390) |
- | 산기슭에서 양을 친다. (ru. У подножия горы пасутся овцы.) | + | Даг белинде хой оъттап чорm |
+ | mountain UNK sheep pasture UNK | ||
+ | 산기슭에서 양들이 풀을 뜯는다. (ru. У подножия горы пасутся овцы.) | ||
}}} | }}} | ||
- | ##### 복수 | ||
- | ###### 복수 표지 -лар/-лер/-нар/-нер/-дар/-дер/-тар/-тер | + | |
+ | #### 복수 | ||
+ | |||
+ | ###### 복수 표지 : -лар/-лер/-нар/-нер/-дар/-дер/-тар/-тер | ||
+ | |||
+ | |||
+ | {{{lex>tuvi1240 (sat2005:122) | ||
- тайга-лар : 타이가들(PL) | - тайга-лар : 타이가들(PL) | ||
- шөл-дер : 들들(PL) | - шөл-дер : 들들(PL) | ||
- балык-тар : 물고기들(PL) | - балык-тар : 물고기들(PL) | ||
+ | |||
+ | }}} | ||
+ | |||
+ | |||
+ | |||
+ | {{{lex>tuvi1240 (sat1966:390) | ||
+ | |||
- хоорай-лар : 도시들(PL) | - хоорай-лар : 도시들(PL) | ||
- ном-нар : 책들(PL) | - ном-нар : 책들(PL) | ||
줄 54: | 줄 72: | ||
- оол-дар : 아이들(PL) | - оол-дар : 아이들(PL) | ||
- | ###### 기수사와 함께 쓸 때는 명사에 복수 접사가 붙지 않는다. | + | }}} |
- | - чеди сылдыс : 7개의 별 | ||
- | - чүс базым : 100보 | ||
+ | ###### 복수의 쓰임 : 기수사와 함께 쓸 때는 명사에 복수 접사가 붙지 않는다. | ||
- | ### 소유 범주 | + | {{{lex>tuvi1240 (sat2005:122) |
- | ##### 소유 접사 | + | - чеди сылдыс : 7개의 별 |
+ | - чүс базым : 100보 | ||
- | | PERSON | SG | PL | | + | }}} |
- | | 1 | -м, -ым/-им/-ум/-үм | -выс/-вис/-вус,-ывыс/-ивис/-увус/-үвүс | | + | |
- | | 2 | -ң, -ың/-иң/-уң/-үң | -ңар/-ңер, -ыңар/-иңер| | + | |
- | | 3 | -ы/-и/-у/-ү, -зы/-зи/-зу/-зү | -ы/-и/-у/-ү, -зы/-зи/-зу/-зү | | + | |
- | | чурт-ум 나의 나라 | чурт-увус 우리의 나라 | | ||
- | | чурт-уң 너의 나라 | чурт-уңар 너희의 나라 | | ||
- | | чурт-у 그의 나라 | чурт-у 그들의 나라 | | ||
- | | тон-ум 나의 외투 | тон-увус 우리의 외투 | | + | ###### 복수의 쓰임 : 복수표지 –lar는 동사의 3인칭 복수형에도 결합한다. |
- | | тон-уң 너의 외투 | тон-уңар 너희의 외투 | | + | |
- | | тон-у 그의 외투 | тон-у 그들의 외투 | | + | |
+ | {{{eg>tuvi1240 (sat1997:387) | ||
+ | Оол-дар чорупкан-нар | ||
+ | Boy-Pl leave-3PL | ||
+ | (남자)애들이 갔다 | ||
+ | }}} | ||
- | ###### 소유접사는 동사의 형동사 형태에 붙어서 인칭 접사의 기능을 한다. | ||
- | {{{eg>tuvi240 (sat1900:000) | ||
- | бис келген-ивис-те | ||
- | 우리가 왔을 때 (ru. когда мы приехали) | + | {{{eg>tuvi1240 (sat1966:390) |
+ | чодураалар үнгей-лер аан | ||
+ | UNK UNK UNK | ||
+ | 귀룽나무들이 자라길 (ru. Пусть растут черемухи) | ||
}}} | }}} | ||
- | {{{eg>tuvi240 (sat1900:000) | ||
- | сээң өөренир-иң-ни дыңнаан мен | ||
- | 나는 들었다. 네가 학교에 다닐 것이라고. (ru. я слышал, что ты пойдешь в школу) | ||
- | }}} | ||
- | ###### 서술적 소유는 다음 접사로 전달된다. -дыы/-дии/-дуу/-дүү, -тыы/-тии/-туу/-түү, -ныы/-нии/-нуу/-нүү; | ||
- | - өөлдуу : 소년에 속한 소년, | + | ### (2) 명사의 격 |
- | - Чоттуу : 초트에 속한 초트 | + | |
- | - хаяны : 바위 | + | |
- | ##### 인칭대명사의 서술적 소유형태 | ||
- | |||
- | | PERSON | SG | PL | | ||
- | | 1 | мээңии 나의 것 | бестии 우리의 것 | | ||
- | | 2 | сээңии 너의 것 | силернии 너희의 것 | | ||
- | | 3 | ооңуу 그의 것 | оларныы 그들의 것 | | ||
- | |||
- | ### 명사의 격 | ||
- | - (sat2005?) 8개의 격: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처소격, 탈격, 향격I, 향격II | + | - (sat2005?) 8개의 격: 주격, 속격, 여격, 대격, 처격, 탈격, 향격I, 향격II |
- (sat1966) 7개의 격 | - (sat1966) 7개의 격 | ||
- 단수와 복수의 격 접사가 같다. | - 단수와 복수의 격 접사가 같다. | ||
- | - 명사 곡용 시. 여격, 처격, 탈격, 향격 3인칭 소유접사를 붙일 때, 격 접사 앞에 삽간사(interfix) -н-가 붙는다. | + | - 명사 곡용 시 3인칭 소유접사와 명사 격 접사가 함께 쓰일 때: 목적격은 격 접사가 -н, 여격, 처격, 탈격, 향격에서는 격 접사 앞에 삽간사(interfix) -н-가 붙는다. |
- | {{{eg>tuvi240 (sat2005:000) | ||
- | хоорай-ы-н-га | ||
- | 그의 도시 (Dat) | ||
- | }}} | ||
- | |||
- | {{{eg>tuvi240 (sat2005?:000) | ||
- | хоорай-ы-н-че | ||
- | 그의 도시로 (향격) | ||
- | }}} | ||
- | |||
- | |||
- | - 대격에서는 고대 소유posessive 곡용 접사 -н이 남아 있다. | ||
- | |||
- | {{{eg>tuvi240 (sat2005?:000) | ||
- | хоорай-ы-н | ||
- | 그의 도시를 (ACC) | ||
- | }}} | ||
줄 157: | 줄 140: | ||
- *는 (sat1966) | - *는 (sat1966) | ||
+ | |||
+ | |||
+ | |||
+ | |||
+ | ###### 대격의 예시 | ||
+ | |||
+ | {{{eg>tuvi1240 (Sat1966:390) | ||
+ | школаз-ы-н | ||
+ | school-POSS.3-ACC | ||
+ | 그(들)의 학교를 (목적격) | ||
+ | }}} | ||
+ | |||
+ | |||
+ | |||
+ | ###### 처격의 예시 | ||
+ | |||
+ | {{{eg>tuvi1240 (Sat1966:390) | ||
+ | школаз-ы-н-да | ||
+ | school-POSS.3-Н-LOC | ||
+ | 그(들)의 학교에서 (처격) | ||
+ | }}} | ||
+ | |||
+ | |||
+ | ###### 여격의 예시 | ||
+ | |||
+ | {{{eg>tuvi1240 (sat2005:000) | ||
+ | хоорай-ы-н-га | ||
+ | city-UNK-UNK-DAT | ||
+ | 그의 도시 (Dat) | ||
+ | }}} | ||
+ | |||
+ | |||
+ | ###### 향격의 예시 | ||
+ | |||
+ | {{{eg>tuvi1240 (sat2005:000) | ||
+ | хоорай-ы-н-че | ||
+ | city-UNK-UNK-ABL | ||
+ | 그의 도시로 (ABL) | ||
+ | }}} | ||
+ | |||
+ | |||
+ | |||
+ | - 대격에서는 고대 소유posessive 곡용 접사 -н이 남아 있다. | ||
+ | |||
+ | |||
+ | |||
+ | {{{eg>tuvi1240 (sat2005:000) | ||
+ | хоорай-ы-н | ||
+ | city-UNK-UNK | ||
+ | 그의 도시를 (ACC) | ||
+ | }}} | ||
+ | |||
+ | ### (3) 명사의 소유 범주 | ||
+ | |||
+ | ##### 소유 접사 | ||
+ | |||
+ | | | SG | PL | | ||
+ | | 1 | -м, -ым/-им/-ум/-үм | -выс/-вис/-вус,-ывыс/-ивис/-увус/-үвүс | | ||
+ | | 2 | -ң, -ың/-иң/-уң/-үң | -ңар/-ңер, -ыңар/-иңер| | ||
+ | | 3 | -ы/-и/-у/-ү, -зы/-зи/-зу/-зү | -ы/-и/-у/-ү, -зы/-зи/-зу/-зү | | ||
+ | |||
+ | ###### 소유 예시 : ~~의 나라 | ||
+ | |||
+ | | | SG | PL | | ||
+ | | 1 |чурт-ум 나의 나라|чурт-увус 우리의 나라| | ||
+ | | 2 |чурт-уң 너의 나라 | чурт-уңар 너희의 나라 | | ||
+ | | 3 |чурт-у 그의 나라 | чурт-у 그들의 나라 | | ||
+ | |||
+ | |||
+ | |||
+ | ###### 소유 예시 : ~~의 외투 | ||
+ | |||
+ | | | SG | PL | | ||
+ | |1| тон-ум 나의 외투 | тон-увус 우리의 외투 | | ||
+ | |2| тон-уң 너의 외투 | тон-уңар 너희의 외투 | | ||
+ | |3| тон-у 그의 외투 | тон-у 그들의 외투 | | ||
+ | |||
+ | |||
+ | |||
+ | |||
+ | ###### 소유접사의 기능 : 동사의 분사 형태에 붙어서 인칭 접사의 기능을 한다. | ||
+ | |||
+ | |||
+ | {{{eg>tuvi1240 (sat1997:388) | ||
+ | бис келген-ивис-те | ||
+ | we come.3SG-POSS-on | ||
+ | 우리가 왔을 때 (ru. когда мы приехали) | ||
+ | }}} | ||
+ | |||
+ | |||
+ | |||
+ | {{{eg>tuvi1240 (sat1997:388) | ||
+ | сээң өөренир-иң-ни дыңнаан мен | ||
+ | you.SG learn-2SG-UNK listen I | ||
+ | 나는 들었다. 네가 학교에 다닐 것이라고. (ru. я слышал, что ты пойдешь в школу) | ||
+ | }}} | ||
+ | |||
+ | |||
+ | |||
+ | ###### 서술적 소유는 다음 접사로 전달된다. : -дыы/-дии/-дуу/-дүү, -тыы/-тии/-туу/-түү, -ныы/-нии/-нуу/-нүү; | ||
+ | |||
+ | |||
+ | {{{eg>tuvi1240 (sat1997:388) | ||
+ | өөл-дуу | ||
+ | boy-POSS | ||
+ | 소년의, 소년에 속한 | ||
+ | }}} | ||
+ | |||
+ | |||
+ | {{{eg>tuvi1240 (sat1997:388) | ||
+ | Чоттуу | ||
+ | Chot-POSS | ||
+ | 초트의, 초트에 속한 | ||
+ | }}} | ||
+ | |||
+ | |||
+ | |||
+ | {{{eg>tuvi1240 (sat1997:388) | ||
+ | хая-ныы | ||
+ | rock-POSS | ||
+ | 바위 | ||
+ | }}} | ||
+ | |||
+ | |||
+ | ##### 인칭대명사의 서술적 소유형태 | ||
+ | |||
+ | |||
+ | | PERSON | SG | PL | | ||
+ | | 1 | мээңии 나의 것 | бестии 우리의 것 | | ||
+ | | 2 | сээңии 너의 것 | силернии 너희의 것 | | ||
+ | | 3 | ооңуу 그의 것 | оларныы 그들의 것 | | ||
+ | |||
+ | |||
+ | |||
+ | |||
+ | ### (4) 명사의 지소형 | ||
+ | |||
+ | ###### 많이 쓰이는 지소형 접사 : -чак/-чек, -чыгаш/-чигеш 및 변이형 | ||
+ | |||
+ | |||
+ | {{{lex>tuvi1240 (Sat1966:391) | ||
+ | |||
+ | - кулун-чак: 망아지(지소형) | ||
+ | - даг-жыгаш: 작은 언덕(지소형) | ||
+ | |||
+ | }}} | ||
+ | |||
+ | |||
+ | ###### 그 외 지소형 접사 : -ак/-ек, -пай/-пей, -кай/-кей, -кы/-ки | ||
+ | |||
+ | |||
+ | {{{lex>tuvi1240 (Sat1966:391) | ||
+ | |||
+ | - эжикей: 친구(지소형) | ||
+ | - авакым : 엄마(지소형)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