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udmurt:1_phonology:14_sylstr:14_sylstr [2016/12/10 18:02] 127.0.0.1 바깥 편집 |
doc:udmurt:1_phonology:14_sylstr:14_sylstr [2021/08/26 01:23] (현재) 동영은 |
||
|---|---|---|---|
| 줄 1: | 줄 1: | ||
| - | #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0% : | + | #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 + | - 음절의 시작, 중간, 끝에 대부분의 자모음이 올 수 있으나 | ||
| + | |||
| + | 1) 원순모음 /u/와 역사적으로 원순모음이었던 /e̮/는 단어의 첫 음절에만 사용된다 | ||
| + | |||
| + | 2) 자음 /d́, ź/, /t́/은 시작음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 ||
| + | |||
| + | 3) 자음 /v/는 어두에서만 사용된다 | ||
| + | |||
| + | - 이상의 규칙은 후기 차용어, 합성어, 의성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
| + | |||
| + | - 가능한 음절구조(Кельмаков 1993:242) | ||
| + | V: у-но (many) | ||
| + | VC: ӧс (door), усь-тон (key) | ||
| + | VCC: орт-че (pass, go by) | ||
| + | CV: шу-до (happy) | ||
| + | CVC: выж (floor, bridge) | ||
| + | CVCC: корт (iron) | ||
| + | |||
| + | |||
| + | ## 자음군 | ||
| + | |||
| + | - 단어의 시작과 끝에는 동일 자음이 반복되거나 2개 이상의 자음군이 오지 않는다 | ||
| + | - 단어의 시작에 자음군이 올 수 있는 경우(1): 다른 언어에서의 차용어 | ||
| + | |||
| + | {{{lex>udmu1245 (Kelmakov1993:242) | ||
| + | |||
| + | - школа : 학교(러시아어에서 차용어) | ||
| + | - штраф : 벌금(러시아어에서 차용어) | ||
| + | |||
| + | }}} | ||
| + | |||
| + | - 단어의 시작에 자음군이 올 수 있는 경우(2): 어원적으로 모음이 탈락된 경우 | ||
| + | |||
| + | {{{lex>udmu1245 (Kelmakov1993:242) | ||
| + | |||
| + | - трос : 많은 & тыр : 가득찬 | ||
| + | - крезь : 구슬리(악기 일종) & кырӟаны : 노래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단어의 끝에 동일 자음 반복 및 자음군 가능한 경우(1): 차용어 | ||
| + | - 단어의 끝에 동일 자음 반복 및 자음군 가능한 경우(2): 공명음 + 파열음/마찰음 | ||
| + | |||
| + | - 공명음 + 파열음 (/lk/, /rt/,/rd/, /rk/) | ||
| + | |||
| + | {{{lex>udmu1245 (Kelmakov1993:242) | ||
| + | |||
| + | - чыкл-чылк : 매우 정결한 | ||
| + | - вырт : 베틀의 한 부분(нитченки) | ||
| + | - горд : 붉은 | ||
| + | - гырк :(나무구멍) 빈 공간 | ||
| + | |||
| + | }}} | ||
| + | |||
| + | - 공명음 + 마찰음(/rs/, /rś/) | ||
| + | |||
| + | {{{lex>udmu1245 (Kelmakov1993:242) | ||
| + | |||
| + | - чырс : 맛이 신 | ||
| + | - кырсь : 진흙, 더러운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