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udmurt: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17/04/28 14:24] 동영은 |
doc:udmurt: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18/06/27 13:05] (현재) 동영은 |
||
|---|---|---|---|
| 줄 1: | 줄 1: | ||
| - |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100% : | + |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 - | 두 가지 종류: 등위합성, 종속합성 | ||
| - | ### 등위합성 | ||
| - | |||
| - | 1) 의미적으로 유사하거나 가까운 단어의 합성. 두 단어 중 하나는 독립적인 단어가 아니어도 가능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2) | ||
| - | ю (bread, grain) + нянь (bread) = ю-нянь bread grain(빵을 만드는 곡물) | ||
| - | }}} | ||
| - | |||
| - | {{{eg>udmu1245 (Alatyrev1983:572) | ||
| - | ым (mouth) + ныр (nose) = ымныр (face) | ||
| - | }}} | ||
| - | |||
| - | 2) 반의어의 합성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2) | ||
| - | анай(mother) + атай (father) = анай-атай (parents) | ||
| - | }}} | ||
| - | |||
| - | ### 종속합성: 첫 단어가 두 번째 단어에 부가설명 | ||
| - | |||
| - | {{{eg>udmu1245 (Kelmakov1993:252) | ||
| - | курытэз (biterness) + адӟыны (see) = курадӟыны (suffer) | ||
| - | }}} | ||
| - | |||
| - | {{{eg>udmu1245 (Alatyrev1983:572) | ||
| - | пересь (old) + атай (father) = песятай (grandfather) | ||
| - | }}} | ||
| - | |||
| - | ##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 ||
| - | |||
| - | - 명사화 접사: -он(-ён)/-н, -лык, -чи, -эт(-ет), -эм, -эс, -ос | ||
| - | - 형용사화 접사: -о(-ё), -эс, -ъем, -эсь, -алэс, -пыр/-пыръем, -мыт | ||
| - | - 동사화 접사: -ы-ны, -а-ны, -ма-ны, -омы-ны, -йы-ны, -геты-ны/-кеты-ны, -экты-ны, -мы-ны, -ды-ны, -ӟы-ны, -на-ны, -ъя-ны/-ьяны, -ты-ны, -шты-ны | ||
| - | (위의 접사 리스트는 Alatyrev 1983에서 발췌) | ||
| - | |||
| - | - 형용사/부사 → 명사 | ||
| - | гордъёс 아름다운 것들 (< 아름다운) | ||
| - | дышетӥсь 교사 (< 가르치는) | ||
| - | |||
| - | - 부동사 → 부사 | ||
| - | дыртыса 서둘러서 (< 서둘면서) | ||
| - | |||
| - | - 부동사 → 접속사 | ||
| - | шуыса ~라는/~하기 위해 (< 말하면서) | ||
| - | |||
| - | - 부동사 → 후치사 | ||
| - | луыса ~때문에, ~의 결과로 (< ~가 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