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tuva:2_wordclass:23_verb:23_verb [2018/08/17 15:58] 김희연 |
doc:tuva: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31 12:37] (현재) 최문정 |
||
---|---|---|---|
줄 1: | 줄 1: | ||
- | # 23_verb : 동사 (verb) : | + | # 23_verb : 동사 (verb) |
- 동사의 문법 범주: 태, 상, 서법, 시제, 인칭과 수 | - 동사의 문법 범주: 태, 상, 서법, 시제, 인칭과 수 | ||
줄 30: | 줄 30: | ||
##### 3) 재귀태 | ##### 3) 재귀태 | ||
- | - 접사 -н, -дын/-дин, -ттын/-ттин... | + | - 접사 -н, -дын/-дин, -ттын/-ттин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줄 49: | 줄 49: | ||
##### 4) 수동태 | ##### 4) 수동태 | ||
- | - 접사 -л, -ыл/-ил... | + | - 접사 -л, -ыл/-ил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줄 59: | 줄 59: | ||
##### 5) 사동태 | ##### 5) 사동태 | ||
- | - 접사 -т, -дыр/-дир... -дырт/дирт..., -ттыр/-ттир... | + | - 접사 -т, -дыр/-дир, -дырт/дирт, -ттыр/-ттир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줄 83: | 줄 83: | ||
### (2) 동사의 상 | ### (2) 동사의 상 | ||
- | ##### 1) 부정상 | ||
- | - 별도의 표지 없음. | + | ##### 기본적인 상 |
+ | | 완망상 | perfective | 접사 -выт/-вит 또는 -п, -а로 끝나는 부동사와 조동사의 결합 | законченный вид | | ||
- | {{{lex>tuvi1240 (sat2005:123) | ||
- | - кас- : 파다 | + | ##### 상적 표현들 |
- | }}} | + | | 반복상 | | -гыла/-гиле |многократный | |
+ | | 비완망상 | | -п로 끝나는 부동사와 조동사 тур- (서있다), чыт- (누워/놓여있다), олур-(앉아있다), чор- (가다)의 결합 |незаконченный | | ||
+ | | 중단(중지)상 | | -баста/-бесте... |прекратительный | | ||
- | ##### 2) 빈번상 | + | ##### 특수한 파생 |
- | + | ||
- | - 접사 -гыла/-гиле... | + | |
- | {{{eg>tuvi1240 (sat2005:123) | + | | 의성의태어 | | 접사 -аңна, -аңайын |ритмический | |
- | кел-гиле- | + | |
- | come-FREQ | + | |
- | 오곤하다 | + | |
- | }}} | + | |
- | ##### 3) 종료상прекратительный | ||
- | - 접사 -баста/-бисте... | ||
- | {{{eg>tuvi1240 (sat2005:123) | + | ###### 1) 완망상 |
- | бас-паста- | + | |
- | ?-? | + | |
- | 거기로 다니는 것을 멈추다 | + | |
- | }}} | + | |
- | + | - 접사 -выт/-вит 또는 -п, -а로 끝나는 부동사와 조동사의 결합 | |
- | ##### 4) 완망상 | + | |
- | + | ||
- | - 접사 -выт/-вит... 또는 -п, -а로 끝나는 부동사와 보조동사의 결합. | + |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 | кылы-выт- | + | кылы-выт |
do-PFV | do-PFV | ||
다 하다 | 다 하다 | ||
}}} | }}} | ||
+ |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 | бижи-п каг- | + | бижи-п каг |
- | write-CONV 0 | + | write-CVB AUX |
다 쓰다 | 다 쓰다 | ||
}}} | }}} | ||
줄 137: | 줄 124: |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ушт-а тырт- | ушт-а тырт- | ||
- | bring.out-CONV pull | + | bring.out-CVB pull.AUX |
끌고나오다. | 끌고나오다. | ||
}}} | }}} | ||
- | ##### 5) 다회상 (ритмический) | + | ###### 2) 반복상 |
+ | |||
+ | - 접사 -гыла/-гиле | ||
- | - 접사 -аңна/..., -аңайын/... | + | {{{eg>tuvi1240 (sat2005:123) |
+ | кел-гиле- | ||
+ | come-FREQ | ||
+ | 오곤하다 | ||
+ | }}} | ||
+ | ###### 3) 비완망상 | ||
+ | |||
+ | - -п로 끝나는 부동사와 조동사 тур- (서있다), чыт- (누워/놓여있다), олур-(앉아있다), чор- (가다)의 결합 |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 | агар-аңна | + | номчу-п чур |
- | twinkle-ITER | + | read-CVB move.AUX |
- | 반짝반짝하다, 하얗게 되다 | + | 읽고있다 |
}}} | }}} | ||
- | <note> | + | {{{eg>tuvi1240 (sat2005:123) |
- | #disqus @pjh @kgj 러시아어로 ритмический 로 나와있는데, 하나의 움직임이 여러차례로 나타낼때 다회상으로 번역해도 무리가 없을까요? | + | маңна-п чор-аан |
- | (별이 반짝반짝, (문두드릴때)똑똑똑, 물방울이 똑똑똑 등) | + | run-CVB move.AUX-UNK |
- | </note> | + | 뛰어가고 있었다 |
+ | }}} | ||
- | ##### 6) 비완망상 | ||
- | - -п로 끝나는 부동사와 보조동사 тур- (서있다), чыт- (누워/놓여있다), олур-(앉아있다), чор- (움직이다)의 결합 | + | ###### 4) 중단(중지)상 |
+ | |||
+ | - 접사 -баста/-бесте |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 | номчу-п чур | + | бас-паста- |
- | read-CONV move.AUX | + | UNK-UNK |
- | 읽고있다 | + | 거기로 다니지 않기로 하다 |
}}} | }}} | ||
+ | |||
+ | ###### 6) 의성어/의태어 (ритмический) | ||
+ | |||
+ | - 접사 -аңна, -аңайын |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 | маңна-п чо-раан | + | агар-аңна |
- | run-CONV move.AUX-? | + | twinkle-ITER |
- | 뛰어가고 있었다 | + | 반짝반짝하다, 하얗게 되다 |
}}} | }}} | ||
+ | |||
+ | |||
+ | ###### * 부정상неопределенный вид | ||
+ | |||
+ | - 별도의 표지 없음 | ||
+ | |||
+ | {{{lex>tuvi1240 (sat2005:123) | ||
+ | |||
+ | - кас- : 파다 | ||
+ | |||
+ | }}} | ||
### (3) 동사의 서법 | ### (3) 동사의 서법 | ||
- | - 직설법, 조건법, предельное, 명령법, позволительное | + | - 직설법, 조건법, 한정법, 명령법, 허용법 |
- | - 조건법, пред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의 인칭/수 형태는 복잡한 구조를 띤다. | + | - 조건법, 한정법의 인칭/수 형태는 복잡한 구조를 띤다. |
- | <note> | ||
- | #disqus @pjh @kGJ 동사의 서법중 'ultimate' 법 , 허용법?(permissive) 의 한국어 명칭은 어떻게 되나요? | ||
- | </note> | ||
줄 204: | 줄 214: | ||
| 3 |ал-за | ал-за | | | 3 |ал-за | ал-за | | ||
- | - 조건법은 분석적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 + | |
+ | |||
+ | |||
+ | |||
+ | ###### 조건법은 분석적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 ||
줄 221: | 줄 236: | ||
{{{eg>tuvi1240 (sat2005:000) | {{{eg>tuvi1240 (sat2005:000) | ||
кел-гелек бол-за | кел-гелек бол-за | ||
- | come-3SG-NEG? be-3SG | + | come-3SG-NEG? be.3SG-COND |
그가 아직 안 왔다면 | 그가 아직 안 왔다면 | ||
}}} | }}} | ||
- | ##### пред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접사 | + | ###### 조건법에 첨사 -даа가 함께 쓰이면 양보의 의미 |
+ | |||
+ | |||
+ | {{{eg>tuvi1240 (Sat1966:397) | ||
+ | бар-за-даа | ||
+ | go-COND-CONC | ||
+ | (그가)간다고 하더라도 | ||
+ | }}} | ||
+ | |||
+ | |||
+ | |||
+ | |||
+ | ##### 한정법 접사 | ||
| | SG | PL | | | | SG | PL | | ||
- | | 1 | -гыжемче/... |-гыжевисче/... | | + | | 1 | -гыжемче |-гыжевисче | |
- | | 2 | -гыжеңче/... | -гыжеңерже/... | | + | | 2 | -гыжеңче| -гыжеңерже| |
- | | 3 | -гыже/... | -гыже/... | | + | | 3 | -гыже | -гыже | |
- 음성적 변이형태소를 갖는 것은 -гы 뿐이다. | - 음성적 변이형태소를 갖는 것은 -гы 뿐이다. | ||
+ | - гыже-м(인칭)-че(reduplication) | ||
+ | |||
+ | {{{eg>tuvi1240 (Sat1966:397) | ||
+ | доктаа-гыжемче | ||
+ | stop-till | ||
+ | 내가 멈출때까지 | ||
+ | }}} | ||
줄 242: | 줄 276: | ||
| 2 |кел-гижеңче | кел-гижеңерже | | | 2 |кел-гижеңче | кел-гижеңерже | | ||
| 3 |кел-гиже | кем-гиже | | | 3 |кел-гиже | кем-гиже | | ||
- | |||
##### 명령법 접사 | ##### 명령법 접사 | ||
| | 단수 | 복수 | | | | 단수 | 복수 | | ||
- | | 1인칭 | -айн/... |-аалың ар/... | | + | | 1인칭 | -айн |-аалың ар | |
- | | 2인칭 | ø | -ыңар/... | | + | | 2인칭 | - | -ыңар | |
- | | 3인칭 | -зын/... | -зын(нар)/... | | + | | 3인칭 | -зын | -зын(нар) | |
- | ###### 동사 кел-‘오다come’의 명령법 | + | ###### 명령법 접사의 변이형 |
- | + | ||
+ | ^ ^ SG ^ DU ^ PL ^ | ||
+ | |1| -айн/-ейн,-ыйн/-ийн, -уйн/-үйн | -аал(ы)/-ээл(и), -ыыл(ы)/-иил(и), -уул(у)/-үүл(ү) | -аал(ыңар)/-ээл(иңер), -ыыл(ыңар)/-иил(иңер), -уул(уңар)/- үүл(үңер)| | ||
+ | |2|-|-|-ңар, -ңер/ -ыңар, -иңер/ -уңар, үңер| | ||
+ | |3|-зын/-зин, -зун, /-зүн, -сын/-син, -сун, -сүн|-|-сын(нар), -син(нер), -сун(нар), -сүн(нер), -зын(нар), -зин(нер), -зун(нар), -зүн(нер)| | ||
+ | |||
+ | |||
+ | ###### 동사 бар-‘오다come’의 명령법 | ||
| | SG | PL | | | | SG | PL | | ||
| 1 |бар-айн (пойду-ка) | бар-аалыңар | | | 1 |бар-айн (пойду-ка) | бар-аалыңар | | ||
줄 259: | 줄 300: | ||
| 3 |бар-зын (пусть идет) | бар-зын(нар) (пусть пойдут) | | | 3 |бар-зын (пусть идет) | бар-зын(нар) (пусть пойдут) | | ||
+ | |||
+ | |||
+ | |||
+ | ##### 허용법 접사 | ||
+ | |||
+ | - 접미사: -гай + 인칭표지 (+양상첨사) | ||
+ | - 행위완수에 대한 동의, 허락 | ||
- | ##### позволит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접사 | ||
| | 단수 | 복수 | | | | 단수 | 복수 | | ||
- | | 1 | -гай /...мен (аан) | -гай/...бис (аан) | | + | | 1 | -гай мен (аан) | -гай бис (аан) | |
- | | 2 | -гай/...сен (аан) | -гай/...силер (аан) | | + | | 2 | -гай сен (аан) | -гай силер (аан) | |
- | | 3 | -гай/...(сан) | -гай/...(-лар/...) (сан) | | + | | 3 | -гай (сан) | -гай(-лар) (сан) | |
- * аан은 양상 첨사 | - * аан은 양상 첨사 | ||
- | ###### 동사 ‘오다come’의 позволит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 + | ###### 동사 ‘오다come’의 허용법 |
| | SG | | | | SG | | ||
줄 275: | 줄 322: | ||
| 2 |көр-гей сен аан | | | 2 |көр-гей сен аан | | ||
| 3 |көр-гей аан | | | 3 |көр-гей аан | | ||
+ | |||
+ | ###### 동사 кел-‘보다see’의 허용법 | ||
+ | |||
+ | ^ ^ SG ^ PL ^ | ||
+ | | 1 | көргей мен (аан) 그래, 내가 볼게 | көргей бис (аан) 그래, 보자| | ||
+ | | 2 | көргей сен (аан) 그래, 네가 봐 | көргей силер (аан) 그래, 너희가 봐 | | ||
+ | | 3 | көргей (аан) 그래, 그가 보게 해 | көргей(лер) (аан) 그래, 그들이 보게 해 | | ||
줄 280: | 줄 334: | ||
### (4) 동사의 시제 | ### (4) 동사의 시제 | ||
- | - 5시제가 있다. : 현재(특정)시제, 현재진행시제, | + | - Sat(2005)는 5개의 시제, Sat(1966)은 10개의 시제를 구분한다. |
+ | |||
+ | #### 5시제 - Sat(2005) | ||
+ | |||
+ | - (1) (단순)과거 | ||
+ | - (2) 근접과거 | ||
+ | - (3) 비과거/미래 | ||
+ | - (4) 현재진행 | ||
+ | - (5) 현재(습관) | ||
+ | |||
+ | ###### 투바어의 5시제: Sat(2005) | ||
+ | |||
+ | | | 영어 | 주석약호 | 접사 |러시아어 문헌에서 사용된 용어 | | ||
+ | | (단순)과거 | (simple) past | PST | 접사 -ган/-ген + 인칭표지 | давнопрошедшее | | ||
+ | | 근접과거 | near past | PST.NEAR | 접사 -ды/-ди... + 인칭접사 | недавнопрошедшее | | ||
+ | | 비과거/미래 | nonpast | NPST | 접사 -ыр/-ир... + 인칭표지 | будущее обычное | | ||
+ | | 현재진행 | present progressive | PRS.PROG | 접사 -п + тур, чыт, олур, чор + 인칭표지 | настоящее определенное | | ||
+ | | 현재(습관) | present habitual | PRS.HAB | 접사 -п + турар, чыдыр, олурар, чоруур + 인칭표지 |настоящее продолженное | | ||
+ | |||
+ | ##### 1) (단순)과거 | ||
+ | |||
+ | - 접사 -ган/-ген + 인칭표지 | ||
+ | |||
+ | ###### 동사 кел-‘오다come’의 (단순)과거 시제 | ||
+ | |||
+ | | | SG | PL | | ||
+ | | 1 | келген мен | келген бис | | ||
+ | | 2 | келген сен | келген силер | | ||
+ | | 3 | келген | келген(нер) | | ||
+ | |||
+ | ##### 2) 근접과거 | ||
+ | |||
+ | - 접사 -ды/-ди + 인칭접사 | ||
+ | |||
+ | ###### 동사 кел-‘오다come’의 근접과거 시제 | ||
+ | |||
+ | | | SG | | ||
+ | | 1 |кел-ди-м | | ||
+ | | 2 |кел-ди-ң | | ||
+ | | 3 |кем-ди | | ||
+ | |||
+ | |||
+ | ##### 3) 비과거/미래 | ||
+ | |||
+ | - 접사 -ыр/-ир + 인칭표지 | ||
+ | - 우세한 의미는 미래. 일반적인 현재의 사실도 표현 | ||
+ | |||
+ | ###### 동사 кыл-‘하다do’의 비과거/미래시제 | ||
+ | |||
+ | | | SG | | ||
+ | | 1 |кыл-ыр мен | | ||
+ | | 2 |кыл-ыр сен | | ||
+ | | 3 |кыл-ыр | | ||
+ | ##### 4) 현재진행 | ||
- | #### 1) 현재(특정)시제 | ||
- | - 접사 -п + тур, чыдыр, олур, фор + 인칭표지. | + | - 접사 -п + тур, чыт, олур, чор + 인칭표지 |
- | ###### 동사 номчу-‘읽다read’의 현재(특정)시제 | + | ###### 동사 номчу-‘읽다read’의 현재진행시제 |
| | SG | | | | SG | | ||
줄 298: | 줄 405: | ||
{{{eg>tuvi1240 (sat2005:123) | {{{eg>tuvi1240 (sat2005:123) | ||
номчу-п тур мен | номчу-п тур мен | ||
- | read-PRS stand.AUX 1SG | + | read-NPST stand.AUX 1SG |
지금 읽고 있다(1인칭단수) | 지금 읽고 있다(1인칭단수) | ||
}}} | }}} | ||
- | тур(서있다), чыдыр(누워있다), олур(앉아있다), чор(움직이고 있다) 자체가 현재(특정)시제 형태이다. | + | - тур(서있다), чыдыр(누워있다), олур(앉아있다), чор(가다) 자체가 현재진행시제 형태이다. |
- | {{{eg>tuvi1240 (sat2005:125) | + | {{{eg>tuvi1240 (sat2005:124) |
олур мен | олур мен | ||
sit 1SG | sit 1SG | ||
- | 앉아있다. | + | 앉아있다 |
}}} | }}} | ||
- | #### 2) 현재진행시제 | ||
- | - 접사-п + турар, чыдыр, олурар, чоруур + 인칭표지. | + | ##### 5) 현재(습관)시제 |
+ | - 접사-п + турар, чыдыр, олурар, чоруур + 인칭표지 | ||
- | ###### 동사 өөрени-‘배우다learn’의 현재진행시제 | + | |
+ | ###### 동사 өөрени-‘배우다learn’의 현재(습관)시제 | ||
| | SG | | | | SG | | ||
줄 329: | 줄 437: | ||
- | #### 3) недавнопрошедшее | ||
- | - 접사 -ды/-ди... + 인칭접사. | ||
- | <note> | + | #### 10시제 - Sat(1966) |
- | #disqus @pjh @kgj 'недавнопрошедшее' 직역하면 '오래되지 않은 과거' recent 과거 인데, 한국어로 뭐라고 하면 좋을까요? | + | |
- | </note> | + | |
+ | ###### 투바어의 10시제: Sat(1966) | ||
- | (별이 반짝반짝, (문두드릴때)똑똑똑, 물방울이 똑똑똑 등) | ||
- | </note> | ||
- | ###### 동사 кел-‘오다come’의 недавнопрошедшее 시제 | + | | | 영어 | 접사 | 용법 | 러시아어 문헌에서 사용된 용어 | |
- | + | | (단순)과거| (simple) past | 접미사 -ган + 인칭표지(인칭대명사 주격 мен, сен, (ол), бис, силер, (-лар)/ 3인칭은 생략가능) | 과거에 일어난 일을 화자가 확인차 이야기하는 경우 | прошедшее неопределенное | | |
- | | | SG | | + | | 근접과거 | near past | 접미사 -ды + 인칭/수 접미사 |멀지 않은 과거에 일어난 행위/상황, 화자가 스스로 행했거나 목격한 사건이어서 분명히 알고 있는 경우 | прошедшее категорическое | |
- | | 1 |кел-ди-м | | + | | 비과거/미래 | nonpast | 접미사: -ар + 인칭표지 | 미래에 일어날 행위. 과거에 시작되어 발화시점을 거쳐 미래에도 얼마가 지속될 행위. 가능성 있는 행위 | настоящее-будущее | |
- | | 2 |кел-ди-ң | | + | | 현재진행 | present progressive | 접미사: -п + тур (чыт, олур, чор) + 인칭표지 | 발화시점에 일어나고 있는 행위(상태). 지속성과 관련해서는 여러 단계가 가능 |настоящее конкретное 구체적현재 | |
- | | 3 |кем-ди | | + | | | | 접미사 -п-тыр + 인칭표지(인칭대명사 주격 мен, сен, (ол), бис, силер, (-лар)/ 3인칭은 생략가능) | (행위의 결과 또는 일어난 행위의 특징을 보고) 과거에 이루어졌다고 추정되는 사건 |прошедшее мотивированное (повествовательное) 추정(내러티브)과거 | |
+ | | | | 접미사: -чык + 인칭표지(인칭대명사 주격 мен, сен, (ол), бис, силер, (-лар)/ 3인칭은 생략가능) + чоп '잖아(ru. ведь)' | 화자가 확실하게 알아서 확인할 수 있는 과거의 행위 |прошедшее риторическое 수사적과거 | | ||
+ | | | | 접미사 -бышаан + 인칭표지(인칭대명사 주격 мен, сен, (ол), бис, силер, (-лар)/ 3인칭은 생략가능)| 행위(상태)가 과거에 시작해서 발화시점까지 계속되는 경우 | прошедшее-настоящее 과거-현재 | | ||
+ | | | | 접미사: -а-дыр + 인칭표지 | 화자가 발화시점에 발생하고 있다고 추정하는 행위 | настоящее мотивированное 추정적현재 | | ||
+ | | | | 접미사 : -галак + 인칭표지 | 아직 완료되지는 않았지만 발화 후에 확실히 일어날 행위(상태)|будущее ожидаемое 예측미래 | | ||
+ | | | | 접미사: -гы + дег + 인칭표지 | 화자의 시선으로 볼 때, 또는 정황상 발화시점 이후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행위(상태) |возможное будущее 가능미래 | | ||
+ | ##### 1) 단순(과거) | ||
- | #### 4) давнопрошедшее | + | - 접미사 -ган + 인칭표지(인칭대명사 주격 мен, сен, (ол), бис, силер, (-лар)/ 3인칭은 생략가능) |
- | - 접사 -ган/-ген + 인칭표지. | + | {{{eg>tuvi1240 (Sat1966:394) |
+ | бер-ген мен | ||
+ | give-PST PRON.1SG | ||
+ | 내가 주었다 | ||
+ | }}} | ||
- | ###### 동사 кел-‘오다come’의 давнопрошедшее 시제 | ||
- | | | SG | PL | | ||
- | | 1 | келген мен | келген бис | | ||
- | | 2 | келген сен | келген силер | | ||
- | | 3 | келген | келген(нер) | | ||
- | #### 미래시제 | + | - 과거에 일어난(일어나지 않은) 일을 화자가 확인차 이야기하는 경우. 단, 행위의 시각적 형태가 재생되지는 않는다?? |
- | - 접사 -ыр/-ир... + 인칭표지 | + | {{{eg>tuvi1240 (Sat1966:394) |
+ | Оюнмаа-ның сагыжы барык-ла шуут чазалып келген | ||
+ | Persnal.name-GEN worry.about almost-INT totally UNK UNK | ||
+ | 오윤마의 생각은 거의 명확해졌다 | ||
+ | }}} | ||
- | ###### 동사 кыл-‘하다do’의 미래시제 | ||
- | |||
- | | | SG | | ||
- | | 1 |кыл-ыр мен | | ||
- | | 2 |кыл-ыр сен | | ||
- | | 3 |кыл-ыр | | ||
+ | ##### 2) 근접과거 | ||
+ | - 접미사 -ды + 인칭/수 접미사 | ||
+ | |||
+ | {{{eg>tuvi1240 (Sat1966:394) | ||
+ | ал-ды-м | ||
+ | take-PST.NEAR-1SG | ||
+ | 내가 가져갔다 | ||
+ | }}} | ||
+ | |||
+ | - 멀지 않은 과거에 일어난 행위/상태, 화자가 스스로 행했거나 목격한 행위여서 분명히 알고 있는 경우 | ||
+ | - 현재나 미래시제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함 | ||
+ | |||
+ | {{{eg>tuvi1240 (Sat1966:394) | ||
+ | Менидаа хуралга аревэге киирип ал-ды-∅ | ||
+ | I.ACC meeting-DAT UNK UNK accept-PST.NEAR | ||
+ | 나를 회의에서 청년혁명단체에 (회원으로) 받아주었다.(ru. Меня (только что) приняли на собрании в ревсомол) | ||
+ | }}} | ||
+ | |||
+ | ##### 3) 비과거/미래 | ||
+ | |||
+ | - 접미사: -ар + 인칭표지 | ||
+ | - 미래에 일어날 행위 | ||
+ | - 과거에 시작되어 발화시점을 거쳐 미래에도 얼마가 지속될 행위 | ||
+ | - 가능성 있는 행위 | ||
+ | |||
+ | {{{eg>tuvi1240 (Sat1966:396) | ||
+ | Ак-оол Кызыл-да өөрен-ип тур-ар | ||
+ | Ak-ool Kyzyl-LOC learn-CVB stand-NPST | ||
+ | 악-올은 키질에서 공부한다 | ||
+ | }}} | ||
+ | |||
+ | {{{eg>tuvi1240 (Sat1966:396) | ||
+ | Ада көр-бээ-нин оглу кө-өр | ||
+ | father see-NEG-POSS.3SG grandchild see-NPST | ||
+ | 아버지가 보지 못한 것을 아들이 발견할 것이다 (속담) | ||
+ | }}} | ||
+ | |||
+ | - 과거시제 서술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ужурлуг 'must (ru. должен)', херек 'necessary (ru. надо)'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 ||
+ | |||
+ | ##### 4) 현재진행 | ||
+ | |||
+ | - 접미사: -п + тур (чыдыр, олур, чор) + 인칭표지 | ||
+ | - 발화시점에 일어나고 있는 행위(상태). 지속성과 관련해서는 여러 단계가 가능 | ||
+ | |||
+ | {{{eg>tuvi1240 (Sat1966:395) | ||
+ | Уруг-лар сцена-да ырла-жы-п тур(лар) | ||
+ | girl-PL stage-LOC sing-UNK-CVB stand.AUX | ||
+ | 아이들은 지금 무대에서 노래하고 있다 | ||
+ | }}} | ||
+ | |||
+ | ##### 5) 추정(내러티브) 과거시제 | ||
+ | |||
+ | - 접미사 -п-тыр + 인칭표지(인칭대명사 주격 мен, сен, (ол), бис, силер, (-лар)/ 3인칭은 생략가능) | ||
+ | - (행위의 결과 또는 일어난 행위의 특징을 보고) 과거에 이루어졌다고 추정되는 사건 | ||
+ | |||
+ | {{{eg>tuvi1240 (Sat1966:395) | ||
+ | кылы-п-тыр сен | ||
+ | do-PST PRON.2SG | ||
+ | 네가 한 것으로 보인다 | ||
+ | }}} | ||
+ | |||
+ | |||
+ | {{{eg>tuvi1240 (Sat1966:395) | ||
+ | Сөөлгү үеде өскелени бери-п-тир сен | ||
+ | last since change UNK-PST you | ||
+ | 요즘 너는 변한 것 같아 | ||
+ | }}} | ||
+ | |||
+ | |||
+ | |||
+ | ##### 6) 수사적 과거시제 | ||
+ | |||
+ | - 접미사: -чык + 인칭표지(인칭대명사 주격 мен, сен, (ол), бис, силер, (-лар)/ 3인칭은 생략가능) + чоп '잖아(ru. ведь)' | ||
+ | - 화자가 확실하게 알아서 확인할 수 있는 과거의 행위 | ||
+ | |||
+ | |||
+ | {{{eg>tuvi1240 (Sat1966:395) | ||
+ | көр-жүк мен чоп | ||
+ | see-PST I PTCL | ||
+ | 내가 봤잖아(я ведь видел) | ||
+ | }}} | ||
+ | |||
+ | |||
+ | ##### 7) 과거-현재 시제 | ||
+ | |||
+ | - 접미사: -бышаан + 인칭표지(인칭대명사 주격 мен, сен, (ол), бис, силер, (-лар)/ 3인칭은 생략가능) | ||
+ | - 행위(상태)가 과거에 시작해서 발화시점까지 계속되는 경우 | ||
+ | |||
+ | {{{eg>tuvi1240 (Sat1966:395) | ||
+ | бижи-вишаан мен | ||
+ | write-UNK 1SG | ||
+ | 나는 아직 쓰고 있다 | ||
+ | }}} | ||
+ | |||
+ | {{{eg>tuvi1240 (Sat1966:395) | ||
+ | Чазаглыг орук-та машина-лар шууш-пушаан | ||
+ | highway road-LOC car-PL UNK | ||
+ | 자동차들은 모두 아직 고속도로를 따라 일렬로 달리고 있다 | ||
+ | }}} | ||
+ | |||
+ | ##### 8) 추정적 현재 | ||
+ | |||
+ | - 접미사: -а-дыр + 인칭표지 | ||
+ | - 화자가 발화시점에 발생하고 있다고 추정하는 행위 | ||
+ | |||
+ | {{{eg>tuvi1240 (Sat1966:395) | ||
+ | Хем ол чарыын-да кижи ырлай-дыр | ||
+ | river that UNK human sing-UNK | ||
+ | 강가 저편에서 누군가 노래하고 있다(노래하는게 들린다) | ||
+ | }}} | ||
+ | |||
+ | ###### 9) 예측 미래 | ||
+ | |||
+ | - 접미사 : -галак + 인칭표지 | ||
+ | - 아직 완료되지는 않았지만 발화 후에 확실히 일어날 행위(상태) | ||
+ | |||
+ | {{{eg>tuvi1240 (Sat1966:396) | ||
+ | Даң ат-калак | ||
+ | dawn UNK-FUT | ||
+ | 곧 날이 밝을 것이다 | ||
+ | }}} | ||
+ | |||
+ | ###### 10) 가능 미래 | ||
+ | |||
+ | - 접미사: -гы + дег + 인칭표지 | ||
+ | - 화자의 시선으로 볼 때, 또는 정황상 발화시점 이후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행위(상태) | ||
+ | |||
+ | {{{eg>tuvi1240 (Sat1966:396) | ||
+ | Бо дүну хар чаг-гы дег-дир | ||
+ | this night snow UNK-PTCP.POT PTCP.POT-3SG | ||
+ | 분명히 오늘 밤에 눈이 올 것이다 | ||
+ | }}} | ||
줄 415: | 줄 653: | ||
##### 1) 과거분사 | ##### 1) 과거분사 | ||
- | - -ган/-ген... | + | - -ган/-ген |
{{{eg>tuvi1240 (sat2005:124) | {{{eg>tuvi1240 (sat2005:124) | ||
- | үн-ген хүн | + | үн-ген хүн |
- | 0 0 | + | rise-PTCP.PST sun |
떠오른 태양 | 떠오른 태양 | ||
}}} | }}} | ||
- | ##### 2) 기대분사 ожидаемого времени | + | ##### 2) 부정지속상 분사 (ожидаемого времени) |
- | - -галак/-гелек... | + | - -галак/-гелек |
{{{eg>tuvi1240 (sat2005:124) | {{{eg>tuvi1240 (sat2005:124) | ||
- | быш-калак тараа | + | быш-калак тараа |
- | 0 0 | + | ripen-PTCP.NEG.DUR bread |
아직 익지 않은 빵 | 아직 익지 않은 빵 | ||
}}} | }}} | ||
- | ##### 3) 가능분사 возможного времени | + | ##### 3) 가능분사 (возможного времени) |
- -гы/-ги дег | - -гы/-ги дег | ||
{{{eg>tuvi1240 (sat2005:124) | {{{eg>tuvi1240 (sat2005:124) | ||
- | билги дел кижи | + | бил-ги дег кижи |
- | 0 0 0 | + | know-PTCP.POT like(ly) person |
- | 알만한 사람, | + | 알고 있을 것같은 사람 |
}}} | }}} | ||
+ | |||
+ | |||
+ | |||
##### 4) 미래분사 | ##### 4) 미래분사 | ||
- | - -ар/-ер... | + | - -ар/-ер |
{{{eg>tuvi1240 (sat2005:124) | {{{eg>tuvi1240 (sat2005:124) | ||
кел-ир час | кел-ир час | ||
- | 0 0 | + | come-PTCP.NPST spring |
다가올 봄 | 다가올 봄 | ||
}}} | }}} | ||
줄 463: | 줄 704: | ||
{{{eg>tuvi1240 (sat1966:394) | {{{eg>tuvi1240 (sat1966:394) | ||
чыры-п | чыры-п | ||
- | 0 | + | bright-CVB |
- | Светя | + | 빛나며(Светя) |
}}} | }}} | ||
+ | |||
{{{eg>tuvi1240 (sat1966:394) | {{{eg>tuvi1240 (sat1966:394) | ||
кылы-п | кылы-п | ||
- | 0 | + | do-CVB |
다 하고 나서 | 다 하고 나서 | ||
}}} | }}} | ||
줄 475: | 줄 717: | ||
{{{eg>tuvi1240 (sat2005:125) | {{{eg>tuvi1240 (sat2005:125) | ||
туру-п келир | туру-п келир | ||
- | 0 0 | + | stand-CVB arrive |
встанет | встанет | ||
}}} | }}} | ||
줄 483: | 줄 725: | ||
{{{eg>tuvi1240 (sat2005:125) | {{{eg>tuvi1240 (sat2005:125) | ||
чан-а бээр | чан-а бээр | ||
- | 0 0 | + | ? ? |
집으로 떠나다 | 집으로 떠나다 | ||
}}} | }}} | ||
줄 491: | 줄 733: | ||
{{{eg>tuvi1240 (sat2005:125) | {{{eg>tuvi1240 (sat2005:125) | ||
көр-геш чугаалаар | көр-геш чугаалаар | ||
- | 0 0 | + | ? ? |
보고나서 말하다 | 보고나서 말하다 | ||
}}} | }}} | ||
줄 522: | 줄 764: | ||
- 특히 -а/, -п 부동사는 동사의 다양한 분석적 형태를 만드는 필수적인 수단이다. | - 특히 -а/, -п 부동사는 동사의 다양한 분석적 형태를 만드는 필수적인 수단이다. | ||
- | ### 동사의 부정 | + | ### (8) 동사의 부정 |
- 부정 접사 -ма/-ме, -ба/-бе | - 부정 접사 -ма/-ме, -ба/-бе | ||
줄 557: | 줄 799: | ||
кефир эвес | кефир эвес | ||
come PTCL.NEG | come PTCL.NEG | ||
- | 오지 않을 것이다. 3SG. | + | 오지 않을 것이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