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uzbek:2_wordclass:22_noun:22_noun [2017/06/25 16:55] 127.0.0.1 바깥 편집 |
doc:uzbek: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31 11:12]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 # 22_noun : 명사 (noun) : : | + | # 22_noun : 명사 (noun) |
| 우즈베크어에는 명사를 다름 품사와 형태적으로 구별해 주는 표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 우즈베크어에는 명사를 다름 품사와 형태적으로 구별해 주는 표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명사는 격, 수, 소유, 서술성에 따라 형태 변화한다. | 명사는 격, 수, 소유, 서술성에 따라 형태 변화한다. | ||
| - | ## noun_num | + | ### 명사의 수 |
| 우즈베크어 명사에는 단수와 복수가 있다. 복수는 접미사 -lar를 붙여서 표현한다. | 우즈베크어 명사에는 단수와 복수가 있다. 복수는 접미사 -lar를 붙여서 표현한다. | ||
| 줄 14: | 줄 14: | ||
| - kel-di (come-3SG.PST), kel-di-lar (come-3PL.PST) | - kel-di (come-3SG.PST), kel-di-lar (come-3PL.PST) | ||
| - | ## noun_case | + | ### 명사의 격 |
| 우즈베크어에는 6개의 격이 있다. 기본형, 속격, 대격, 여격-향격, 탈격, 처격이 있다. | 우즈베크어에는 6개의 격이 있다. 기본형, 속격, 대격, 여격-향격, 탈격, 처격이 있다. | ||
| 줄 28: | 줄 28: | ||
| | LOC | daftar-da | eshik-da | | | LOC | daftar-da | eshik-da | | ||
| - | ## noun_poss | + | ### 명사의 소유범주 |
| 우즈베크어는 접미사를 통해 소유를 표현한다.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 우즈베크어는 접미사를 통해 소유를 표현한다.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 ||
| 경우와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접미사의 형태가 구별된다. 다음은 | 경우와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접미사의 형태가 구별된다. 다음은 | ||
| - | ota ‘mother'과 daftar ‘notebook'의 소유 접사 결합 예이다. | + | ota ‘father'과 daftar ‘notebook'의 소유 접사 결합 예이다. |
| | | SG | PL | | | | SG | PL | | ||
| 줄 44: | 줄 44: | ||
| | 3 | daftar-i | daftar-i | | | 3 | daftar-i | daftar-i | | ||
| - | ## noun_predicate | + | ### predicate |
| 명사가 서술어로 사용될 때에 서술 접미사를 사용한다. | 명사가 서술어로 사용될 때에 서술 접미사를 사용한다. | ||