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udmurt:4_ss:48_tame:48_tame [2017/12/18 02:43] 박진호 [과거-불확실(прошедшее неочевидное)] |
doc:udmurt:4_ss:48_tame:48_tame [2021/01/20 00:39] (현재) 동영은 |
||
|---|---|---|---|
| 줄 1: | 줄 1: | ||
| -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100% : | +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 - | ## tame_aspect : 상 (aspect) | ||
| - | 묘사되는 행위의 일회성/다회성에 따라 구분 | ||
| - | |||
| - | - 일회상: -ы-, -ты- 등 | ||
| - | - 다회상: -а-, -ъя-, -ья- 등 | ||
| - | |||
| - | | 일회상 | 다회상 | | ||
| - | | лобыны (한 번) 날다 | лобаны (여러번) 날아다니다 | | ||
| - | | вамыштыны 한 걸음 내딛다 | вамышъяны 행진하다 | | ||
| - | |||
| - | |||
| - | - 비고. 다음의 -лы(제1 활용동사의 다회상), -ляя(제2 활용동사의 다회상) 형태에 대해서 Alatyrev1983은 이러한 접사를 가진 동사가 다회성을 표현하기는 하지만 이를 ‘상’ 범주에 표함시키지는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동사는 또한 광범위성(‘여기저기’)의 뉘앙스를 지닌다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44) | ||
| - | шуккы-ны | ||
| - | hit-INF | ||
| - | (한 번) 때리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44) | ||
| - | шуккы-лы-ны | ||
| - | hit-ITER-INF | ||
| - | 여러 번 때리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44) | ||
| - | кырӟа-ны | ||
| - | sing-INF | ||
| - | (한 번) 노래하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44) | ||
| - | кырӟа-лля-ны | ||
| - | sing-ITER-INF | ||
| - | 여러 번 노래하다 | ||
| - | }}} | ||
| - | |||
| - | - 행위의 완료성은 어휘 및 통사적 방법(대부분 -са 형태의 부동사)을 통해 표현된다 | ||
| - | |||
| -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 ||
| - | |||
| - | ### 양태(modality) | ||
| - | |||
| - | - 의미: 묘사되는 행위의 허구성 또는 그 행위가 지니는 결과적 효과의 감소 | ||
| - | - 동사 및 동사에서 파생된 모든 품사에서 양태의미 지님 | ||
| - | - 사용되는 동사: 개인 의지로 직접적인 제어 불가능한 물리적, 화학적, 생리적 작용을 의미하는 비교적 소수의 동사. 예. пересьмыны (나이들다), бездыны (색이 바래다) | ||
| - | |||
| - | - 긍정문에서는 접미사 -мъяськ- (-(э)мъяськы-) | ||
| - | - 부정문에서는 긍정문 접미사에 -тэ-를 추가한 형태의 접미사 -мтэяськ- (-тэмъяськ-) | ||
| - | - 참고. 위 긍정문/부정문 접미사는 Kibardina 2012:25. Kelmakov 1993:245에서는 긍정문의 접미사만 -(э)мъяськы 또는 -мтэяськы로 기술. 아래 분석적 방식도 Kelmakov 1993. | ||
| - | - 분석적 방식: 조동사 карыны (하다)/ кариськыны (되다)/ луыны (BE)/ паймыны (놀라다) + 분사형(-(э)м/-мтэ)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45) | ||
| - | пайм-емъяськы-ны | ||
| - | get.surprised-pretend.MOD-INF | ||
| - | 놀란 척 하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25) | ||
| - | кырна-мъяськы-ны | ||
| - | sing-pretend.MOD-INF | ||
| - | 노래하는 체하다, 노래하려고 시도하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25) | ||
| - | кырна-мтэяськы-ны | ||
| - | sing-pretend.MOD.NEG-INF | ||
| - | 노래하지 않는 체하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26) | ||
| - | вераське-мъяськы-ны | ||
| - | talk-pretend.MOD-INF | ||
| - | 말하는 체하다, 말하려고 시도하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27) | ||
| - | вала-мтэяськ-из | ||
| - | understand-pretend.MOD.NEG-PST.3SG | ||
| - | (그는) 이해하지 못한 체했다(실제로는 이해함) | ||
| - | }}} | ||
| - | |||
| - | - 부정문은 긍정의 동사 앞에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아래의 부정소사를 첨가하여 만들 수도 있다. | ||
| - | | 인칭 | 단수 | 복수 | | ||
| - | | 1 | кй | км | | ||
| - | | 2 | кд || | ||
| - | | 3 | кз || | ||
| - | | 1 | уг || | ||
| - | | 2 | уд || | ||
| - | | 3 | уз || | ||
| -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27) | ||
| - | кй лыдне-мъяськ-ы | ||
| - | NEG.1SG read-pretend.MOD-PST.1SG | ||
| - | 나는 읽지 않은 체했다 | ||
| - | }}} | ||
| - | |||
| - | - 우드무르트어의 양태 에 대한 초기연구로는 Alatyrev 1959; 최근연구는 Kibardina 2012 참고 | ||
| - | |||
| - | ### 직설법 | ||
| - | |||
| - | - 인칭, 수, 시제 표지 (23_동사 문서 참고) | ||
| - | |||
| - | ### 명령법 | ||
| - | |||
| - | - '44_문장유형'의 명령문 참고 | ||
| - | |||
| - | ### 조건법(кондиционал) | ||
| - | |||
| - | - 동사의 어간에 접사 -сал- (단수에서 인칭 접미사의 사용은 선택) | ||
| - | |||
| - | {{{eg>udmu1245 (Alatyrev1983:579) | ||
| - | мон вера-сал | ||
| - | PRON.1SG speak-COND.1SG | ||
| - | 내가 말했더라면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1) | ||
| - | пукы-сал-мы | ||
| - | sit-COND-1PL | ||
| - | 우리가 앉았더라면 | ||
| - | }}} | ||
| - | |||
| - | | 인칭 | 단수 | 복수 | | ||
| - | | 1 | -сал | -сал-мы | | ||
| - | | 2 | -сал-ыд (-сал-∅) | -сал-ды | | ||
| - | | 3 | -сал (-сал-ыз) | -сал-зы | | ||
| - | |||
| - | |||
| - | - 부정문은 모든 인칭, 수에서 부정소사 ӧй를 쓴다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1) | ||
| - | мон ӧй кора-сал | ||
| - | I NEG chop-COND.1SG | ||
| - | 내가 자르지 않았더라면 | ||
| - | }}} | ||
| - | |||
| - | ### 어휘적 방식 | ||
| - | |||
| - | 동명사 -(э)м + 동사 потэ (하고 싶어지다)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45) | ||
| - | (мынам) сиеме поте | ||
| - | 나는 먹고 싶다 | ||
| - | }}} | ||
| - | |||
| - | ##tame_tense : 시제 (tense) | ||
| - | |||
| - | - 발화시점과의 상대적인 시간을 표현 | ||
| - | - 4개의 단순시제: 현재, 미래, 과거-확실, 과거-불확실 | ||
| - | - 4개의 복합시제: 제 1 대과거, 제 2 대과거, 과거-진행, 과거-반복 | ||
| - | - 현재시제의 활용법은 23_동사 문서 참조 | ||
| - | |||
| - | ### 과거-확실(прошедшее очевидное) | ||
| - | |||
| - | - 접미사 -и (1활용 동사의 짧은 어간 사용) 또는 -∅ (2활용 동사) | ||
| - | |||
| - | | 인칭 | 긍정 | 부정 | | ||
| - | | 단수 ||| | ||
| - | | 1 | -и/-й | ӧй -∅ | | ||
| - | | 2 | -и-д/-д | ӧд -∅ | | ||
| - | | 3 | -и-з/-з | ӧз -∅ | | ||
| - | | 복수 ||| | ||
| - | | 1 | -и-м(ы)/-м(ы) | ӧм -э(лэ)/-лэ | | ||
| - | | 2 | -и-ды/-ды | ӧд -э(лэ)/-лэ | | ||
| - | | 3 | -и-зы/-зы | ӧз -э(лэ)/-лэ | | ||
| - | |||
| - | ### 과거-불확실(прошедшее неочевидное) | ||
| - | |||
| - | | 인칭 | 긍정 | 부정 | | ||
| - | | 단수 ||| | ||
| - | | 1 | -иськем/-ськем | -иськымтэе/-ськымтэе | | ||
| - | | 2 | -эм-ед/-м-ед | -мтэ-ед | | ||
| - | | 3 | -эм(-эз)/-м(эз) | -мтэ(-ез) | | ||
| - | | 복수 ||| | ||
| - | | 1 | -иськем-мы/-ськем-мы | -иськымтэ-мы/-ськымтэ-мы | | ||
| - | | 2 | -иллям-ды/-ллям-ды | -иллямтэ-ды/-ллямтэ-ды | | ||
| - | | 3 | -иллям/-ллям | -иллямтэ/-ллямте | | ||
| - | |||
| - | |||
| - | - 부정문은 동사 앞에 소사 ӧвӧл을 써서 분석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 ||
| - | - 과거-불확실 시제는 행위의 불명확성(즉, 양태)을 전달한다고 볼 수도 있다(Kibardina2012:14-15)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15) | ||
| - | лыдн-ем | ||
| - | read-PST.UNCER.3SG | ||
| - | (그는) 읽은 것 같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15) | ||
| - | вера-ллям | ||
| - | speak-PST.UNCER.3PL | ||
| - | (그들은) 말한 것 같다 | ||
| - | }}} | ||
| - | |||
| - | - 동태 술어의 경우에는 추리 증거성을, 정태 술어의 경우에는 의외성을 나타내기도 한다(Leinonen & Vilkuna 2000: 503-507).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15) | ||
| - | Mis’a, gaškö, te munin n’in. A tani na völömyd. | ||
| - | think.1SG perhaps you go.PST.CER.2SG already but there still be.PST.UNCER.2SG | ||
| - | 갔는 줄 알았는데, 너 아직 있었구나. (I thought you had already gone. But here you still are.) | ||
| - | }}} | ||
| - | |||
| - | {{{eg>udmu1245 (Kibardina2012:15) | ||
| - | Vojnas zeröma | ||
| - | night.INESS.3SG rain.PST.UNCER | ||
| - | (아침에 일어나 창 밖을 내다보니 마당이 젖어 있다.) 밤에 비가 왔구나. | ||
| - | }}} | ||
| - | |||
| - | |||
| - | |||
| - | ### 미래시제 | ||
| - | |||
| - | - 접미사 -о(1활용 동사) 또는 -ло(2활용 동사)로 표현 | ||
| - | - 부정문에서는 미래접미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 ||
| - | |||
| - | | 인칭 | 긍정 | 부정 | | ||
| - | | 단수 ||| | ||
| - | | 1 | -о/-ло | уг -∅ | | ||
| - | | 2 | -о-д/-ло-д | уд -∅ | | ||
| - | | 3 | -о-з/-ло-з | уз -∅ | | ||
| - | | 복수 ||| | ||
| - | | 1 | -о-м(ы)/-ло-м(ы) | ум -э(лэ)/-лэ | | ||
| - | | 2 | -о-ды/-ло-ды | уд -э(лэ)/-лэ | | ||
| - | | 3 | -о-зы/-ло-зы | уз -э(лэ)/-лэ | | ||
| - | |||
| - | ### 복합시제 | ||
| - | |||
| - | 4가지 단순시제에 조동사 вылыны (BE)의 화석화된 형태인 вал 'it was/it used to be' 또는 вылэм 'it was/ it turned out' 을 덧붙여 만든다. Вал이 쓰면 증거성, вылэм과 결합한 복합시제는 비증거성(~인것으로 보인다)의 뉘앙스가 첨가된다 | ||
| - | |||
| - | - 제1대과거: 과거-확실 + вал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лыдӟи-з вал | ||
| - | PRON.3SG read-PST.3SG AUX | ||
| - | 그는 (언젠가) 읽었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ӧз лыдӟы вал | ||
| - | PRON.3SG NEG read AUX | ||
| - | 그는 (언젠가) 읽지 않았다 | ||
| - | }}} | ||
| - | |||
| - | - 제2대과거: 과거-불확실 + вал, вылэм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лыдӟ-ем вал | ||
| - | PRON.3SG read-PST.3SG.AFFI AUX | ||
| - | 그는 (언젠가) 읽었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лыдӟы-мтэ вал | ||
| - | PRON.3SG read-PST.3SG.NEG AUX | ||
| - | 그는 (언젠가) 읽지 않았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лыдӟ-ем вылэм | ||
| - | PRON.3SG read-PST.3SG AUX | ||
| - | 그는 (언젠가) 읽은 것으로 보인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лыдӟы-мтэ вылэм | ||
| - | PRON.3SG read-PST.3SG.NEG AUX | ||
| - | 그는 (언젠가) 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
| - | }}} | ||
| - | |||
| - | - 과거-진행: 현재시제 + вал, вылэм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лыдӟе-∅ вал | ||
| - | PRON.3SG read-PRS.3SG AUX | ||
| - | 그는 (다른 행위가 시작된 바로 그 때) 읽고 있었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уг лыдӟы-∅ вал | ||
| - | PRON.3SG NEG read-PRS.3SG AUX | ||
| - | 그는 (다른 행위가 시작된 바로 그 때) 읽고 있지 않았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лыдӟе-∅ вылэм | ||
| - | PRON.3SG read-PRS.3SG AUX | ||
| - | 그는 (다른 행위가 시작된 바로 그 때) 읽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уг лыдӟы-∅ вылэм | ||
| - | PRON.3SG NEG read-PRS.3SG AUX | ||
| - | 그는 (다른 행위가 시작된 바로 그 때) 읽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 ||
| - | }}} | ||
| - | |||
| - | - 과거-반복: 미래시제 + вал, вылэм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лыдӟ-оз вал | ||
| - | PRON.3SG read-FUT.3SG AUX | ||
| - | 그는 종종 읽곤 했다 | ||
| - | }}}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0) | ||
| - | со уз лыдӟы-∅ вал | ||
| - | PRON.3SG NEG read-FUT.3SG AUX | ||
| - | 그는 종종 읽지 않곤 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